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tus rattu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분리 오제스키병 바이러스로 비강접종한 야생집쥐(Rattus norvegicus)의 병리학적 소견 및 in situ hybridization에 의한 바이러스 동정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and virus detection by in situ hybridization in wild rats intranasally infected with Aujeszky's disease virus isolated in Korea)

  • 송근석;문운경;정창근;김순복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31-537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athogenicity and pathogenesis of wild rats(Rattus norvegicus), trapped in nature, intranasally infected with Aujeszky's disease virus(ADV/NYJ-1-87) by histopathology, immunohis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ISH). Fifteen rats inoculated intranasally were roughened haircoat, anorexia, listlessness, and depression second day after inoculation, and three rats died in 66-72 hours. Eight rats showed severe pruritus at the face that was accompanied by frequent face-washing movements of the forelegs, and then became violent and spasmodic for an hour or until they died. Four rats slowly recovered after showing mild clinical signs of the disease. Microscopic lesions in infected rats were characterized by meningitis, perivascular round cell infiltration, focal gliosis, and neuronal degeneration and necrosis. And intranuclear inclusion bodies were frequently detected in the cerebral cortex and medulla. Positive reaction to ADV by immunohistochemistry and ISH were detected in the following areas : trigermimal ganglion, brain, tonsil, nasal mucosa, spleen, lung and liver. The result has suggested that ADV intranasally infected in wild rats is followed by replication in epithelial calls of nasal mucosa and tonsil, then invade local lymph nodes by way of the lymphatics.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virus invades bipolar olfactory cells and trigerminal ganglion; and then spread into central nervous system.

  • PDF

진주 가산리 우물지에서 출토된 동물뼈 유물의 해부학적 분류 (Anatomical classification of animal bone relics excavated from the well area of Gasan-ri in Jinju)

  • 최종혁;이시준;김종섭;원청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39.1-39.6
    • /
    • 2021
  • The classification of the bone pieces excavated from Gasan-ri archaeological site 1 in Jinju, presumed to be relics was investigated macroscopically. The remains of the animal bone were 3 classes (Mammalia, Aves, Amphibia), 5 orders (Carnivora, Artiodactyla, Galliformer, Rodentia, Salientia), and 6 species (Sus scrofa, Cervidae sp., Nyctereutes procyonides, Phasianidae, Rattus norvegicus caraco, Rana nigromaculata). The total weight of the animal bone remains was 1,002.80 g, with the identified bones comprising 975.30 g and an identification rate of 97.26%. A total of 447 animal bone fragments were identified, including 204 bone pieces of S. scrofa (468.00 g, 47.99%), 102 bone pieces of Cervidae sp. (453.79 g, 46.53%), 68 bone pieces of R. nigromaculata (4.69 g, 0.48%), 59 bone pieces of N. procyonides (47.14 g, 4.83%), 9 bone pieces of Phasianidae (0.98 g, 0.10%), and 5 bone pieces of Rattus norvegicus caraco (0.70 g, 0.07%). The bone pieces of the animal relics consisted of 81 skull (18.12%), 161 axial skeleton (36.02%), 64 forelimb (14.32%), and 141 hindlimb (31.54%) fragments. The archa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animal bones excavated in this investigation was that wild boars and deer were presumed to have been mainly used animals in the Gasan-ri area of Jinju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Bone repair in defects filled with AH Plus sealer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TA: a study in rat tibiae

  • Jessica Emanuella Rocha Paz;Priscila Oliveira Costa;Albert Alexandre Costa Souza;Ingrid Macedo de Oliveira;Lucas Fernandes Falcao;Carlos Alberto Monteiro Falcao;Maria Angela Area Leao Ferraz;Lucielma Salmito Soares Pint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4호
    • /
    • pp.48.1-48.10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n bone repair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added to AH Plus. Materials and Methods: Bone tissue reactions were evaluated in 30 rats (Rattus norvegicus) after 7 and 30 days. In the AH + MTA10, AH + MTA20, and AH + MTA30 groups, defects in the tibiae were filled with AH Plus with MTA in proportions of 10%, 20% and 30%, respectively; in the MTA-FILL group, MTA Fillapex was used; and in the control group, no sealer was used. The samples were histologically analyzed to assess bone union and maturation. The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tests were performed for multiple pairwise comparisons (p ≤ 0.05). Results: At the 7-day time point, AH + MTA10 was superior to MTA-FILL with respect to bone union, and AH + MTA20 was superior to MTA-FILL with respect to bone maturity (p < 0.05). At the 30-day time point, both the AH + MTA10 and AH + MTA20 experimental sealers were superior not only to MTA-FILL, but also to AH + MTA30 with respect to both parameters (p < 0.05). The results of the AH + MTA10 and AH + MTA20 groups were superio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r both parameters and experimental time points (p < 0.05).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benefit of using a combination of these materials in situations requiring bone repair.

감미제로 이용되는 약용식물의 난충치성 효과

  • 이인순;문혜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263-266
    • /
    • 2003
  • 감미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용식물 중 대추와 감초, 황기로부터 기능성 천연 감미료를 얻기 위해 에탄올과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당류가 포함된 시료를 얻었다. 이들 시료에 대한 감미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당 분석 및 난충치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황기와 감초에서 산생성력과 dental plaque의 수치가 낮게 나타나 기능성 천연 감미료를 얻을 수 있는 약용식물로 판단된다.

  • PDF

감미제로 사용되는 약용식물의 난충치성에 관한 연구

  • 이인순;문혜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297-300
    • /
    • 2002
  • 감미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용식물 중 대추와 감초 황기로부터 기능성 친연 감미료를 얻기 위해 에탄올과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당류가 포함된 시료를 얻었다. 이들 시료에 대한 감미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당 분석 및 난충치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황기와 감초에서 산생성력과 dental plaque의 수치가 낮게 나타나 기능성 천연 감미료를 얻을 수 있는 약용식물로 판단된다.

  • PDF

가주성 쥐에 기생하는 Trombiculid Mites의 발생 소장 (The Seasonal Variation of Abundance of Trombiculid Mites Parasitizing on the House Rats)

  • Kim, Meung Hai;Hai-Poon Lee;Wan-Ho Ch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1호
    • /
    • pp.17-22
    • /
    • 1987
  • This survey was carried out in four areas in southern Korea from May 1983 through April 1986. A total of 1, 717 house rats was caught by trapping technique throughout the 4 areas. The total of 1, 535 trombiculid mites (4 genera, 7 species) was found only among Rattus norvegicus. Six species were observed in Seoul and Yangsuri areas, and 5 species in Seongnam area. No trombiculid mites were found in the rats caught in Inchon area. The highest infection rate of trombiculid mites (25%) was recorded in the rats caught in Seongnam area. And Leptotrombidium palpale was abundant species in general (detection rate; 72.8%) In seasonal variation, the hightes number of trombiculid population was observed from October through December in all the areas surveyed, and especially Euschongastia koreaensis apperaed more in autumn and winter than in any other season. The values of specie diversity and evenness of trombiculid mites found in Yangsuri were comparatively higher than those from the other areas.

  • PDF

한국산 설치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VII . 7종의 형청단백질의 면역학적 분석 (Systematic Studies on Korean Rodents : VII.Immunological Analyses of Serum Proteins of Seven Species)

  • 박능수;이성순;고흥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2호
    • /
    • pp.165-172
    • /
    • 1990
  •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설치류 7종(7아종)의 혈청단백질을 immunoprecipitin, immunodiffusion 및 immunoelectrophoresis 분석을 하였다. 각 종의 혈청단백질은 서로 달랐으며, 종간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즉 serological correspon-dence의 변이에 있어서, 집쥐(쥐 아목)는 99.6인데 다람쥐(다람쥐 아목)는 2.7이었다. 그리고 쥐 아목내의 쥐 과에 속하는 6종(6아종)중에서는 대륙밭쥐(갈밭쥐 아과)가 8.2로 가장 낮았다.

  • PDF

백서안구의 초기발생 (The Development of the Eye in the White Rat)

  • 백경기;정경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45
    • /
    • 1966
  • 백서(Rattus horvegicus var. albinus) 50 두를 키우며 자성백서의 발정을 질정도말법으로 확인하여 임신케 한후 각 단계별로 80개의 배를 얻었다. 고정액은 Bouin's solution 과 Carnoy's solution II였으며 표본은 5-7$\mu$의 두께로 연속절편을 만들었다. 염색은 Delafield's hematoxylin 과 eosin-Y의 이중염색법과 신경섬유를 관찰하기 위하여 Ramoney Cajal's silver-nitrate method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안와가 stage 17에서 나타났고 안포가 stage 18에서 형성되었다. 심안포가 stage 19에서 형성되었고 망막판과 수정체판이 stage 21에서 형성되었으며 체표외배엽과 접촉하고 있는 안포의 부분은 stage 22(A)에서 안배를 형성하기 위해 몰입되었다. state 22 (B)에서 수정체공은 아직 열려 있었고 stage 23(A)에서 색소립이 망막의 색소층에 나타났고 수정체공이 닫혀졌다. 수정체와는 stage 23(B)에서 체표외배엽으로부터 분리되었고 수정체 내벽세포의 신장이 stage23(C)에서 시작되었다. 수정체강은 stage 25에서 수정체섬유에 의해서 인멸되었고 stage 26에서 홍채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 PDF

들쥐의 生態學的 硏究 (Ecological Studies of the Field Mouse)

  • 강수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7-74
    • /
    • 1971
  • 들쥐의 被害를 막기위한 基礎로 들쥐의 生態學的 硏究를 서울大 農大農場에서 한바 들쥐의 大部分이 등줄쥐 이어서 結果的으로 등줄쥐의 硏究가 되고 말았으나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들쥐무리 4屬(Apodemus, Cricetulus, Rattus, Micromys) 155마리를 採集했으며 그중 등줄쥐(A. agrarius coreae)가 95%(148마리)를 차지했다. (2) 등줄쥐의 옥수수밭에 있어서의 棲息密度는 활동 범위를 감안하여 1970年8月6日 $\\sim$ 8日까지 55/ha는 日本 菅平地方의 900/ha에 비교하면 대단히 낮았다. (3) 體重에 의한 年齡構造는 成體에 대한 幼鼠 및 亞鼠의 합계가 13%에 이르렀고 性比는 ♂ : ♀ = 1.8 : 1 이었다. (4) 쥐굴(쥐집)이 構造는 한 개의 쥐굴에 구멍(出入口)이 3個以上, 貯藏庫 1個以上, 둥지(寢所) 1個에 한 마리가 살고 있으며 저장식량은 가을의 農作物인데 特히 벼가 主가 되고 벼보다는 玄米로 저장해 둔다. (5) 活動時刻은 日沒後 1 $\\sim$ 2時間, 子正前後, 및 日出前 1時間 內外가 왕성하나 낮에라도 주위가 조용하여 安全하고 먹이가 필요하거나 求愛行動이 필요하면 활동 한다. (6) 옥수수의 被害相은 高株에서 30 $\\sim$ 40%, 低株 에서 80 $\\sim$ 90%의 被害率이었다. 벼에 있어서는 논(1,200坪)에서 벼로 11,400g가 被害되었으니 全國的으로 349.695kg, 그리고 이것을 白米로 推算하면 8,268입 가 등줄쥐에 提供되었다. (7) 등줄쥐의 分娩仔數는 平均體重 30g 의 암컷이 5마리를 낳고 3週후에 離乳했으며 멧밭쥐(16g)도 5마리를 낳았다. (8) 天敵은 食肉目(족제비, 고양이, 살쾡이, 여우, 너구리, 수달, 개) 猛禽目(독수리, 부엉이, 말똥가리, 소리개, 매) 및 뱀이며 시궁쥐와 비단털쥐도 등줄쥐의 天敵이다. (9) 등줄쥐의 食性(嗜好性)은 옥수수, 콩, 밀, 고구마, 밤, 들깨등을 좋아하며 보리, 조, 수수, 팥, 녹두등은 그렇게 좋아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하루에 한 마리의 成鼠의 攝食量은 벼라면 5.5g, 밀 인 경우 4.9g, 여기에 물 5ml 가량을 먹는 경우이다. (10) 물만 提供하고 다른 먹이를 주지 아니한 饑餓實驗에 의하면 營養좋게 飼育된 등줄쥐는 71 $\\sim$ 79時間後에, 그렇지 못한 쥐는 32 $\\sim$ 39時間後에 죽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