• 제목/요약/키워드: Read to Dog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동물매개치료를 통한 독서부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독서증진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Effect of Reading Enhancement and the Selfrespect Improvement of Children through an Animalassisted Therapy)

  • 허순영;홍현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1-198
    • /
    • 2013
  • 이 연구는 동물매개치료 중에서 'Read to Dogs'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독서증진에 실제로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실행연구, 설문지법, 미술치료기법 중 HTP의 나무그림, KFD의 움직임이 있는 가족그림의 사전, 사후검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보조견을 통한 책읽기 프로그램은 독서부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서관이나 학교 현장에서 독서부진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산 산소 농축기의 개발 및 동물실험 (Development and Animal Tests of Prototype Oxygen Concentrator)

  • 변정욱;성숙환;이태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7호
    • /
    • pp.643-649
    • /
    • 1998
  • 장기간 산소 호흡치료가 필요한 만성호흡부전증 환자에서 가정내 산소 농축기의 사용은 이미 보편화 되어있고 적응 및 사용빈도도 증가추세에 있다. 본 연구팀이 최근 개발한 국산 산소농축기의 성능검사와 보완점을 찾기위해 이미 시판되어 사용중인 외국산 산소농축기(FOR LIFE\ulcorner, Air Sep Corp. USA)와 비교 분석하여 효용성 및 안정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기계적 성능 시험으로는 제작한 시제품과 외굿산 산소농축기를 4시간 연속 작동후 발생되는 산소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동물실험은 잡견 16마리를 각 군당 8마리씩 A군, B군으로 나누어 A군은 외국산 산소농축기로, B군은 자체 개발한 산소농축기로 분당 5 리터의 산소를 공급하여 기본활력증후, 동맥혈 가스분석 및 혈액 화학 검사 등을 검사하였다. 4시간 연속 작동후 발생하는 산소 농도는 외산 98$\pm$3%, 국산 91$\pm$1 %로 외산이 우수하였다. 동물실험에서 산소 공급후 1, 2, 3, 4시간에 산소마스크 주입구에서 측정한 산소 농도는 A군에서 각각 70.6$\pm$2.5%, 67.1$\pm$2.9%, 68.2$\pm$2.6%, 64.9$\pm$3.9%, B군에서는 65.1$\pm$4.8%, 65.2$\pm$3.6%, 68.7$\pm$4.3%, 66.0$\pm$5.0%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반복측정 분산분석 p=0.70), 산소투여 전 및 투여 후 1, 2, 3, 4 시간의 동맥혈 산소분압은 A군에서 각각 87.2$\pm$2.5 mmHg, 347.4$\pm$29.3 mmHg, 353.4$\pm$21.2 mmHg, 343.0$\pm$28.8 mmHg, 321.6$\pm$24.4 mmHg, B군에서 각각 102.5$\pm$9.6 mmHg, 300.3$\pm$17.1 mmHg, 321.6$\pm$23.7 mmHg, 303.4$\pm$27.4 mmHg, 273.5$\pm$25.9 mmHg로 비록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24) 외산 산소 농축기를 사용한 군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으로부터 본연구팀이 현재 개발중인 국산 산소 농축기의 시제품의 성능을 시험한 결과 외산 산소 농축기와 비교하여 비교적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였으나 소음, 내구성 등의 개선할 부분이 지적되었다.

  • PDF

성견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골재형성에 관한 연X선학적 연구 (A SOFT X-RAY STUDY ON THE BONE REMODELLING IN TOOTH MOVEMENT OF DOG)

  • 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87-592
    • /
    • 1995
  • 교정력에 의한 치아이동시 발생하는 골침착과 흡수의 골재형성 과정을 교정력의 크기와 적용기간에 따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성견 6마리를 대조군 1마리와 실험군 5마리로 나누어 실험군에서는 하악 제 1,2소구치 사이에 open coil spring을 장착해서 좌측에는 강한 힘(250-300g), 우측에는 약한 힘(50-75g)이 가해지도록 하여 12시간, 24시간, 3일, 1주, 2주에 각각 희생시켰다. 분리된 조직편에 대해 연X선 촬영을 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견인측에서의 신생골 형성은 7일째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14일째에는 광범위한 부위에서 방사선 불투과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힘의 크기에 따른 비교는 불가능하였다. 2. 압박측에서의 치조골 흡수는 3일째에 치조백선의 파괴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7일째, 14일째에 걸쳐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경험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animal-assisted therapy (AAT) program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as victims of school violence)

  • 박형준;김충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7-332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see if as companion animals living with human beings, dogs could provide emotional stability or play a therapeutic role for human beings. Of 12 middle school boys as victims of school violence, 6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provided with an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 over a total of 12 sections, one section per week, 60 minutes per section,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2011, followed by post-test 1 and, one month later, post-test 2. In the experimental composition, the remaining 6 boys were assigned to the comparison group that was allowed to read freely.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scale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the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 generated more significant therapeutic effects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therapeutic effects were found to persist one month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ensitive adolescents who suffer from depression or have lost self-esteem because of school violence can significantly benefit from an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 by reducing the recovery time or by getting lots of help with emotional stability. Further research on the basi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adolescents with emotional therapy in other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