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spberry win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9초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아로니아 식초 제조를 위한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Aronia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희전;정소희;윤해훈;정지혜;송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92-79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aronia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Alcohol content of aronia wine was 13.1% after alcohol fermentation of aronia fruits.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were determined by five levels of initial aronia alcohol content, initial acetic acid content, and acetic acid bacteria, using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acetic acid yields, residual alcohol contents, pH, and color values (L, a, b) of acetic acid fermentation products were very significantly different ($p{\leq}0.01$), and were 26.34~57.82 g/L, 0.80~1.53%, 3.19~3.43, 47.58~71.00, 31.77~51.15, and 18.45~48.57, respectively. For the results,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aronia were 7.78% of the initial alcohol concentration, 1.58% of the initial acetic acid, and 19.39% of the acetic acid bacteria.

시판 복분자주의 기호도 분석을 통한 탐색적 등급 분류 (Exploratory Study on the Quality Grade of Korea Black Raspberry Wines by Using Consumer Preference Data)

  • 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2-357
    • /
    • 2014
  • 수도권 거주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전국에서 시판되는 24종의 복분자주의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24개 복분자주 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 평가의 분산분석을 통해 기호도 평가에 연령 및 성별간의 차이보다는 개인 간의 차이가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시료 간 유사한 기호도 평가를 보인 세 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세 개의 군집은 기호척도의 빈도수 분포와 실제 기호도 평균 점수에서 군집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군집 분류를 바탕으로 판별분석을 활용하여 군집의 분류가 적절한지 또한 판별함수의 예측력은 적정한지 파악하였다. 판별분석결과 분류율이 100%로 적절한 예측력을 보였고, 세 군집간의 마할라노비스거리와 추출된 요인 내에서의 분포도도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우리술의 품질평가시스템 개발에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활용한 평가방법이 활용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국내 복분자 주요 산지별 복분자주 제조 및 발효특성 분석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s from Different Regions During Fermentation)

  • 이승주;안봄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62-667
    • /
    • 2009
  • 국내 복분자 생산 주요 산지인 고창, 순창, 정읍과 횡성산 복분자를 수거하여 각 산지별 복분자주를 제조하고 이들 시료의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관찰하였다. 원료 복분자의 pH는 3.43-3.52 수준으로 산지별 차이가 없었고 발효과정 중에도 pH는 산지별 비슷한 수치를 보이며 변화하였다. 총산도는 고창산 복분자주가 발효초기(9.98 g/L)와 발효 후(13.43 g/L) 모두 다른 산지의 복분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원료 복분자의 초기 당도는 $6.9-7.8^{\circ}Bx$로 비슷하였고, 발효 후 복분자주의 알코올 함량은 15.8-16.4% 범위였다. 환원당 함량은 원료복분자의 경우 2.57-4.49 g/100 mL이었고, 복분자주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당이 알코올로 발효되면서 감소하여 최종 1.3-1.47 g/100 mL로 나타났다. 산지별 차이를 많이 보인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총 페놀함량과 색도, hue, intensity를 들 수 있다. 총 페놀함량은 정읍산 복분자주(4405.5 mg/L)가 다른 지역산 시료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색도 또한 정읍산이 원료 복분자와 최종 복분자주에서 모두 다른 시료에 비해 낮게 나타나 가장 짙고 불투명한 붉은색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고창, 횡성, 순창산 복분자주는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정읍 제품은 차이를 보였다. 향후 복분자주에 대한 품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해 연도별 및 지역별 복분자 및 복분자주의 다양한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Structu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amnogalacturonan II from Fruit Wines

  • Park, So-Yeon;Shin, Kwang-S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270-274
    • /
    • 2007
  • To characterize the polysaccharides which exist as soluble forms in fruit wines, crude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from red, white, raspberry, wild grape, and pear wine, respectively. Among them, the crude polysaccharide (RW-0) in red wine showed the highest yield and considerable amounts of thiobarbituric acid (TBA)-positive materials. The pectic polysaccharide RW-2 was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RW-0 by subsequent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using Sephadex G-75 and its structure was characterized. RW-2 consisted of 14 different monosaccharides which included rarely observed sugars in general polysaccharides, such as 2-O-methyl-fucose, 2-O-methyl-xylose, apiose (Api), 3-C-carboxy-5-deoxy-L-xylose (aceric acid, AceA), 3-deoxy-D-manno-2-octulosonic acid (Kdo), and 3-deoxy-D-lyxo-2-heptulosaric acid (Dha). Methy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RW-2 comprised at least 20 different glycosyl linkages such as 3,4-linked fucose, 2,3,4-linked rhamnose, 3'-linked apiose, and 2,3,3'-linked apiose, being characteristic in rhamnogalacturonan II (RG-II). High performance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indicated that RW-2 mainly comprised RG-II of higher molecular weight (12,000), and that the changes of molecular weight to apparent 7,000 under less than pH 2.0 were observed. These analyses indicated that the higher molecular weight polysaccharide in RW-2 was mainly present as a RG-II dimer.

가수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복분자 와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Black Raspberry Bokbunja Wines Produced Using Different Amounts of Water in the Fermentation Process)

  • 서승호;유선아;강보식;손홍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3-38
    • /
    • 2014
  • 발효 전 가수량에 따른 복분자 와인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복분자 중량 대비 0배(A), 1배(B), 2배(C), 3배(D) 그리고 4배(E)의 물을 첨가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초기 pH는 높았지만, 발효 후에는 오히려 pH가 낮은 값을 보였다. 총산도는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했지만, 감소되는 비율은 적었다.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발효 속도가 느려졌지만, 최종 알코올 함량은 높았다. 가수를 하지 않은 복분자 와인(A)에 비해 가수를 하고 제조한 복분자 와인(B, C, D, E)의 복분자 원료당 추출되는 총 폴리페놀 함량은 2.86-4.42배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58-3.01배 높았다.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한 시판 복분자주의 휘발성분 분석 (Volatile Analysis of Commercial Korean Black Raspberry Wines (Bokbunjaju) Using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 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5-431
    • /
    • 2014
  • 국내 주요 시판 복분자주 24종을 수거하여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HS-SPME법에 의해 추출한 후, GC-MS를 이용하여 분석 동정하였고 이들 성분의 정량 분석도 실시하였다. 총 43개의 성분이 동정되었고, 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15 esters, 3 ketones, 7 alcohols, 2 aldehydes, 12 terpene류, 4 acids 성분이 동정되었다. ethyl acetate, ethyl octanoate, iso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이 동정된 성분중 높은 농도를 차지하였고, 그 외 ethyl hexanoate, ethyl decanoate, benzadehyde, dL-limonene, linalool, alpha-terpineol, myrtenol, acetic acid가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향기성분 구성 및 함량에 따라 제조지역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복분자주에 사용되는 복분자 품종이 대개 북미산인 Rubus occidentalis L.으로 동일한 품종이 전국에 재배됨에 따라 향기성분 구성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복분자주 제조과정의 특성상 발효 후 제성과정을 통해 발효 원주의 함량과 성분에 변화가 생기므로 생산지역보다는 제조공정 및 방법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향후 생산지역별 제조시 사용되는 복분자에 대한 좀 더 자세한 품종 및 재배 특성에 대한 연구와 제조공정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향기성분 분포의 경우, 주요 발효산물인 ester, alcohol, acid 성분은 대개 1 사분면에 분포하고, 복분자 과실에서 유래하는 terpene류의 경우 4 사분면에 모두 분포하여 이들 성분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향후 복분자주 품질관련 주요 지표물질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오디와인의 생리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제의 분석 (Biological activity and analysis of α-glucosidase inhibitor from mulberry (Morus alba L.) wine)

  • 손우림;최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7-885
    • /
    • 2013
  • 본 연구는 오디를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와인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4가지 베리류과실(오디, 블루베리, 딸기, 복분자)와인의 항당뇨, 항노화 및 항산화활성을 ${\alpha}$-glucosidase, tyrosinase 및 DPPH radical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가장 강한 오디와인으로부터 저해제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또한, 3 가지 뽕나무 품종(익수뽕, 대성뽕, 청일뽕) 오디를 이용하여 오디와인을 제조하여 품종과 발효에 따른 ${\alpha}$-glucosidase 저해제의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가지 베리류과실 와인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노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오디와인이 가장 높은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69.37%) 나타내었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블루베리(64.57%) 및 오디와인(62.48%)이 유사하게 높았으며, 딸기와인이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59.63%)을 나타내었다. 이 중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가장 높은 오디와인으로부터 효소저해제를 분리 및 동정하기 위해 오디와인을 먼저 감압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다음 Diaion HP-20, ODS-A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4가지 분획을 얻었으며, 이 중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가장 강한 Fr. 4로부터 UV 및 NMR 분석을 통해 quercetin를 동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뽕나무 품종 및 발효에 따른 오디와인의 ${\alpha}$-glucosidase 저해제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성뽕 오디와인의 quercetin 함량(16.83 ppm)이 가장 높았으나, 익수뽕 및 청일뽕 오디와인의 quercetin 함량은 각각 14.85 및 8.92 ppm으로 낮았다. 그리고 발효 및 숙성에 따라 오디와인의 quercetin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4가지 베리류 과실와인 중 오디와인이 가장 높은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주된 저해물질은 quercetin임을 기기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기에 향후 오디와인은 당뇨예방용 기능성와인으로서 크게 각광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토종발효미생물을 이용한 오디 발효주의 항산화 활성 및 향기성분 분석 (Antioxidant Activity and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Mulberry Wine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B-8)

  • 채규서;정지혜;윤해훈;손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017-102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토종발효미생물 S. cerevisiae B-8을 이용한 오디 발효주(MBB)와 시판건조효모 Fermivin을 이용한 오디 발효주(MBF)의 발효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고,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두 종의 제조된 발효주와 오디생과 착즙액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radical 소거 활성, ABTS radical 소거 활성,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토종발효미생물 S. cerevisiae B-8로 발효한 발효주의 향기성분을 Fermivin 발효주의 향기성분과 비교하여 풍미나 식향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S. cerevisiae B-8은 국내 복분자로부터 분리된 토종발효미생물이며, 이와 Fermivin을 각각 오디에 $1{\times}10^9$ CFU/kg으로 접종하여 $25^{\circ}C$에서 10일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MBF의 최종 품질은 알코올 15.44%, 당도 $11.2^{\circ}Bx$, 산도 0.75%로 발효 속도는 MBB보다 약 2배 정도 빠르며 최종 알코올 생성량이 약 1% 정도 높아 우수한 알코올 생성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MBF가 $1.90{\pm}0.02$ GAE mg/mL, MBB는 $1.97{\pm}0.01$ GAE mg/mL로 Fermivin보다 토종발효미생물인 S. cerevisiae B-8로 발효한 MBB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MBB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0.57{\pm}0.01$ RU mg/mL)은 MBF와 비슷한 함량을 보였으며, MBJ보다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 검증을 위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IC_{50}$ 값을 비교한 결과 오디 착즙액보다 두 종의 발효주의 활성이 증가하였고, MBB($73.62{\pm}0.37{\mu}L/mL$)와 MBF($70.86{\pm}0.79{\mu}L/mL$)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 결과 $IC_{50}$ 값은 MBB($19.16{\pm}0.25{\mu}L/mL$), MBF($19.90{\pm}0.19{\mu}L/mL$), 착즙액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환원력도 MBB가 MBF보다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여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MBB가 MBF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두 종의 오디 발효주에서 분석된 23개의 휘발성분(Table 4) 중 술의 향기성분에 크게 관여하는 과일향이나 와인향의 풍미를 지닌 ester류 15종과 과일향의 acetate류 1종, aldehyde류 1종과 술의 주성분인 ethyl alcohol을 제외한 alcohol 6종이 분석되었다. Ethyl caprylate와 달콤하면서 견과류 향을 나타내는 decanoic acid, ethyl ester가 MBF보다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드럽고 orris, violet과 같은 oil 특성을 나타내는 tetradecanoic acid, ethyl ester는 MBF보다 MBB가 약 10배 많은 함량을 보였다. 그 외 술의 향미에 크게 관여하는 ester류 화합물이 MBB보다 MBF에서 대체적으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토종발효미생물 S. cerevisiae B-8을 이용한 발효주는 시판되는 Fermivin을 이용한 발효주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향기성분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풍부한 ester 화합물을 지녀 향미나 식향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되어 토종발효미생물 S. cerevisiae B-8의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산 나무딸기류 과일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spberry and Black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 오현희;황금택;김무열;이희권;김성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38-7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거나 야생의 나무딸기류 20 종류를 수집하여 무게, 수분함량, 과즙의 당도, pH, 산도, pH를 측정하고, 과즙의 당 조성 및 유기산 조성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나무딸기류 과일의 무게는 $0.9{\sim}7.8g$이었고, 과일의 수분함량은 $82.0{\sim}90.3%$였다. 나무딸기류 과즙의 당도는 $6.9{\sim}16.9%$(Brix)로 다양하였다. HPLC로 분석한 나무딸기류 과즙의 당은 glucose(총당 함량의 $40.7{\sim}84.0%$(w/w))와 fructose($6.5{\sim}57.5%$)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 일부 과일에는 sucrose와 xylose도 미량 존재하였다. 과즙의 pH는 $2.8{\sim}3.9$였고, 적정산도는 $0.6{\sim}2.9%$(w/v, citric acid)였다. 나무딸기류 과즙의 유기산을 HPLC로 분석한 결과, citric acid(총산 함량의 $14.6{\sim}87.5%$(w/w))와 malic acid ($9.6{\sim}87.1%$)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 일부 과일에는 tartar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토종효모를 이용한 블루베리 발효주의 발효 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Wine Using Traditional Yeast)

  • 윤해훈;채규서;손락호;정지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40-8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복분자로부터 분리된 토종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M-5와 수입 시판건조효모 Fermivin을 이용한 블루베리의 발효 품질 특성을 확인하였고,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S. cerevisiae M-5와 Fermivin을 블루베리에 $1{\times}10^9CFU/kg$이 되도록 접종하여 $25^{\circ}C$에서 39일간 발효를 진행하였다. S. cerevisiae M-5를 이용한 블루베리 발효주(BBM)의 최종 품질은 알코올 13.10%, 당도 $8.42^{\circ}Bx$, 산도 1.183%였으며, Fermivin을 이용한 블루베리 발효주(BBF)는 알코올 14.20%, 당도 $8.2^{\circ}Bx$, 산도 1.153%로 발효가 완료되었다. 발효 특성은 BBM이 BBF와 비교 시 초기 발효 속도가 빠르며 최종 알코올 생성량은 약 1%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BBJ가 $0.74{\pm}0.07TAE\;mg/mL$, BBM이 $1.34{\pm}0.20\;TAE\;mg/mL$, BBF가 $1.09{\pm}0.01\;TAE\;mg/mL$로 발효 시 증가되었으며, BBM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BBF보다 약 1.2배 높게 확인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BBM이 $0.61{\pm}0.20\;QUE\;mg/mL$, BBF가 $0.55{\pm}0.08\;QUE\;mg/mL$로 발효하였을 때 증가하며 BBM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확인을 위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그리고 환원력 또한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던 BBM이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모를 달리하여 제조된 블루베리 발효주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색상의 경우 BBF가 높았으나 향미, 맛, 전체적인 기호도는 BBM이 우수한 기호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토종 효모 S. cerevisiae M-5를 이용한 발효주는 수입 시판건조 효모 Fermivin을 이용한 발효주보다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기호도에서 우수하게 평가되어 토종효모 S. cerevisiae M-5는 와인 제조 등과 같은 산업적 활용이 가능하고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