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 aortic smooth muscle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7초

Lipid emulsion inhibits vasodilation induced by a toxic dose of bupivacaine by suppressing bupivacaine-induced PKC and CPI-17 dephosphorylation but has no effect on vasodilation induced by a toxic dose of mepivacaine

  • Cho, Hyunhoo;Ok, Seong Ho;Kwon, Seong Chun;Lee, Soo Hee;Baik, Jiseok;Kang, Sebin;Oh, Jiah;Sohn, Ju-Tae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9권4호
    • /
    • pp.229-238
    • /
    • 2016
  • Background: The goal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pid emulsion on vasodilation caused by toxic doses of bupivacaine and mepivacaine during contraction induced by a protein kinase C (PKC) activator, phorbol 12,13-dibutyrate (PDBu), in an isolated endothelium-denuded rat aorta. Methods: The effects of lipid emulsion on the dose-response curves induced by bupivacaine or mepivacaine in an isolated aorta precontracted with PDBu were assess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bupivacaine on the increased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_i$) and contraction induced by PDBu were investigated using fura-2 loaded aortic strips. Further, the effects of bupivacaine, the PKC inhibitor GF109203X and lipid emulsion, alone or in combination, on PDBu-induced PKC and phosphorylation-dependent inhibitory protein of myosin phosphatase (CPI-17) phosphorylation in rat aortic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was examin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Lipid emulsion attenuated the vasodilation induced by bupivacaine, whereas it had no effect on that induced by mepivacaine. Lipid emulsion had no effect on PDBu-induced contraction. The magnitude of bupivacaine-induced vasodil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upivacaine-induced decrease in $[Ca^{2+}]_i$. PDBu promoted PKC and CPI-17 phosphorylation in aortic VSMCs. Bupivacaine and GF109203X attenuated PDBu-induced PKC and CPI-17 phosphorylation, whereas lipid emulsion attenuated bupivacaine-mediated inhibition of PDBu-induced PKC and CPI-17 phosphoryl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pid emulsion attenuates the vasodilation induced by a toxic dose of bupivacaine via inhibition of bupivacaine-induced PKC and CPI-17 dephosphorylation. This lipid emulsion-mediated inhibition of vasodilation may be partly associated with the lipid solubility of local anesthetics.

돼지 관상동맥 및 흰쥐 흉부대동맥에서 자외선 및 가시광선 조사시 파장에 따른 기계적 반응과 Cyclic GMP의 농도변화 (Biphasic Mechanical Responses of Rat Thoracic Aorta to Irradiation with $250{\sim}500\;nm$ Light)

  • 국현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5-290
    • /
    • 1995
  • 이 실험은 여러 파장$(240{\sim}520\;nm)$의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이후 '광선'이라 표기함)을 흰쥐흉부대동맥에 조사하여 이때의 혈관장력의 변화 및 조직내 cyclic GMP농도의 변화를 관찰하기위하여 시행하였다. 돼지관상동맥 또는 흰쥐 흉부대동맥의 환상표본에 spectrofluorometer의 xenon lamp를 이용하여 여러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고 이때의 장력변동을 polygraph상에 기록하였다. Cyclic GMP농도변화는 표본에 광선을 조사한 직후 조직을 얼리고 homogenization 및 원침시킨 후 상청액을 ether로 추출하여 RIA kit로 측정하였다. Phenylephrine으로 수축된 내피존재 흰쥐 흉부 대동맥에서는 광선조사로 수축반응을 보였고 320 nm에서 최대수축반응을 일으켰다. 그 이상의 파장에서는 점차 수축반응이 감소되어 420 nm에서는 최대 이완반응을 일으킨 후 점차 기본장력으로 회복되었다. 그러나 내피제거 표본에서는 전파장에서 이완반응만을 일으켰고 이때 최대 이완반응은 370 nm에서 관찰되었다. 내피존재 표본에서 320, 380 및 420 nm의 광선을 30초간 조사한 결과 380과 420nm에서 현저한 cyclic GMP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320 nm에서는 유의한 변동이 없었다. 한편, 내피제거 표본에서는370 nm의 광선조사로 cyclic GMP함량이 약 4배 증가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부터 흰쥐 흉부대동맥은 광선조사에 의하여 내피존재 표본에서는 수축-이완의 이상성반응을, 제거표본에서는 이완반응만을 일으키고 양 표본의 이완반응은 nitric oxide-cyclic GMP계의 활성화에 기인하나 수축반응은 cyclic GMP계와 직접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 PDF

양하 꽃대의 생리활성 및 양갱 제조 (Biological Activity and Manufacturing of Yanggeng with Yangha Flower Buds)

  • 김민주;김애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180-118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폐경 이후 발생률이 높은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할 목적으로 PDGF-BB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주와 증식을 유도한 다음 양하 꽃대 추출물이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주와 증식에 미친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양하 꽃대 시료를 첨가한 양갱을 제조하여 그 품질 특성을 평가, 최적 비율의 양하 꽃대 양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주에서는 양하 꽃대 추출물 $100{\mu}g/mL$에서부터 정상세포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증식에서는 양하 꽃대 추출물 $10{\mu}g/mL$에서부터 확연히 억제되어 $1,000{\mu}g/mL$에서는 정상세포 수준까지 떨어졌다. 양하 양갱의 경우 양하 꽃대 시료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양하 꽃대를 이용한 양갱의 관능평가 결과를 종합해보면 양하 꽃대 시료 9 g 첨가군(YY9)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양하 꽃대는 항산화 활성 향상과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주와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나타났으므로, 혈관 손상을 예방해줄 수 있는 기능성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관능평가에서 우수한 점수를 보여준 양하 꽃대 시료 9 g 첨가 양하 양갱은 중년여성의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품으로 기대된다.

Inhibition of Angiotensin II-Induced Vascular Smooth Muscle Cell Hypertrophy by Different Catechins

  • Zheng, Ying;Song, Hye-Jin;Yun, Seok-Hee;Chae, Yeon-Jeong;Jia, Hao;Kim, Chan-Hyung;Ha, Tae-Sun;Sachinidis, Agapios;Ahn, Hee-Yul;Davidge, Sandra T.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2호
    • /
    • pp.117-123
    • /
    • 2005
  • A cumulative evidence indicates that consumption of tea catechin, flavan-3-ol derived from green tea leaves, lowers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However, a precise mechanism for this cardiovascular action has not yet been ful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green tea catechins, such as epigallocatechin-3 gallate (EGCG), epigallocatechin (EGC), epicatechin-3 gallate (ECG), and epicatechin (EC), on angiotensin II (Ang II)-induced hypertrophy in primary cultured rat aortic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3H$]-leucine incorporation was used to assess VSMC hypertrophy, protein kinase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ctivity, and RT-PCR was used to assess c-jun or c-fos transcription. Ang II increased [$^3H$]-leucine incorporation into VSMC. However, EGCG and ECG, but not EGC or EC, inhibited [$^3H$]-leucine incorporation increased by Ang II. Ang II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c-Jun, extracellular-signal regulated kinase (ERK) 1/2 and p38 MAPK in VSMC, however, EGCG and ECG , but not EGC or EC, attenuated c-Jun phosphorylation increased by Ang II. ERK 1/2 and p38 MAPK phosphorylation induced by Ang II were not affected by any catechins. Ang II increased c-jun and c-fos mRNA expression in VSMC, however, EGCG inhibited c-jun but not c-fos mRNA expression induced by Ang II. ECG, EGC and EC did not affect c-jun or c-fos mRNA expression induced by Ang II.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galloyl group in the position 3 of the catechin structure of EGCG or ECG is essential for inhibiting VSMC hypertrophy induced by Ang II via the specific inhibition of JNK signaling pathway, which may explain the beneficial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the pathogenesis of cardiovascular diseases observed in several epidemiological studies.

Estrogen modulates serotonin effects on vasoconstriction through Src inhibition

  • Kim, Jae Gon;Leem, Young-Eun;Kwon, Ilmin;Kang, Jong-Sun;Bae, Young Min;Cho, Hana
    •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 /
    • 제50권12호
    • /
    • pp.11.1-11.9
    • /
    • 2018
  • Estrogen has diverse effects on cardiovascular function, including regulation of the contractile response to vasoactive substances such as serotonin. The serotonin system recently emerged as an important player in the regulation of vascular tone in humans. However, hyperreactivity to serotonin appears to be a critical factor for the pathophysiology of hypertens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odulatory mechanisms of estrogen in serotonin-induced vasoconstriction by using a combinatory approach of isometric tension measurements, molecular biology, and patch-clamp techniques. $17{\beta}$-Estradiol (E2) elicited a significant and concentration-dependent relaxation of serotonin-induced contraction in deendothelialized aortic strips isolated from male rats. E2 triggered a relaxation of serotonin-induced contraction even in the presence of tamoxifen, an estrogen receptor antagonist, suggesting that E2-induced changes are not mediated by estrogen receptor. Patch-clamp studies in rat arterial myocytes showed that E2 prevented Kv channel inhibition induced by serotonin. Serotonin increased Src activation in arterial smooth muscle required for contraction, which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E2. The estrogen receptor-independent inhibition of Src by E2 was confirmed in HEK293T cells that do not express estrogen recepto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strogen exerts vasodilatory effects on serotonin-precontracted arteries via Src, implying a critical role for estrogen in the prevention of vascular hyperreactivity to serotonin.

7-Ketocholesterol에 의한 Akt 감소와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자멸사 (7-Ketocholesterol Induces Vascular Smooth Muscle Cell Apoptosis via Akt Degradation)

  • 서교원;김치대;이원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6-233
    • /
    • 2016
  •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자멸사는 죽상경화증을 비롯한 여러 혈관질환에서 일어나며, 죽상판의 불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Oxysterol은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야기하는데, 죽상경화 병변에는 비효소적으로 생성되는 주된 oxysterol인 7-ketocholesterol (7KC)이 대량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7KC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자멸사에 관하여 밝혀진 자세한 기전은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는 7KC가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일으키는 기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숫쥐의 대동맥 절편으로부터 배양한 혈관평활근세포에 7KC를 처리하여 혈관평활근세포의 생존력의 변동과 세포자멸사를 각각 methylthiazole tetrazolium bromide 분석법 및 trypan blue 분석법 그리고 유세포 분석법, 면역 형광 측정법, 면역침전법 및 웨스턴블럿 등으로 측정하였다. 7KC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생존력을 시간- 및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고, 혈관평활근세포내에 지질과산화 최종산물인 4-hydroxynonenal (HNE)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HNE 단독 처리 또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생존력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7KC 또는 HNE에 의하여 감소되었던 혈관평활근세포의 생존력은 HNE 생성 억제제인 2,4-dinitrophenyl hydrazine 전처치에 의하여 회복되었다. 더욱이 세포생존 매개인자로 잘 알려져 있는 Akt의 발현이 7KC와 HNE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고, 2,4-dinitrophenyl hydrazine 또는 N-acetylcysteine 전처치에 의하여 회복되었다.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 억제제인 lactacystin은 7KC에 의한 세포자멸사와 Akt 감소는 억제하였지만 7KC에 의한 HNE 생성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HNE에 결합된 Akt의 양은 7KC와 HNE에 의하여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 억제제인 lactacystin 전처치 시에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죽상경화 병변에서 7KC는 혈관평활근세포내 HNE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 HNE에 결합된 Akt는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에 의하여 분해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와 같은 기전에 의하여 죽상판의 불안정화가 촉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당뇨병 백서의 복부 대동맥 운동성에 대한 Vit C 의 보호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Ascorbic Acid on the Vascular Motiliti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

  • 김영진;양기민;조대윤;손동섭;이무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7호
    • /
    • pp.515-523
    • /
    • 2001
  • 배경: 당뇨병 환자에서 사망률과 이환률의 원인은 70%이상 혈관계의 합병증에 기인한다. 이러한 합병증은 혈관 내피세포 이완 작용 이상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oxygen free radical의 직접적인 독성으로 추정되어 본 연구는 당뇨를 유발시킨 백서 복부 대동맥 운동성에 대한 Vit C의 보호효과를 연구 목적으로 한다. 대상 및 방법: 백서 60마리를 실험군(n=33)과 대조군(n=27)으로 나누고 실험 군은 streptozotocin을 투여하여 당뇨를 유발시켰다. 각각 실험 군과 대조군을 ascorbic acid를 투여한 군과 투여하지 않은 군으로 세분한 후 ascorbic acid투여 직후, 6주, 9주, 12주후의 복부 대동맥 혈관근육의 운동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조군의 경우 6주째 복부 대동맥 절편에서 acetylcholine투여 후 정상적인 이완반응이 나타났으나 실험군의 경우 현저히 저하됨이 관찰되었다. 9, 12주 째 절편에서는 실험군 중 ascorbic acid투여군에서 acetylcholine에 의한 이완반응이 거의 대조군에서의 결과와 일치할 정도로 회복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당뇨병을 유발한 백서에서 내피세포 의존적인 장애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장애는 ascorbic acid의 투여로 회복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항산화 작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되므로 ascorbic acid가 당뇨환자의 혈관성 질환에 대해 보호적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