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re Value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7초

영남육괴 중부 무주 지역에 위치하는 선캠브리아기 화강편마암 및 앰피볼라이트 시추코아의 Sm-Nd 연대 및 지구화학적 특징 (Geochemistry and Sm-Nd isotope systematics of Precambrian granitic gneiss and amphibolite core at the Muju area, middle Yeongnam Massif)

  • 이승구;김용제;김건한
    • 암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27-140
    • /
    • 2005
  • 영남육괴의 중부의 무주군 적상면 삼유리 일대에는 선캠브리아기 원남층군에 해당되는 화강암질 편마암, 반상변정 화강암질 편마암과 우백질 편마암이 분포한다. 이 논문에서는 화강암질 편마암 지역에서 200m심도 까지 굴착한 시추코아의 주성분, 미량성분, 희토류원소 그리고 Sm-Nd, Rb-Sr 동위원소 자료의 지구화학적 의의를 토의하고자 한다. 시추코아의 암상은 심도에 따라 변하고, 주로 화강암질 편마암과 앰피볼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주성분 및 미량성분의 화학조성 자료를 토대로 한 연구지역내 화강암질 편마암 및 앰피볼라이트의 기원물질은 각각 TTG(Tonalite-Trondhjemite-Granodiorite) 계열 및 솔레아이트 계열의 암석에 속한다. 희토류원소의 분포도를 보면 경희토류(La-Sm)와 중희토류(Gd-Lu)의 변화 및 Eu의 부(-)의 이상이 매우 다양하다. Sm-Nd 동위원소자료에 따른 등시선에 의하면 $2,026{\pm}230(2{\sigma})$ Ma의 연대를 보여주며, 이때의 Nd 초기치는 $0.50979{\pm}0.00028(2{\sigma})$이다. 그리고 ${\epsilon}_{Nd}$(2.0 Ga)값은 -4.4로 연구지역 변성암류의 기원물질이 고기의 지각물질임을 지시해준다. 이 값은 북중국지괴 시생대 기반암의 진화영역에 속하며, 특히 Lee et al.(2005)이 제안한 영남육괴내 Nd 동위원소 초기치의 진화와 일치하는 상관성을 갖는다. 그리고 앰피볼라이트의 희토류원소 분포도와 Nd 초기치는 앰피볼라이트의 기원물질이 결핍된 맨틀과 지각을 형성하기 시작한 초기마그마와 매우 유사함을 지시해준다.

미만성 갑상선중독증(그레이브씨병)의 갑상선 아전절제술 후 갑상선 기능의 변화에 대한 연구 (The Changes of Thyroid Function after Subtotal Thyroidectomy in Diffuse Toxic Goiter(Graves' Disease))

  • 송은영;김성배;김상효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0-64
    • /
    • 2002
  • Objectives: Three classic treatment modalities have been used to treat Graves' disease: antithyroid medication, radioiodine ablation, and subtotal thyroidectomy. Postoperative thyroid functions were studied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treated by subtotal thyroidectomy to evaluate the superiority of surgic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fourty patients of Graves' disease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in follow-up for more than three years following subtotal thyroidectomy. Postoperative serum levels of $T_3,\;T_4, TSH, TSH-R Ab, free $T_4$, were evaluated to watch hypo- or hyperthyroidsm. Results: In the evaluation of preop- and postoperative thyroid function after three years of subtotal thyroidectomy, $T_3$ was changed from $464.10{\pm}196.16ng/dl$ to $140.41{\pm}76.56ng/dl$ in mean value, $T_4$ was changed from $20.76{\pm}7.98{\mu}g/dl$ to $9.54{\pm}4.02{\mu}g/dl$, $TSHT_3$ was changed from $0.55{\pm}4.42{\mu}u/ml$ to $4.96{\pm}7.20{\mu}u/ml$, TSH-R Ab was changed from $41.6{\pm}28.27%$ to $28.7{\pm}28.79%$ and free $T_4$ was changed from $4.45{\pm}2.33ng/dl$ to $1.44{\pm}0.69ng/dl$ in mean value. Euthyroidism was noted in 118 patients(84.3%), overt hyperthyroidism in 6 patiens(4.3%), latent hyperthyroidism in 8 patients(5.7%), overt hypothyroidism in 2 patint(1.4%), and latent hypothyroidism in 6 patients(4.3%). Of surgical complications, permanant hypoparathyroidism was found in one patient, 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y in two patients, postoprative bleeding with reoperation in two patients, and death in one patient. Conclusion: The thyroid function after subtotal thyroidectomy in diffuse toxic goiter is normal level (euthyroidism) in 84.3% and low recurrence rate of hyperthyroidism is showed with rare surgical complication. Therefore, subtotal thyroidectomy in diffuse toxic goiter is more effective and safe than RI or longterm ATD treatment, if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skillful surgeon.

군자산 자생 망개나무 임분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Stands at Mt. Gunja)

  • 이경수;정태영;박철하;한주환;이귀용;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579-591
    • /
    • 2012
  • 산림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며 밀원식물로도 중요한 망개나무 자생지의 환경적 특성과 개체군 및 군집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군자산의 망개나무 임분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지는 중부기후구 낙엽활엽수림이고, 경사도는 $5-25^{\circ}$, 암석노출율은 30-90%, 토양 pH는 6.37였다. 본 조사 임분 36 ha에서 망개나무는 ha당 18.2본, 총 656개체가 있었으며, 평균수고 11.8 m, 평균흉고직경 22.6 cm, 임령은 최고 56년, 맹아발생 개체비율은 32.9%, 그루당 맹아발생은 최고 8개였다. 이 망개나무 임분은 당단풍나무군락-고로쇠나무군, 당단풍나무군락-갈참나무군, 그리고 망개나무군락군-졸참나무군락의 3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이들 식생단위에서 망개나무의 평균중요치(MIV)는 10.9%, 종다양도는 0.77-1.31, 종내경쟁은 0.78-0.94, 우점도는 0.07-0.29, 균재도는 0.71-0.93이었다. 현재 군자산의 망개나무 임분에서는 망개나무가 우점이지만, 하층목은 층층나무와 느릅나무 등으로 자연천이가 일어나고 있었다.

망개나무림(林)의 군집(群集) 구조(構造)와 개체군(個體群) 구조(構造) (Commun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Forest)

  • 이준혁;윤충원;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69-276
    • /
    • 2005
  • 경상북도 군위군 장곡리에서 발견된 희귀식물인 망개나무군락에 대하여 군집 구조와 개체군 구조를 구명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군집 구조를 볼 때, 조사지의 망개나무림은 소태나무군, 털대사초군 및 전형군의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층위별 종구성의 경우 망개나무는 교목층 42.82%, 아교목층 34.43%, 관목층에는 5.28%를 각각 점유하였으며, 기타 굴참나무, 굴피나무 및 졸참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군집유형별 종다양도는 소태나무군이 1.6669로사 가장 높았다. 둘째, 개체군 구조를 볼 때, 망개나무 개체군은 직경이 6 cm~10cm 사이에 가장 많은 개체가 분포하였고, 전반적으로 역J자형의 구조를 나타내었으며, 수고급은 최고 14m에 이르는 개체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수령구조는 11년에서부터 60년까지 범위로 전반적으로 정규분포형을 나타내었으며, 망개나무 분지수는 최고 13개이며, 거의 대부분 4개 이하로 나타났다. 한편, 망개나무의 치수는 상층임관이 열려있는 임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므로 앞으로 망개나무림의 관리대책을 수립할 때 이러한 점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치아 및 임플랜트 지지 고정성 국소의치에서 내가동 연결장치의 변형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A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DEFLECTION OF IMC IN THE TOOTH AND IMPLANT 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

  • 김창호;최아영;계기성;조규종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08-329
    • /
    • 1997
  • A lot of the research paper was reported about the result of influence of IMC (Intra-mobile connector) in the IMZ implant placed solely in the alveolar bone, but reports about the effect of IMC on functional load at state of connecting with natural teeth ere rare. The major propose of this study was find the mechanical character of IMC itself by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after simulated variance of condition connected with the natural teeth and implant on funcional load. When first and second premolar was lost, IMZ implant was placed with a diameter of 3.3mm and a length of 13mm with IMC in second premolar area. Rigid connection was done and the non-figid connention was located on the female part of the canine abutment and the implant respectively and then both the infraocclusion of $30{\mu}m$ and the non-infraocclusion under the load of 40kg applied to the portion of the natural teeth, the pontic and the implant. The displacement and the stress of it was estimated and analyzed IMC itself of the rigid connection and the non-rigid connection was grouped.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 In all groups, the displacement of Y-axis was greater than that of X-axis and the aspect of displacement showed that IMC was displaced downward and to the center. 2.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displacement of IMC regardless of the connection type. 3. In the displacement of IMC, I 4 was the least, I 1 and I 3 are similar and I 2 was the greatest. 4.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peak value of maximal stress of IMC regardless of the connection type. 5. In the peak value of maximal stress of IMC, I 4 was the least, I 1 and I 3 were similar, and I 2 was the largest.

  • PDF

정상 폐활량을 보이는 성인 환자에서 $FEF_{25{\sim}75%}$를 통한 기관지확장제 반응의 예견 (Prediction of Brobchodilator Response by Using $FEF_{25{\sim}75%}$ in Adult Patient with a Normal Spirometry Result)

  • 박세환;이승엽;강승모;선춘식;김현경;이병훈;이재형;김상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3호
    • /
    • pp.188-194
    • /
    • 2011
  • Background: When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symptoms have a normal spirometry result, it is not always easy to consider bronchial asthma as the preferential diagnosis. Forced expiratory flow between 25% and 75% of vital capacity ($FEF_{25{\sim}75%}$) is known as a useful diagnostic value of small airway diseases. However, it is not commonly used, because of its high individual variability. We evaluated the pattern of bronchodilator responsiveness (BD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FEF_{25{\sim}75%}$ and BDR in patients with suspicious asthma and normal spirometry. Methods: Among patients with suspicious bronchial asthma, 440 adult patients with a normal spirometry result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_1$]/forced vital capacity [FVC] ${\geq}70%$ & $FEV_1%$ predicted ${\geq}80%$) were enrolled. We divided this group into a positive BDR group (n=43) and negative BDR group (n=397), based on the result of BDR. A comparison was carried out of spirometric parameters with % change of $FEV_1$ after bronchodilator (${\Delta}FEV_1%$). Results: Among the 440 patients with normal spirometry, $FEF_{25{\sim}75%}%$ predicte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lta}FEV_1%$ (r=-0.22, p<0.01), and BDR was positive in 43 patients (9.78%). The means of $FEF_{25{\sim}75%}%$ predicted were $64.0{\pm}14.5%$ in the BDR (+) group and $72.9{\pm}20.8%$ in the BDR (-) group (p<0.01).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EF_{25{\sim}75%}%$ predicted and ${\Delta}FEV_1%$ was stronger in the BDR (+) group (r=-0.38, p=0.01) than in the BDR (-) group (r=-0.17, p<0.01). In the ROC curve analysis, $FEF_{25{\sim}75%}$ at 75% of predicted value had 88.3% sensitivity and 40.3% specificity for detecting a positive BDR. Conclusion: BDR (+) was not rare in patients with suspicious asthma and normal spirometry. In these patients, $FEF_{25{\sim}75%}%$ predicted was well correlated with BDR.

경험적 확률분포와 만족도에 기반한 정량적 신뢰 모델 (A Quantitative Trust Model based on Empirical Outcome Distributions and Satisfaction Degree)

  • 김학준;손봉기;이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7호
    • /
    • pp.633-642
    • /
    • 2006
  •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는 서로 잘 모르는 사람이나 시스템과 상호거래를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서로 다른 개체에 대한 신뢰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상호 거래의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불확실성과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상대 개체와 직접 경험한 신뢰정보와 추천자에 의한 명성정보를 계산하여 이를 활용하는 방법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개체에 대한 신뢰를 계산하기 위해 상호거래 결과를 누적한 경험적 확률분포와 여러 가지의 평가 기준에 의한 만족도를 계산하고, 이를 다른 개체들로부터의 추천정보와 결합하여 계산하는 신뢰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에서는 개체의 신뢰도를 개체가 주어진 상황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낼 기대값으로 정의하고, 다른 개체와 상호작용이 일어날 때마다 각 평가 기준에 따른 평가결과가 얻어진다고 전제한다. 신뢰 정보가 요구될 때 우선 경험적 확률분포와 개체의 평가결과에 대한 선호도를 고려하여 각 평가 기준에 대한 만족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만족도 값들은 각 평가기준의 중요도를 반영하여 하나의 신뢰값으로 결합되며, 이때 추천 정보도 신뢰값에 함께 결합되는 모델이다. 이 논문에서는 제안한 모델을 이용해 전자상거래에 적용한 실험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Comparative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in Composite Resin Brackets with Metal Slot of Permanent Maxillary Central Incisor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A Pilot Study

  • Im, Jae-Jung;Song, Jae-Joon;Kim, Nan-Hee;Heo, Jin-Young;Jung, Gyu-Un;Hwang, Kyung-Gyun;Park, Chang-Joo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46-51
    • /
    • 2011
  • Purpose: For aesthetic reasons, composite resin brackets are widely used. However, related studies are rare. This pilot study sought to compare the stress distributions in two commercially available composite resin brackets with metal slot. Materials and Methods: Two commercially available resin brackets -- full-metal slot resin bracket (fSRB) and partial-metal slot resin bracket (pSRB) with straight wire appliance dimension of $0.022{\times}0.028$ in -- were selected. In each bracket,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constructed, and stress level was evaluat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By loading the tipping force and torsion moment, which are similar to those applied by the stainless steel rectangular wire ($0.019{\times}0.025$ -in), stress distributions were calculated, and von Mises stress values were obtained. Results: In pSRB and fSRB, the stress value of the torque moment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tipping force. The pSRB showed higher stress value than fSRB in both tipping force and torque moment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size and configuration of the metal frame inserted into the slot. More stress was also found to be concentrated on the slot area than the wing area in fSRB. Conclusion: The slot form of fSRB was found to be more resistant to the stress of tipping and torque than the slot form of pSRB. In addition, the slot areas -- rather than the wing areas -- of the bracket showed breakage susceptibility. Therefore, resistance to the torque moment on the slot area should be considered in bracket design.

한국의 폐광산 지하 채굴갱도 기초형상 분석 및 개선된 광산 지하공동 측정·분석 기술 연구 (A Study on the Basic Geometry Analysis of Abandoned Underground Mine Tunnels in Korea and Advanced Measuring-Analysis Technology for Underground Mine Cavities)

  • 김수로;박성빈;최병희;윤중만;정교철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6권6호
    • /
    • pp.455-465
    • /
    • 2016
  • 광물자원 채굴을 위한 지하 채굴공동의 붕괴는 인간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의 지반침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거 광산지역에 대한 도면이나 사진 자료는 광해방지사업을 위하여 중요한 정보가 되고 있다. 광산지역의 조사, 광산 안정성 평가, 보강공사 등 일련의 과정은 통상적으로 과거 폐광산의 도면 및 사진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된다. 한국은 일제강점기 및 1960년대 광산 활황기에 수많은 광산이 무질서하게 개발되었다. 그러나 광산 관련 정보는 사용에 제한적인 상황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희소해질 것으로 본다. 한국광해관리공단은 현실적인 대안을 수립코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광산개발 굴진에 관련한 대한 기초정보를 통계적으로 검토하고, 진보된 폐광산 지하공동 측정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의 1,784개 폐광산에 대한 4473개 갱도(갱구) 조사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소규모 갱도(갱구) 평균 수치는 높이 1.982 m이며, 폭 1.959 m로 분석되었다. 또한 형상계수(shape factor, S)의 평균값은 0.485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폐광산 수치 자료는 한국의 폐광산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광산 지하공동 측정기술의 발전은 미래의 광산 지반침하방지사업의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서부 비무장지대 일원 미보고 산림습원의 특성 및 보전 가치 평가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of newly discovered seven forest wetlands in the western part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Ecoregion)

  • 김재현;박신영;이명화;이지열;김영진;홍영철;천지연;김승호;안종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8-28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서부 비무장지대-민간인 통제선 권역에서,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산림습원 7곳을 발견, 정밀 조사하여 보전가치를 평가하였다. 최근 국립수목원에서 발표한 습지평가기준에 따라, 김포와 파주에 위치한 산림 습원 중 5곳은 묵논형, 2곳은 자연형으로 구분되었고, 양뿔사초(Carex capricornis Meinsh. ex Maxim.) 등 희귀식물 9종을 포함하여 식물 101과 283속 474종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국립수목원의 평가체계를 적용하여 식생 및 경관,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인문·사회경관, 교란정도 부문을 평가한 결과, A등급 산림습원 3개소, B등급 3개소, C등급 1개소로 분류되었다. 군사적 긴장이 지배하는 접경지역에 산재하는 산림습원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보전 가치가 높은 산림습원이 존재함이 확인된 만큼, 원격탐사 기법을 활용하고 유관기관과 협력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생태계를 조사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