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ay parenchyma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초

18F-FDG PET/CT를 통해 진단된 주폐동맥 협착 소견의 폐동맥 육종 (Pulmonary artery sarcoma manifesting as a main pulmonary artery stenosis diagnosed by 18F-FDG PET/CT)

  • 이훈희;박한빛;조윤경;안정민;이상민;이재승;김대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79-284
    • /
    • 2017
  • Pulmonary artery sarcoma (PAS) is a rare and fatal disease that often mimics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CTEPH); therefore, diagnosis of PAS is often delayed. Herein, a healthy 74-year-old man was presented with a 4-month history of dyspnea. Chest computed tomography showed wall thickening and stenosis in the main pulmonary artery as well as in both proximal pulmonary arteries. In order to differentiate between unusual CTEPH, vasculitis, and PAS, we performed right heart catheterization and pulmonary angiography. The mean pulmonary arterial pressure was 21 mmHg, and there was severe pulmonary artery stenosis. Thrombi on the pulmonary arterial wall lesions were observed in intravascular ultrasound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urthermore,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deep vein thrombosis. Therefore, we diagnosed unusual CTEPH. After 6 months of rivaroxaban anticoagulation therapy, a chest X-ray revealed a left lower lobe lung mass, and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later showed hypermetabolic lesions in the main pulmonary artery wall, in both pulmonary arteries walls, in the lung parenchyma, and in the bones. A biopsy of the right proximal humerus lesion revealed undifferentiated intimal sarcoma. Pulmonary sarcoma is rare, but should be considered when differentially diagnosing main pulmonary artery wall thickening and stenosis.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may aid in this diagnosis.

밤나무의 내한성(耐寒性)(제1보(第一報)) - 품종별(品種別) 부위별(部位別) 차이(差異)에 관(關)하여 - (Freezing Resistance of Chestnut (I) - The Difference among Cultivars and Tissue Parts -)

  • 조태환;홍성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2
    • /
    • 1975
  • 경기도(京畿道) 내(內) 4지역에서 1975년 3월 2일에 채취된 밤나무 10 품종(品種)에 대한 내한성도(耐寒性度)의 품종 및 부위별(部位別) 차이를 알기 위해 본 실험을 하였다. 저온(低溫) 및 해영온도(解永溫度) 처리(處理) 속도(速度)를 자연상태와 비슷한 시간당(時間當) $6^{\circ}C$ 보다 더 천천히 조절하였다. 부위별(部位別) 내한성도(耐寒性度)의 순위는 모든 품종에 있어서 동아(冬芽), 형성층(形成層), 재부유조직(材部柔組織) 및 피층(皮層)의 순위(順位)로 증가 하였다. 품종 간(間)의 내한성도의 순위는 줄기의 부위에 따라 일정치 않았으나 품종단택(品種丹澤)(단지와)은 예외적으로 모든 부위(部位)에 있어서 가장 높은 내한성도를 보였다. 가장 내한성도가 높은 품종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부위별 내한성도의 계절적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에 관하여 고찰되었다.

  • PDF

한국산(韓國產) 외래수종(外來樹種)의 목재해부학적(木材解剖學的) 식별(識別) (Anatomical Identification of the Woods of Exotic Tree Species Grown in Korea)

  • 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1-45
    • /
    • 1970
  • 본연구(本硏究)는 경제적(經濟的)으로 중요(重要)한 한국산외래수종(韓國產外來樹種)의 목재(木材)에 관(關)한 식별(識別)을 위(爲)해서 수행(遂行)되었는데 사용(使用)한 시험목(試驗木)은 광양(光陽)과 수원지방(水原地方)에 생장(生長)한 20개수종(個樹種)을 택(擇)하였다. 육안적특성(肉眼的特性)의 조사항목(調査項目)은 주(主)로 연륜(年輪), 춘재(春材)로부터 추재부(秋材部)로의 이행(移行), 관공형(管孔型)과 배열(排列), 변심재(邊心材), 재색(材色), 향기(香氣)와 미(味), 수지구(樹脂溝), 유조직(柔組織)과 수선등(髓線等)을 관찰(觀察)하였고 조사(調査) 하였으며 현미경적특징(顯微鏡的特徵)은 도관(導管), 가도관(假導管), 대섬유(大纖維), 수선유세포(髓線柔細胞), 수직유세포(垂直柔細胞) 및 세포간구(細胞間溝)의 요소(要素)와 그들의 구성상태(構成狀態)에서 관찰할 수 있는 특징(特徵)을 관찰(觀察)하였고 측정(測定)하였다. 이상과 같이 관찰(觀察)및 측정(測定)된 결과(結果)는 종합(綜合)되었고 이들 결과(結果)를 바탕으로 하여 목재식별(木材識別)을 위(爲)해서 육안적검색표(肉眼的檢索表)와 현미경적검색표(顯微鏡的檢索表)를 원문(原文)과 같이 작성(作成) 하였다.

  • PDF

사과나무의 내한성(耐寒性) (Freezing Resistance of Apple)

  • 조태환;홍성각;김종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
    • /
    • 1975
  • 한국에 가장 유망한 사과 재배품종(栽培品種) 중(中)에서 가장 큰 내한성도(度)를 갖인 품종(品種)을 선택하기 위하여 내한성도(耐寒性度)가 측정(測定)되었다. 왜성대목(矮性臺木)으로 사용(使用)되는 두 품종의 내한성도(耐寒性度)도 재배품종과 비교하기 위해 측정되었다. 부위별(部位別) 내동성도(耐凍性度)는 EM26을 제외한 모든 품종(品種)에서 동아(冬芽), 형성층(形成層), 임부유조직(林部柔組織) 및 피층(皮層)의 순위(順位)로 증가(增加)하였다. 품종간(品種間)의 내한성도(耐寒性度)의 순위(順位)는 부위별(部位別)로 일정(一定)치 않았으나 재배품종(栽培品種) Nugget Spur 만은 모든 부위(部位)에 있어서 가장 낮은 내한성도를 보였다. 가장 내한성도가 높은 품종(品種)과 만상(晩霜)의 피해에 강(强)한 품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품종내(品種內) 부위간(部位間)의 내한성도(耐寒性度)의 차이(差異)에 관(關)하여 고찰(老察)되었다.

  • PDF

큰 폐 공기집의 주변 폐 감염 후 혹은 자연적 소실 (Regression of Large Lung Bullae after Peribullous Pneumonia or Spontaneously)

  • 최은영;김우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1호
    • /
    • pp.37-43
    • /
    • 2012
  • Background: A lung bulla may rarely shrink as a result of an inflammation within the bulla or a closing of a bronchus involved in the inflammation process, which is termed 'autobullect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regressions of bullae during follow-up.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ases and individuals who showed unequivocal evidence of interval regressions in a pre-existing bulla. A total of 477 cases with a bulla >5 cm in diameter were screened manually. Thirty cases with bullae that showed regression during follow-up were selected. Results: Regressions of large bullae occurred in 30 of 477 cases (6.3%). The median age of those patients was 61 (range, 53~66) years and 87% of those patients were men. The main cause of a bulla was emphysema (80%). Among 30 cases, 16 cases had pneumonia in the lung parenchyma of the peribullous area. Another 7 cases had a regressed bulla accompanied by an air-fluid level within the bulla. The remaining 7 cases showed a spontaneous regression of the bulla without such events. Complete regression of a bulla occurred in 25 cases. A follow-up chest-X ray showed that in all cases except one, the bulla remained in a collapsed state after 24 months.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_1$) improved in 3 cases and the other 2 cases had increased forced vital capacity (FVC). In addition, total lung capacity (TLC) and residual volume (RV) decreased in another 2 cases. Conclusion: Regression of a lung bulla occurred not only after pneumonia or the presence of air-fluid level within the bulla, but also without such episodes. The clinical course of regression of a lung bulla varied. After regression of a bulla, lung function could be improved in some cases.

현(玄)사시나무의 결정성물질(結晶性物質)의 종류(種類)와 분포특성(分布特性) (Distribution and Types of Crystalliferous Substance in Populus alba × glandulosa)

  • 박상진;박병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398-406
    • /
    • 1990
  • 현(玄)사시나무는 속성조림(速成造林) 수종(樹種)으로 선정(選定)되어 전국(全國)에 보급(普及)되어 있으나 벌채이용단계(伐採利用段階)에 재내(材內)에 포함(包含)된 잎옹이와 결정성질(結晶性質)의 영향(影響)으로 볼 수 있는 인물(刃物)이 쉽게 마모(磨耗)되는 등(等)의 생리적(生理的)인 결점(缺點)이 발견(發見)되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는 특히 이들 결점중(缺點中) 결정성물질(結晶性物質)의 종류(種類)와 그 분포특성(分布特性)을 구명(究明)코저 하였다. 결정성물질(結晶性物質)은 심재(心材)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분포량(分布量)은 수체(樹體)내의 부위(部位)에 따라 차이(差異)가 크며 그 종류(種類)는 silica, aluminum, 탄산(炭酸)칼슘, 수산(修酸)칼슘이었다. silica와 aluminum을 주성분(主成分)으로하는 결정성질(結晶性質)은 방사유세포(放射柔細胞)와 도관(導管) 및 목섬유내강(木纖維內腔)에는 입상(粒狀)으로 관찰되었고, 탄산(炭酸)칼슘은 잎옹이와 도관(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에 주상(柱狀) 혹은 괴상(塊狀)으로 분포(分布)하였다. 한편 수산(修酸)칼슘은 주(主)로 수피(樹皮)의 사부유세포(篩部柔細胞) 소상(銷狀)으로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 PDF

CT-Guided Microcoil Localization of Small Peripheral Pulmonary Nodules to Direct Video-Assisted Thoracoscopic Resection without the Aid of Intraoperative Fluoroscopy

  • Zhen-guo Huang;Cun-li Wang;Hong-liang Sun;Chuan-dong Li;Bao-xiang Gao;He Chen;Min-xing Y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7호
    • /
    • pp.1124-1131
    • /
    • 2021
  • Objective: To evaluate the feasibility, safety, and effectiveness of CT-guided microcoil localization of solitary pulmonary nodules (SPNs) for guid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ne 2016 and October 2019, 454 consecutive patients with 501 SPNs who received CT-guided microcoil localization before VATS in our institution were enrolled. The diameter of the nodules was 0.93 ± 0.49 cm, and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nodules to the pleura was 1.41 ± 0.95 cm. The distal end of the microcoil was placed less than 1 cm away from the nodule, and the proximal end was placed outside the visceral pleura. VATS was performed under the guidance of implanted microcoils without the aid of intraoperative fluoroscopy. Results: All 501 nodules were marked with microcoils. The time required for microcoil localization was 12.8 ± 5.2 minutes. Microcoil localization-related complications occurred in 179 cases (39.4%). None of the complications required treatment. A total of 463 nodules were successfully resected under the guidance of implanted microcoils. VATS revealed 38 patients with dislocated microcoils, of which 28 underwent wedge resection (21 cases under the guidance of the bleeding points of pleural puncture, 7 cases through palpation), 5 underwent direct lobectomy, and the remaining 5 underwent a conversion to thoracotomy. In 4 cases, a portion of the microcoil remained in the lung parenchyma. Conclusion: CT-guided microcoil localization of SPNs is safe and reliable. Marking the nodule and pleura simultaneously with microcoils can effectively guide the resection of SPNs using VATS without the aid of intraoperative fluoroscopy.

4종류 목향류(木香類)의 외부(外部) 및 내부형태(內部形態)와 이화학패턴연구 (A Study on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y and pattern analysis in 4 kinds of Mok-Hyaeng Radix)

  • 김홍준;강경식;최고야;김호경;정승일;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3호통권18호
    • /
    • pp.117-13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differential standard of Mok-Hyaeng Radix species. We established the classificatory standard according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y and the pattern in 4 kinds of Mok-Hyaeng Radix. The results follow: 1. On the external morphology, Radix of Vladimiria souliei had a sticky material in the head of roots and it was yellowish white in the cut surface. It attached to teeth during chewing. Radix of Aucklandia lappa (=Saussurea lappa) was dark grayish brown and was grayish brown in the cut surface. It had special odor and was not attache to teeth chewing it. On the other hand, Radix of Inula helenium was dark brown. In the cut surface, cortical layer was different from wood layer. Radix of Aristolochia contorta was yellowish brown. In the cut surface, it was not smooth and cortical layer was different from wood layer. 2. On the internal morphology, Radix of Vladimiria souliei had many fascicular fibers and scattered large oil chambers in the bast ray, xylem ray, and parenchyma. On Radix of Aucklandia lappa (=Saussurea lappa),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trace when the cork layer was exfoliated. The cambium formed circle and the large oil chambers were scattered in the phloem and xylem. On the other hand, external cortical layer of Radix of Inula helenium was detached and cambium was formed to indistinct circle and large oil chambers were scattered in the phloem and xylem. On Radix of Arustolochia contorta, the large oil chambers were scattered in the surface later, bast part was relatively broad and cambium formed circle. 3. On the TLC pattern, Radix of Aristolochia contorta, Inula helenium, Aucklandia lappa, and Vladimiria souliei were chromogenic to violet and purple according to sulfuric acid colour pattern, especially faint on Aristolochia contorta. 4. On the pattern analysis of HPLC, we compared the content and the pattern of constunolide and dehydrocostus lactone, Radix of Aucklandia lappa was similar to Radix of Vladimiria souliei and Radix of Aristolochia contorta was similar to Radix of Inula helenium. On the total HPLC component pattern, constunolide and dehydrocostus lactone were similar in all four types, but it showed the Rf 5-6 peak was only in Radix of Aristolochia contorta, not in Radix of Inula helenium, Aucklandia lappa, and Vladimiria souliei. It i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furnished the basis to succeeding studies and it is needed to extensive comparative study for the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PDF

인도네시아산 주요 조림수종의 해부학적 특성 II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Plantation Species Growing in Indonesia II)

  • 장사라;장재혁;김종호;;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35-645
    • /
    • 2014
  • 최근 인도네시아에서 인공조림중인 8수종 목재자원의 효율적 이용방안 모색을 위해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엽수종인 Damar와 Sumatran pine의 생장륜은 뚜렷하지 않았고 Sumatran pine은 수지구가 존재하였으나 Damar는 수지구가 관찰되지 않았다. Damar는 편백형과 삼나무형 벽공을 보였고, Sumatran pine은 창상벽공과 소나무형벽공의 분야벽공형태를 보였다. 두 수종 모두 $3,000{\mu}m$ 이하로 다소 짧은 가도관의 길이를 보였고, 방사조직은 주로 단열방사조직으로서 Sumatran pine의 경우 방추형 방사조직이 관찰되었다. 활엽수 수종은 모두 산공재였고 Afrika와 Simpur Batu는 고립관공, Angsana는 집단관공, Mahoni는 2~4열의 방사복합관공, Mindi와 Trembesi에서는 2~3열의 방사복합관공과 익상유조직, 연합익상유조직이 다른 수종에 비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Afrika, Mahoni와 Simpur Batu는 평복세포와 1~2열의 직립세포로 구성된 이성방사조직이, Angsana, Mindi와 Trembesi는 평복세포로 이루어진 동성방사조직이 관찰되었다. Simpur batu는 높이 1 mm를 초과하는 3~6열의 다열 방사조직 폭을 보였으며, 이외 5개 수종은 1~3열의 방사조직 폭을 보였다. 단위면적($mm^2$)당 관공의 수는 Angsana와 Simpur Batu가 다른 수종에 비해 많았으며 특히 Simpur Batu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모든 수종의 목섬유길이는 수심부에서 수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impur Batu가 가장 긴 섬유의 길이를, Angsana와 Trembesi가 가장 짧은 섬유길이를 나타냈다.

Hook Wire를 이용한 폐결절의 위치선정 및 생검 (Lung Biopsy after Localization of Pulmonary Nodules with Hook Wire)

  • 김진식;황재준;이송암;이우성;김요한;김준석;지현근;이정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81-686
    • /
    • 2010
  • 배경: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보편화되면서 기존의 단순흉부촬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작은 폐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발견된 폐결절중 크기가 작거나 폐실질 내부에 위치한 결절은 육안 및 촉진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생검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원에서는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31명의 환자(남자 17명, 여자 14명)에서 34개의 폐결절을 대상으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 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의 이탈 여부, 개흉술 전환 빈도, 위치선정 후 수술 시작까지의 시간, 수술시간, 수술 후 합병증, 대상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34예 중 12예는 간유리 병변이었으며 22예는 고형의 폐결절이었다.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범위: 3~23 mm)였으며 병변 깊이의 중앙값은 12.5 mm (범위 1~34 mm)였다. 위치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86.5분(41~473분)이었으며, 수술시간의 중앙값은 103분(25~345분)이었다. 1예에서 wire의 흉강 내 이탈이 있었으나 성공적으로 목표 병변을 절제하였다. 4예에서 흉막유착으로 인해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목표 병변을 찾지 못해 개흉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조직학적 진단에서 전이성 암이 15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발생 폐암 9예, 비특이적 염증소견 3예, 결핵성 염증소견 2예. 림프절 2예, 활동성 결핵 l예, 비정형 샘 증식증 1예 및 정상폐조직 1예로 보고되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간유리 음영 및 폐결절의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Hook wire를 삽입하여 폐결절의 위치를 선정한 후 폐 생검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 방법이 정확하면서 최소침습적이고 합병증 발생 및 진료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술기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