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id transit railroad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2초

도시철도 고속화에 대비한 금속계 소결마찰재에서의 흑연 형상 및 비율에 따른 마찰특성 연구 (Study on Dependence of Friction Characteristics of Sintered Brake Friction Materials on Graphite Shape and Ratio with regard to Speeding up Rapid Transit System)

  • 김영규;이희성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9권4호
    • /
    • pp.242-247
    • /
    • 2013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basis for the design of materials used in high-speed trains, by using a lab-scale dynamomet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 behavior of metallic sintered friction materials in relation to the shape of graphite. The test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at when flake graphite and granular graphite are added equivalently, the average coefficient of friction is much lower, and it is less influenced by speed variation; moreover, friction wear is observed to be insignificantly low. Adding flake graphite increas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hich leads to higher friction wear. In addition, the roughness of the disc surface was equivalent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graphite.

도상저항력이 궤도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rack Stability for Ballast Resistance Force)

  • 박준명;이방우;박선규;이종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69-173
    • /
    • 2003
  • Transportation by railroad is superior to other transport in a mass transport, stability, rapid transit, delightfulness and low-pollution etc. But, it need to ensure a track stability that supports the train-load for high-speed in transportation by railroad. Ballast resistance force resists against the buckling of track taking a rail-tie's place. So,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careful train-service. So, in this papers, we forced on measuring and theorizing about the Ballast Resistance Force that play a key role in track stability and high-speed. And we studied the mechanical property. Finally, we suggested the method of securing Ballast Resistance Force and the report for a careful train-service in high-speed.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철도선형정보 추출 (The Extraction of Railroad Alignment Information Using Digital Imagery)

  • 서동주;김종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99-408
    • /
    • 2006
  • 철도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가장 일찍이 개발되어 근대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20세기 중반이후 자동차, 항공기 산업의 발달과 투자의 집중으로 철도시설의 낙후 등 정체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산업의 고도화 및 분업화로 인한 교통수요의 급속한 증가와 다양화로 대량수송, 고속성, 안전성, 정시성, 에너지 효율성 및 환경오염 방지 측면에서 탁월한 장점을 갖는 철도의 역할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최근 기존선의 개량 및 이설하고자 할 경우 기존선의 평면선형 제원은 기본적인 자료로서 필요하게 되는데, 만약 최초 선형자료의 기본인 설계도서가 분실되었거나 훼손되었을 경우에 설계제원의 복원이 불가능하며, 최근 발생되는 각종 재난으로 인한 선로 유실시 선형의 정밀 복구가 어려운 실정이다. 철도선형제원이 기본적인 지리정보 자료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누락된 기존선의 철도선형에 대한 제원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간접자본시설인 철도를 대상으로 디지털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 처리하여 선형의 3차원 형상을 재현하며, 선형제원을 역으로 산출함으로써 기존선의 선형자료를 정밀하게 추출하여 철도시설의 정보화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RCM을 적용한 유지보수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to the Plan for Development of Maintenance applied RCM)

  • 오안섭;이헌일;신국호;신건영;장성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07-914
    • /
    • 2011
  • It has used for Rolling Stock Maintenance a number of maintenance system applied RCM in Railway(Korea Railroad Corporation, Seoul Metro, Korail Airport Railroad Corporation, etc) so far. Some institutions has been using develop Computational System including reliability process. A majority of the system has computerized maintenance work, but it is shown that developed focus on administrator and developer not user. SMRT(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has developed computational system for maintenance in the '90s and saved many data about Maintenance Historical Data. However, this system reached the limits application of this data. Maintenance of computer systems is managed directly by the field staff and to introduce Reliability-centered maintenance SMRT was continually reviewed system development trends and supplement the existing system. To successfully operate RCM program should be gained full support in the whole company and field communicate, secure a reliable data from field and the most important take a patience. Our corporation will operate and develop successful RCM thorough review of these problems in the future.

  • PDF

열차 운전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인적오류의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evention Measures of Human Error with Railway Drivers)

  • 김동원;송보영;이희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6-81
    • /
    • 2019
  • In this study, the causes of human error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urvey of the drivers of the three organizations: Seoul Metro,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and Korail. It was started with the aim of finding and eliciting causes in various directions including human factors, job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Cronbach alpha value was 0.95 for the reliability significance of the stress-induced factors in the operational area.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for organisational factors was shown to be 0.82,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ub-accident experience and the driving skill factors in operation was 0.81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tress-induced in the field of driving is higher than the human factors in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organizational and operational stress-induced factors was higher than other causes. In order to reduce urban railroad accident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for operating safe urban railroad through the minimization human errors.

무인 궤도 차량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UWB 레이더 기반 적응형 CFAR 알고리즘 (UWB RADAR based Modified Adaptive CFAR Algorithm for improved safety of Personal Rapid Transit)

  • 홍석곤;김백현;정락교;곽경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8-42
    • /
    • 2013
  • 전기를 이용한 신 교통 시스템인 무인궤도차량은 도심교통 완화, 관광지 교통지원, 공항 및 고속철도와 거점지역을 연결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무인궤도차량의 무인 운용에 따른 안전성과 신뢰성 보장을 위해 안전장치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UWB 레이더는 낮은 전력소모와 낮은 간섭 및 높은 정밀도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무인궤도차량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궤도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필수 요소인 레이더에 적합하고, 다양한 잡음환경에서 개선된 성능을 보이는 적응형 CFAR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CFAR 알고리즘은 Mean Level 계열의 CFAR 알고리즘에 비하여 균질한 잡음상황과 다중표적상황에서 개선된 성능을 보였으며, 기존의 VI-CFAR이 가진 다중 표적 상황에서 성능저하를 개선하였다.

경전철 직결식 콘크리트 궤도구조의 열차주행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Train Running Safety for Direct Fixation Concrete Track on Light Rapid Transit)

  • 최정열;김준형;정지승;이선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1-46
    • /
    • 2017
  • The coefficient of derailment and the rate of wheel load reduction were used as the index of train running safety that was directly affected the train derailment safety. In aspects of track, the train running safety depends on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wheel and rail, and the track-vehicle conditions (i.e., the curvature, cant, track system, vehicle speed and the operation conditions, etc).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 running safety and the track curvature and vehicle speed for direct fixation concrete tracks currently employed in Korean light rapid transit was assessed by performing field tests using actual vehicles running along the service lines. The measured dynamic wheel load, lateral wheel load and lateral displacement of rail head were measured for same train running on four tested tracks under real conditions, which included curved and tangent tracks placed on the tunnel and bridge, thus increasing the train speed by approximately maximum design speed of each test site. Therefore, the measured dynamic track response was applied to the running safety analysis in order to evaluate the coefficient of derailment, the rate of wheel load reduction and the track gauge widening at each test site, and compare with the corresponding Korean train running safety standard. As the results, the lateral track response of direct fixation concrete track appeared to increase with the decreased track curvature; therefore, it was inferred that the track curvature directly affected the train running safety.

철도폐선부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평가기준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Railway Yards in Korea)

  • 김민경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2호
    • /
    • pp.83-92
    • /
    • 2017
  • 친환경 교통수단인 철도에 대한 투자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철도 고속화와 복선화 및 선형개량 사업, 철도노선의 교외지역 이설 등으로 폐선부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철도폐선부지가 방치되어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최근 지자체에서는 철도폐선부지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는 "철도유휴부지 활용지침"을 제정하여 보전 활용 기타부지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폐선부지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재 활용 중인 폐선부지는 공원, 레일바이크, 자전거도로, 태양광사업 등으로만 활용되고 있으며, 폐선부지의 다각화 및 사후평가에 대한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폐선부지의 활용사례를 조사하고 전국 철도폐선부지를 대상으로 자연문화경관, 교육과학적 가치, 위치 및 접근성, 휴양 유발성, 개발여건 등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통해 철도폐선부지의 활용 다각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하철 전동차 비정상 충격 방지를 위한 횡댐퍼에 관한 연구 (Lateral Damper of Subway Vehicle for Preventing Abnormal Impact)

  • 신유정;유원희;박준혁;허현무;전주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1호
    • /
    • pp.17-23
    • /
    • 2013
  • 지하철 전동차에는 2 차 현가장치인 공기스프링의 횡강성 저하특성을 보강하기 위해 대차와 차체 사이에 횡댐퍼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횡댐퍼는 주행 시 차체의 횡진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횡댐퍼의 감쇠력이 저하될 경우 전동차의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이 함께 악화되며, 차체의 횡방향 운동이 증가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전동차 주행 시 비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충격에 대하여 그 원인을 살펴보고 해결방안을 마련하고자 횡댐퍼의 감쇠력에 따른 차체의 횡변위를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그에 따라 충격에 의한 이상진동 및 소음의 발생 유무를 파악하였다. 그로부터 충격이 발생되지 않는 적정 감쇠력을 구하고자 하였다.

개선된 DSM 기법을 통한 경전철 정거장 기능실의 슬림화에 관한 연구 (On Slimming down the Functions Room of Light Rail Transit Stations by Utilizing an Enhanced DSM Method)

  • 김주욱;박기준;김영민;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27-939
    • /
    • 2015
  • 오늘날 산업 기술의 발달에 따른 고도화로 인해, 고속철도로 대변되는 전국망 철도 운영과 함께, 도시 내 또는 교외의 단거리 구간을 운영하는 철도사업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일반철도라 불리는 기존의 중전철에 비해서, 후자의 경우는 단거리 운행에 따른 특성으로 경량전철의 형태로서, 보다 작은 규모의 철도차량 및 역사(정거장)으로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철도차량의 무인화 운행 및 정거장 운영 인력의 감축도 주요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경량전철시스템의 기반 시설인 역사의 경우, 시설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중전철의 설계지침 및 관련법에 의해 건설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침에 의해 건설되는 역사는 소형화의 추구 방향과는 거리가 있게 된다. 경량전철 역사의 슬림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건축학적 의미 이상의 접근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경량전철은 다양한 시스템이 내재된 복합구조의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의 슬림화를 추구하면서 열차무인운행에 대한 안전성까지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설계에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경전철 역사에 대한 설계지침 및 관련법이 국내에 현재까지는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사 기능실의 소형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설계구조행렬(DSM)의 개선된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의 적용을 통해 역사 기능실 구조설계에서 구성품 통합에 의한 소형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법을 기반으로 경전철 역사의 기능실 통합을 통한 슬림화 설계를 수행한다면, 향후 경전철역사 건설에서 상당한 시간, 공간, 예산 절감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