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renes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등급체계 분석을 통한 청조(淸朝) 관복제도의 민족적 특성 연구 (On Ethnic Characteristics of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by Analyzing the Rank System)

  • 박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54-56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ethnic characteristics of official uniforms of Qing(淸)) by comparing the rank systems of official uniforms of Ming(명(明)) and Qing(淸)) dynasties. As research documents, Dai-Ming-Huidian(大明會典)) and Qing-Huidian-Tu(淸明會圖)) have been use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many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Manchurians (滿族)) in the official uniforms of Qing(淸)) dynasty.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Qing dynasty made their own official uniform based on the traditional Manchurians(滿族)) costume, and added rank system on it. Second, Qing dynasty used the animal's leather as the material of official uniforms and distinguished the level of the uniforms according to the rerity value of rareness, color, and warmth of the leather. Third, Qing dynasty used pearls produced in Manchuria as the highest level, as opposed to jades and rhinoceros horns of Ming. Fourth, Qing dynasty eliminated the animal's rank system of twelve patterns which had been used for whole history of China, but the Emperor is the only man who is able to use twelve patterns. Qing dynasty made her own pattern system of standstill/moving dragons and standstill/moving pythons. Fifth, Qing dynasty used the rank system by colors in the order of yellow, red, and blue consistently over various official uniforms, while Ming used different color orders for different uniforms.

재발성 이성대상포진과 동반된 성대마비 없는 대상포진 인후두염 1예 (A Case of Recurred Herpes Zoster Oticus Concomitantly Occurred with Zoster Laryngopharyngitis Without Vocal Cord Palsy)

  • 차은주;정유진;조현호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68
    • /
    • 2019
  • Herpes zoster oticus is one of complication of varicella zoster virus (VZV) reactivation in the geniculate ganglion of the facial nerve, which is the most common presentation of herpes zoster in the head and neck region. However, VZV infection of the larynx has rarely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 compared with Herpes zoster oticus. Moreover, zoster laryngopharyngitis simultaneously occurred with recurred Herpes zoster oticus which has no newly developing motor dysfunction has not been reported yet. Therefore, these diseases are difficult to diagnose due to its rareness. However, distinctive appearances such as unilateral herpetic mucosal eruptions and vesicles are useful and essential in making a quick and accurate diagnosis. Thus, we report a characteristic case of zoster laryngopharyngitis simultaneously occurred with recurred Herpes zoster oticus not accompanied by any newly developing motor palsy.

국내산 약용식물의 항산화물질 탐색 및 분리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 송정춘;박남규;허한순;방면호;백남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4-101
    • /
    • 2000
  •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산화물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약용작물 38종을 수집하여 항산화 활성물질을 탐색한 결과 가시오갈피, 구절초, 건강, 목단, 시호, 산수유, 삼백초, 산사, 유근피, 작약, 천궁, 홍화씨, 및 황금등 13종이 항산화 활성이 높은 생약재로 선발되었다. 선발된 13종의 생약재중 홍화씨에 대한 활성물질을 추적, 분리하여 NMR로 물질구조를 동정한 결과 N-feruloylserotonin이 항산화 물질이라는 것을 처음 밝혀냈다. DPPH radical소거 활성에 의한 기존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BHA 및 BHT를 N-feruloylserotonin과 항산화력를 비교한 결과 N-feruloylserotonin이 $6.6{\mu}g/ml$로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실측자료에 근거한 도개교량의 거동 분석 (Analysis of Bascule Bridge Behavior Based on Measurement Data)

  • 공병승;노동오;경갑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8-25
    • /
    • 2016
  • 하천 또는 해안의 선박운항을 위한 도개교는 그 희소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랜드마크로의 역할을 인정받으면서, 국외의 경우 세심한 유지관리로 수십 년 이상 공용기간을 지속하고 있는 사례가 적지 않다. 국내 유일의 도개교인 영도대교는 부식과 노화로 철거 후, 2013년에 재가설 되었으며, 현재 1일 1회 도개를 실시하고 있다. 최근 교량의 안전과 유지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주기적인 안전진단이 수행되지만 도개교에 대한 계측 및 분석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개교가 상승 및 하강하는 도개과정과 상시 사용상태에서의 계측자료를 토대로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도개교의 응력, 진동, 반력 등 실제 거동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 결과는 추후 공용연수의 증가 및 도개횟수의 증가에 따른 교량거동의 변동 추세를 분석하기 위한 초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흔치 않은 위치에서 발생한 호흡상피 선종양 과오종: 증례 보고와 문헌고찰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at an Unusual Locatio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권다은;김다미;송창준;이인호;김용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247-251
    • /
    • 2024
  • 두경부의 호흡상피 선종양 과오종은 섬모호흡상피로 둘러싸인 선조직으로 구성된 드문 양성종양이다. 두경부의 비강, 부비동 또는 비인강의 호흡상피 선종양 과오종이 현재까지 보고되었다. 호흡상피 선종양 과오종은 드물고 특징적인 영상 소견이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흔하지 않은 위치에 비특이적인 낭성종물로 발생한 경우 영상의학적 진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저자들은 볼쪽공간(상악후방 지방층)에서 낭성종물의 형태로 나타난 병리적으로 진단된 호흡상피 선종양 과오종의 CT 및 MRI 영상 소견을 증례 보고하고자 한다.

내부 침식 평가 도구를 이용한 국내 필댐의 지반공학적 시스템 응답 확률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Geotechnical System Response Probabilities of Fill Dams in Korea Using Internal Erosion Toolbox)

  • 김우용;임정열;목영진;정영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245-25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미 공병단의 내부 침식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결함 이력을 가진 국내 3개소의 필댐에 대해 내부 침식에 의한 지반공학적 파괴 시나리오의 시스템 응답 확률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확률을 국외 사례에서 조사된 시스템 응답 확률의 범위 및 국내 댐의 과거 사고 통계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댐에서 구조물 인접부의 내부 침식 파괴에 대한 시스템 응답 확률은 최대 $10^{-5}$ 수준으로 다른 파괴 시나리오에 대한 값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평가되었으며, 실제 국내에서도 구조물 인접부에서 가장 빈번하게 내부 침식 사고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국외에서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기초 지반을 통한 내부 침식과 관련된 파괴 시나리오의 지반공학적 시스템 응답 확률은 상당히 낮은 수준의 $10^{-7}$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실제 국내에서 기초 지반을 통한 내부 침식으로 인해 발생한 댐 파괴 사례가 거의 전무하다는 사실과 유사한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