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Rc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초

증숙 처리에 의한 산삼 부정 배양근의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추출 (Extraction of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s from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by Steam Processing)

  • 이예지;김희규;고은지;최재후;조아름;김철중;이재근;임정대;최선강;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8-156
    • /
    • 2018
  • Background: Hot steaming is kn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plant extracts by breaking down useful compounds to low molecular weight ones.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ptimal extraction and steam processing method for enhancing the low molecular ginsenoside contents of the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The total ginsenoside was optimally extracted when 70% EtOH was used at $50^{\circ}C$, whereas low molecule ginsenoside such as Rg2, Rh1, Rh4 and Rk1 could be extracted using 70% EtOH at $70^{\circ}C$. The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is known to contain four major ginsenosides, i.e., Rb2, Rb1, Rg1 and Rd, however new ginsenosides Rg6, Rh4, Rg3, Rk1 and Rg5 were new abundantly obtaind after steam processing method was applied. The contents of total ginsenosides were the highest when thermal steam processing was conducted at $120^{\circ}C$ for 120 min. Unlike ginsenosides such as Rg1, Re, Rb1, Rc, Rb2, and Rh1, which decreased after steam processing, Rg3, Rk1, and Rg5 increased after thermal processing. Steam processing significanltly reduced the content of Rb1, increased that of Rg6 by about ten times than that in the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Conclusions: Our study showed that the optimal extraction and steam processing method increased the content of total ginsenosides and allowed the extraction of minor ginsenosides from major ones.

산양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Cultivated Wild Ginseng Extract)

  • 강경명;이진영;김명욱;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40-1746
    • /
    • 2016
  • 본 연구는 산양삼의 이용가치를 높이고,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하여 산양삼의 이화학적 특성과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한 각각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산양삼의 일반성분은 수분 7.56%, 탄수화물 73.01%, 단백질 12.58%, 지질 1.99%, 회분 5.54%를 나타내었고, 총아미노산 함량은 16.17 mg/100 g이었으며, 그중 필수아미노산은 1.42 mg/100 g을 나타내었다. 총 ginsenoside 함량은 15.98 mg/g을 나타내었고, 그중 major ginsenoside($Rb_1$, $Rb_2$, $Rb_3$, Rc, Rd, Re, Rf, $Rg_1$)의 함량은 15.94 mg/g, minor ginsenoside($Rg_3$, $Rh_1$, $Rh_2$) 함량은 0.04 mg/g을 나타내었다. 1 mg/mL 농도로 조정한 증류수를 이용한 산양삼 추출물(KGW), 70% 에탄올을 이용한 산양삼 추출물(KGE)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KGE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게 활성을 나타냈으며, 각각 8.93 mg/g(총폴리페놀 함량), 3.96 mg/g(총플라보노이드 함량), 57.57%(DPPH 라디칼 소거능), 70.73%(ABTS 라디칼 소거능), 44.12%(아질산염 소거능), 78.05%(SOD 유사활성), $1.08O.D_{700nm}$(환원력), 55.33%(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를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산양삼 추출물의 elastase, collagenase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역시 KGE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각각 81.96%, 78.96%, 30.96%를 나타내었다.

팽화에 의한 인삼 유효성분의 변화 (Changes in Effective Components of Ginseng by Puffing)

  • 김지혜;안순철;최성원;허남윤;김병용;백무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188-193
    • /
    • 2008
  • 수삼을 수분함량 별로 건조한 다음 원형이 변하지 않는 팽화 인삼을 제조할 수 있는 최적의 압력조건을 찾아 팽화 인삼을 제조하고 각 조건 별 시료의 추출수율, 조사포닌, ginsenoside함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팽화 처리 후 외관상의 가장 큰 변화는 갈변과 부피팽창이었다. 추출수율 측정 결과, 대조군은 37.6%, 팽화 인삼의 경우 $50.0{\sim}62.1%$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조사포닌 함량의 경우 대조군은 11.0 mg/g ginseng, 팽화 인삼은 $19.6{\sim}48.8mg/g$ ginseng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팽화 인삼에서는 홍삼 특유 사포닌인 ginsenoside-Rg3가 검출되었다. Ginsenoside-Rg3의 생성량은 팽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insenoside-Rg3를 제외한 나머지 기본 ginsenoside와 total ginsenoside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모두 증가하였지만, 팽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그 양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인삼을 적절한 조건에서 팽화처리하였을 경우 추출수율, 조사포닌 및 조사포닌 함량의 증진과 일부 ginsenoside의 변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삼 품종별 뿌리 추출물의 NMDA 수용체 길항 효과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Antagonistic Effect and Ginsenoside Content of 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r Root Extracts)

  • 이승은;김장욱;정현수;최재훈;지윤정;김형돈;장귀영;현동윤;김동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20
    • /
    • 2020
  • Background: Although a number of Panax ginseng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by Korean researcher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insufficient analysis of their beneficial properties. In this study, we sought to identify useful ginseng varieties as functional materials. Methods and Results: We evaluated effects of root extracts of 10 ginseng cultivars (Cheongsun; CS, Chunpoong; CP, Gopoong; GP, Gumpoong; GMP, K1, Sunhyang; SH, Sunone; SO, Sunpoong; SP, Sunun; SU and Yunpoong; YP) against the inhibitory effects of nitric oxide (NO)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mouse brain microglial BV2 cells, as well as the binding of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 a marker related to memory. Ginsenosides, such as 20 (S)-protopanaxadiols (PPDs), including ginsenoside-Rb1, -Rb2, -Rb3, -Rc, -Rd, and - Rg3 and 20 (S)-protopanaxatriols (PPTs) including -Re, -Rg1, and -Rg2 were analyzed by HPLC. We observed that the cultivar GMP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60.8%) against NO production at 20 ㎍/㎖. Those cultivars showing the significantly highest inhibition effects against ROS at 20 ㎍/㎖ were K1 (57.3%), SP (54.5%), YP (53.1%), CP (51.7%), CS (50.9%) and SH (49.6%). At 50 ㎍/㎖, K1 showed the most potent inhibitory effect (51.2%) on NMDAR binding. The total phenol content of SH (1.89 mg/g) and K1 (1.73 mg/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whereas in terms of PD/PT ratios, the values of CP (0.98), K1 (1.05) and SO (1.05)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On the ba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 (0.7064) between NMDAR inhibition and ONOO- scavenging activity.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ultivars K1 and SH could be useful ginseng resources as functional materials with favorable cognition-improving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수삼과 홍삼액을 첨가하여 취반한 인삼밥의 품질학적 특성 (Quality of Insambob Containing Added Raw and Red Ginseng Extract)

  • 이가순;김관후;김현호;성봉재;김선익;한승호;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151-1157
    • /
    • 2012
  • 인삼의 소비촉진과 국민의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인삼을 수삼과 홍삼액의 형태로 첨가하여 인삼 밥을 취반한 후 기호도, 물성 및 사포닌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가장 좋은 인삼 밥은 마쇄기로 거칠게 간 형태(GRG)의 수삼을 원료 쌀의 10%를 첨가하여 취반한 인삼 밥이었고, 조직감과 밥맛에 대한 기호도는 홍삼액(RGE)을 50% 첨가하였을 때이었다. 인삼 밥의 물성은 쌀알 크기의 1~2배 정도로 잘게 다진 형태의(MRG)의 수삼을 첨가할 경우 10% 이상 첨가 시부터는 hardness와 adhesiveness가 감소하였으며, 홍삼액 형태(RGE)로 밥물 대신 첨가하여 취반하였을 경우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hardness는 증가하였으며 adhesiveness는 감소하였다. 믹서로 갈은 슬러지 형태의 수삼(GRG)과 잘게 다진 형태(MRG)의 수삼을 첨가하여 인삼 밥을 취반할 경우 취반과정 중 사포닌구조의 변화가 일어나 수삼에서 검출되어진 Re를 포함한 8종의 진세노사이드성분의 함량이 감소되고 홍삼특유의 사포닌인 Rg3, Rh2 및 Rh1 등의 사포닌이 생성되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수삼 및 홍삼액 모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인삼밥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되었다.

고속액체(高速液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依)한 Ginsenoside ${-Rh}_1$${-Rh}_2$ 의 분리(分離) (Isolation of Ginsenoside${-Rh}_1$ and ${-Rh}_2$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최진호;김우정;홍순근;오성기;대포언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7-66
    • /
    • 1981
  • 인삼주성분 사포닌 및 미량성분 사포닌의 단리법에 대하여 HPLC의 응용을 검토하여 이미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인삼미량성분인 $Ginsenoside-Rh_1$ 및 미지성분인 $Ginsenoside-Rh_2$의 단리법을 검토하였다. 저자등의 방법에 따라 홍삼의 70% 에탄올추출액(4 kg)에서 부탄올추출액을 얻어 에틸 아세테이트로 처리 (실온에서 3시간 및 $60^{\circ}C$에서 3 시간)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획분(29g)을 preparative HPLC인 prep LC/System-500을 사용하여 부분분획하여 각 획분을 analtical HPLC/ALC-201로 동정, ginsenoside-Rh group을 다시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로 정제한 후, semipreparative HPLC/ALC-201로 $ginsenoside-Rh_1$$-Rh_2$를 단리했다. 미지성분단리에 HPLC의 응용이 효과적임이 판명되었다.

  • PDF

20년 이상 장기저장된 홍삼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및 품질안정성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Stability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Stored over 20 Years)

  • 곽이성;한민우;배봉석;안남근;유혜영;박철수;백인호;조병구
    • 생약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29-338
    • /
    • 201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of quality stabi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ed ginsengs stored for a long times over 20 years. The Korean red ginsengs were stored for 4 to 22 years in canned packaging with polypropylene film and wooden box at room temperatures. The unusal phenomena such as discoloration and pin hole in packaging were not observed. General bacteria showed the vlaues of below 100 CFU/g, coliform groups and molds were not found in any samples stored for 22 year. Any samples also were not detected in mycotoxins. The contents of moisture, ash and crude saponin were the levels of 10.6~11.1%, 3.8~4.2% and 4.1~4.7% during the whole storage periods,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maltol, which has been known as characteristic flavour and antioxidant of Korean red ginseng, showed remarkably increasing tendency from 0.10 mg/g for 4 years to 2.53 mg/g for 22 years during the storage. The contents of AFG (arginyl-fructosyl-glucose), arginine and free sugar were slightly decreased. Acidic polysaccharide and ginsenoside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storage periods. The contents of acidic polysaccharide and total ginsenosides were the 75.1~76.3 mg/g and 15.1~16.6 mg/g, respectively. The sums of ginsenoside-Rg1,-Rb1 and -Rg3s were the ranges of 9.3~9.9 mg/g and PD (ginsenoside-Rb1, -Rb2,-Rc,-Rd,-Rg3s,-Rg3r)/PT (ginsenoside-Rg1,-Rg2,-Re,-Rf,-Rh1) saponin ratios were the levels of 1.4~1.5.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red ginsengs stored for long periods show relatively stable quaility stabilities and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 contents of ginsenoside and polysaccharide during the storage up to 22 years.

추출 및 분획조건에 따른 인삼 조사포닌 중 ginsenoside 조성 차이 (The Difference of Ginsenosid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Crude Ginseng Saponins)

  • 신지영;최언호;위재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2-287
    • /
    • 2001
  • 인삼 조사포닌을 기존의 고온 MeOH 추출/n-BuOH 분획법 및 고온 MeOH 추출/Diaion HP-20 흡착/MeOH 용출법과 새로이 시도된 고온 MeOH 추출/cation AG 50W흡착/$H_2O$ 용출/n-BuOH 추출법(AG 50W법), 상온 MeOH 추출/Diaion HP-20 흡착/MeOH 용출법(상온추출법)과 EtOAc/n-BuOH 직접 추출법으로 분리한 다음 기존의 HPLC/RI 방법으로 ginsenoside조성을 비교한 결과 EtOAc/n-BuOH 직접 추출법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분리능과 감도가 우수한 HPLC/ELSD방법을 사용한 결과, ginsenoside $Rb_2$, Rf, $Rg_1$$Rh_1$ 등을 뚜렷이 식별할 수 있었고 추출 및 분획방법에 따라 조사포닌간 ginsenoside의 현저한 조성차이를 볼 수 있었다. 특히 AG 50W법에 의해 분리된 조사포닌에서 뚜렷한 prosapogenin 피크를 볼 수 있었으며 LC/MS의 결과, ginsenoside $Rb_1$, $Rb_2$ 등의 7종의 주종 사포닌 이외에도 5종의 prosapogenin과 1종의 chikusetsusaponin을 포함한 총 13종의 ginsenoside를 동정하였다. 새로이 정립한 HPLC 분석조건, 즉 $NH_2$ 대신에 $C_{18}$ column을 사용하고 $KH_2PO_4/CH_3CN$ gradient로 상온추출법으로 분리한 조사포닌을 분석한 결과, malonyl ginsenoside 피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고려인삼 추출물이 노화관련효소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GINSENG EXTRACT ON AGE-RELATED ENZYMES)

  • 조영동;구본숙;이송재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37-43
    • /
    • 1984
  • 노화는 모든 다세포 유기물의 특징이다. 노화가 됨에 따라서 효소활성 및 면역반응의 감소와 과산화지질과 지방갈색물질의 축적, 효소와 염색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구조의 변화, 호르몬계의 불균형 등이 일어난다. 그렇지만, 노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관하여는 현재까지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진은 노화와 관련된 효소들에 관하여 연구를 하여 왔으며,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의 효소의 활성을 유지시켜주거나, 또는 효소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지연시켜 주는 물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로서, 고려인삼 추출물을 흰쥐에 기간별로 투여하여 효소활성의 차이, 열에 대한 안정성, 기질에 대한 친화력, 전기 영동 상의 이동성과 면역적인 반응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glutathione redutease, glutathion peroxidase와 같은 노화와 관련된 효소들의 활성을 고려인삼 추출물을 1개월간 흰쥐에 ($60{\~}80$g)투여하여 대조군과 비교 조사하였으나,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고려인삼 추출물을 15개월간 투여하였을 때에는 이러한 노화관련 효소들의 활성이 급격히 증가함이 ($70{\~}200\%$) 관찰되었다. 예견된 바와 같이, 효소의 열에 대한 안정성과 기질에 대한 친화력도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의 경우에서 전기영동상의 차이 및 면역적인 반응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고려인삼 추출물이 노화와 관련된 효소들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지연시켜줄 수 있으며, 노화를 어느정도 지연시켜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포함한 실험자료를 국제 인삼심포지움에서 발표할 것이다.$-tocopherol의 항 산화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촉진 시킬 것으로 생각된다.-L(독성 호르몬-L)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서 암환자의 체중 감소를 방지하고, 식욕감퇴를 개선할것으로 생각된다.해되었으며, $Rb_{1}$은 장내의 효소와 tetracycline-resistantant bacteria에 의해 Rd와 2 종류의 미확인 물질로 분해되었다.xA_{2}$ synthetase 억제제인 imidazole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4. G-Re는 $1{\times}10^{-5}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효과가 없으나 $1{\times}10^{-4}g/ml$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PGE_{2},\;PGF_{2}{\alpha},\;TXB_{2}$의 생성억제와 함께 6-keto-$PGF_{1}{\alpha}$ 증가를 보였다. 이는 prostacyclin synthetase를 자극하는 serotonin의 효과와 같은 작용으로서 prostacyclin synthetase 억제제인 tranylcypromine에 대하여 길항효과를 보였다. 5. $TxB_{2}$생성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ginsenoside들의 효과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인삼 saponin 성분을 전처치한 patelet rich plasma에서 혈소판 응집시험 결과, ADP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모든 인삼 saponin 성분들이 효과가 없었으나 arachidonic acid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G-Rb_{2}$, G-Rc, G-Re의 순으로 농도 의존적인 억제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 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 PDF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ff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Tail Root)

  • 홍희도;김영찬;김성수;심건섭;한찬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147-153
    • /
    • 2007
  •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사포닌 성분, 당류, 페놀성분, 미세구조 및 소화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미삼의 추출된 조사포닌 함량은 팽화처리후 약 26.5% 증가하였다. 사포닌 조성에서 팽화홍미삼은 홍미삼에 비해 $Rb_1$, $Rb_2$, Rc, Re, $Rg_1$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Rd와 $Rg_3$함량은 증가하였고, 특히 $Rg_3$함량은 0.49 mg/g에서 0.72 mg/g로 증가하였다. 가용성 총당은 팽화전후 비슷하였고, 산성다당체 함량은 각각 7.15, 6.44%로 팽화후 다소 감소하였다. 총페놀함량은 7.86%에서 9.94%로 증가하였다. 개별 페놀산의 경우 gentisic acid는 홍미삼에서만, salicylic acid는 팽화후 홍미삼에서만 검출되었고, gallic acid, p-coumaric acid, caffeic acid 및 ferulic acid 등은 팽화로 크게 감소한 반면 syringic acid는 약 6배 증가하였다. 팽화후 홍미삼의 절단면 미세구조는 팽화전보다 훨씬 균일화한 입자모양을 나타내었으며, 팽화전후 펩신소화율은 각각 22.4, 46.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본 결과는 팽화처리에 의해 홍미삼의 생리활성성분의 증가와 기호성 및 소화율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