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ing Scale

검색결과 2,517건 처리시간 0.05초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Children's Playfulness Rating Scale)

  • 김명순;김길숙;박찬화
    • 아동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9-89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 Children's Playfulness Rating Scale(CPRS) and to analyze it in terms of item discrimin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861 parents whose children were aged from three to six years old. The item discrimination, determined by comparing the highest and lowest group using ${\chi}^2$, Cramer's V,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The reliability of factors, as measured by Cronbach's ${\alpha}$, ranged from .85 to .95.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4 factors and 35 items were then selected from the 45 items in the original scale. The four factors identified were as follows; (1) leading participation (2) cognitive flexibility (3) expression of joy (4) voluntary full immersion.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established by using correlations between the CPRS and CPS(Children's Playfulness Scal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hildren's Playfulness Rating Scale is both reliable and valid.

칠제향부환제제(七製香附丸製劑)의 원발성(原發性) 월경통(月經痛)에 대한 임상적 효과 (Clinical Study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Chiljehyangbuhwan in the Treatment of Dysmenorrhea)

  • 장준복;최윤희;윤영진;조정훈;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6-168
    • /
    • 200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inical effects of Chiljehyangbuhwan in the treatment of dysmenorrhea patients. Methods : We studied fifty patients who visited Kyung Hee University Oriental Medical Center from July, 2004 to August, 2004. Women with organic disease such as ut. myoma, ov. cyst an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We treated them with Chiljehyangbuhwan for one menstrual cycle.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were measured by MVRS (Multidimensional Verbal Rating scale), VRS (Verbal Rating scale) and VAS (Visual Analog Scale). Results : Chiljehyangbuhwa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Furthermore Chiljehyangbuhwan had an effect on dysmenorrhea for next menstrual cycle without taking. Chiljehyangbuhwan did not show hepatic and renal virulence.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Chiljehyangbuhwan has remarkable effects on dysmenorrhea patients and that effects continue to next menstrual cycle without taking medicine.

  • PDF

타인평정 공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Empathy Rating Scale by a Third Party)

  • 김성지;조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35-453
    • /
    • 2017
  • 본 연구는 타인평정 공감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비연구를 통해 개발된 15개의 예비 문항은 연구 1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공감의 시작', '공감의 과정', '공감의 결과'라는 세 개의 하위요인으로 유목화되었다. 연구 2에서는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판별분석이 시행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모형에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었고, 상관분석을 통해 진정성, 정서 명확성, 친밀감과는 정적 상관이, 불안 및 거부 애착과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수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타인평정 공감 척도는 11개의 최종 문항과 세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로 보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척도가 갖는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어판 Gifted Rating Scale의 구인타당도 (Construct Validity of Korean Translated Gifted Rating Scale)

  • 이동혁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95-619
    • /
    • 2010
  • 본 연구는 Pfeiffer와 Jarosewich(2003)에 의해서 개발된 Gifted Rating Scale(GRS)을 한국어로 번역한 한국어판 GRS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GRS는 교사의 평가에 의해서 아동의 영재성을 판별하는 척도로 미국 교육부의 영재성에 대한 정의에 기초하여 영재성의 6개 하위영역(지적 능력, 학업적 능력, 예술적 재능, 창의성, 지도력, 동기)을 측정하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GRS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있는 5개 초등학교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어판 교사용 GRS는 미국판 GRS와 동일한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부모용의 경우 미국판 GRS와 동일한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어판 GRS 교사용의 타당도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주고 있으며, 한국 교육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장애 정체감 척도의 Rasch 모형 적용 (Rasch Rating Scale Modeling of the Disability Identity Scale)

  • 이익섭;홍세희;신은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273-296
    • /
    • 2007
  • 본 연구는 장애정체감을 평가하는 도구로 개발된 23문항의 척도를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문항을 재구성한 연구이다. 척수손상 장애인 397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장애정체감 척도(이익섭 신은경, 2006)는 요인분석으로 타당도를 검증한 것으로 문항의 적합도나 난이도 및 응답범주의 적절성을 평가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 절차에서 파생될 수 있는 한계를 보완하고자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의 하나인 Rasch 모형을 각 하위차원별로 적용하여 장애정체감 척도를 재검토하였다. 결과로는 4개차원의 20문항으로 축소되는 것이 문항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항의 난이도 측면에서는 평균수준의 문항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범주는 4점 척도가 적절했다고 평가되었다. 이러한 척도의 재구성을 통하여 장애정체감의 문항 적합도와 난이도 및 응답범주의 적절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치매노인의 통증사정에 대한 자가보고 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및 효율성 검증 (Validi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Pain Self-report Scale in Elderly with Dementia)

  • 류언나;박경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1-122
    • /
    • 2011
  • Purpose: The aim on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a Pain Self-Report Scale for elderly with dementia and compare these results with an observational pain rating scale.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36 elderly with dementia who were residents in a nursing home, geriatric hospital, or day care center. The subject's pain was measured by five self-report scales and observational scale. DS-DAT (discomfort scale-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was used for pain behavior observational measure. Cognitive state was assessed using the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Results: Observational rating correlated moderately with self-report (r=.225~.585, p<.05) and tended to underestimate pain intensity. Test-retest reliability was high for all five self-report scal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scales was very strong (r=.735~.856, p<.05). Comprehension rate of VDS (verbal descriptor scale) was 88.3%, and NRS (numeric rating scale) 69.9%, FPS (face pain scale) 66.9%, HVAS (horizontal visual analog scale) and VVAS (vertical visual analog scale) 65.4%. Conclusion: Nurses should not apply observational scales routinely in demented patients as many of these are capable of reporting their own pain. Self-report, the highest standard of pain measurement can be reliably performed in a large proportion of demented elderly.

영아/걸음마기 아동 환경 평정 척도 타당화 연구 (ll) (A Validation Study for the Infant/Toddler Environment Rating Scale(ll))

  • 이완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5-108
    • /
    • 1998
  • This study is the second study which was aimed to validate the Infant/ Toddler Environment Rating Scale(ITERS). The test-retest reliability included 10 infant/toddler classes among 30 national/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s in Inchon city which had been observed in the first validation study. The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est-retest reliability was ranged from .52 to .84. In addition, two raters observed 10 family day care centers in Inchon city, where two observers independently rated each centers on the ITERS during a single visit. The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interrater reliability was ranged from.72 to .99 For the second measure of content validity, experts who were working in day care centers and who were graduate students, lecturers, or professors majoring child studies rated the appropriateness of each ITERS items for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programs for infants and toddlers, using a 1(low) to 5(high) scale. The mean rating was ranged from 2.52 to 4.52. In sum, when the rating scores were analyzed by the type of child care centers, national/public child care centers have better quality than private or family child care centers.

  • PDF

일부 월경통(月經通) 환자의 스트레스 반응 척도와 심박변이도상의 특징 고찰 (Analysis on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and Heart Rate Variability of Dysmenorrhoea Patients)

  • 이지영;이진무;이창훈;조정훈;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6-230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n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of some dysmenorrhoea patients. Methods: We studied 34 patients visiting OO Medical Center from May 2007 to November 2007. And the severity of dysmenorrhoea were measured by Multidimensional Verbal Rating scale(MVRS), Verbal Rating scale (VRS) and Visual Analog Scale(VAS). And SRI and HRV were recorded. Results: According to comparison of Means of HRV values among the groups, most of the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comparison of Means of SRI, the points of almost all values were kept by order of Severe-Moderate-Mild-None group. Most of them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ysmenorrhoea scale and HRV, most of the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RV and SRI, there were some correlation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RI and dysmenorrhoea scale, most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General Linear Model of Dysmenorrhoea $scale^{\ast}SRI$ and HRV. Dysmenorrhoea scale and SRI influenced values of HRV. But it is hard to conclude the relationship between Dysmenorrhoea $scale^{\ast}SRI$ and HRV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tress is related to dysmenorrhoea. But the relation between dysmenorrhoea and HRV was hard to conclude. We need more study for settling the relation between dysmenorrhoea and HRV.

  • PDF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부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of Techer's Rating Sca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Maladjustment)

  • 정수정;오익수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2호
    • /
    • pp.163-173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교사보고형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교사의 응답을 통해 50개의 학교부적응 행동을 설정하였다. 하위척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60명의 교사가 240명의 학생의 행동을 평정한 자료에 대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공격적 자기중심적 행동, 수업 및 학급규범 일탈행동, 소극적 비사회적 행동, 학교생활 적극적 기피 행동을 확인하였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20명의 학생자료에 대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와 초등학생 문제행동체크리스트(김혜숙, 황매향, 2009)간의 상관을 구하였고,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20명의 학생자료에 대해 본 척도의 내적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의 학교 부적응에 대한 교사보고형 척도는 타당하고 신뢰로왔다.

  • PDF

우울증에 대한 예측모형 (A Prediction Model for Depression Risk)

  • 김재용;민병주;이재훈;장재승;하태현;하규섭;박태성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2호
    • /
    • pp.317-330
    • /
    • 2014
  • 양극성 장애는 조증 삽화(manic episode)와 주요 우울삽화(major depressive episode)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주요 우울삽화 시기에는 양극성 장애 환자들의 810%가 자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양극성 장애 환자를 치료할 때,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사법은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밀턴 우울평가척도 점수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선형혼합효과모형(linear mixed effects model)과 전이모형(transition model)을 제시하였다. 예측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을 방문하여 초진일 당시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가 8 점 이상인 환자들의 정보를 사용하였다. 첫 조사시점부터 6개월, 12개월 후 세 차례에 걸쳐 관측된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선형혼합효과모형과 전이모형에 적합시켰다. 그 결과를 토대로 특정시점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예측하였다. 첫 조사시점부터 6개월, 12개월 후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사용해 선형혼합효과모형과 전이모형에 적합 시켰다. 이 모델들을 이용해 조사시점부터 24개월 후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예측한다. 이 예측모델은 조사된 24개월 후의 점수와 예측된 24개월의 후의 점수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