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dom Forest

검색결과 984건 처리시간 0.028초

Performance of Random Forest Classifier for Flood Mapping Using Sentinel-1 SAR Images

  • Chu, Yongjae;Lee, Hoonyo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75-386
    • /
    • 2022
  • The city of Khartoum, the capital of Sudan, was heavily damaged by the flood of the Nile in 2020. Classification using satellite images can define the damaged area and help emergency response. As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uses microwave that can penetrate cloud, it is suitable to use in the flood study. In this study, Random Forest classifier, one of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algorithms, was applied to the flood event in Khartoum with various sizes of the training dataset and number of images using Sentinel-1 SAR. To create a training dataset, we use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visual inspection. Firstly, Random Forest was performed by reducing the size of each class of the training dataset, but no notable difference was found. Next, we performed Random Forest with various number of images. Accuracy became better as the number of images in creased, but converged to a maximum value when the dataset covers the duration from flood to the completion of drainage.

Random Forest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시 훈련 데이터 선택이 결과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Effect of Training Data Sampling Strategy on the Accuracy of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Using Random Forest Method)

  • 강경희;박혁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2호
    • /
    • pp.199-212
    • /
    • 2019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분석에서 훈련 데이터의 샘플링 전략은 예측 정확도 뿐 만 아니라 일반화 능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산사태 취약성 분석의 경우, 산사태 발생부에 대한 정보에 비해 산사태 미발생부에 대한 정보가 과도하게 많은 데이터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분석 모델의 훈련 데이터 설계 시 데이터 샘플링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산사태 미발생부 선택 시 발생부 데이터와 1:1의 비율을 갖도록 무작위로 선택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을 뿐, 특정한 선택 기준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훈련 데이터의 샘플링 전략이 모델의 예측 성능에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산사태 발생부와 미발생부의 샘플링 전략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6개의 시나리오를 만들어 Random Forest 모델의 훈련에 사용하였다. 또한 Random Forest의 결과 중 하나인 변수 중요도를 각 산사태 유발인자들에 가중치로 곱하여 줌으로써 산사태 취약지수 값을 산정하였으며, 취약지수 값을 이용해 산사태 취약성도를 제작하고 각 결과 지도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훈련데이터의 샘플링 방법에 상관없이 두 지역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 결과는 모두 70~80%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Random Forest 기법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기법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Random Forest 모델이 제공하는 입력변수의 중요도를 산사태 유발인자 가중치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훈련 시나리오 간의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특정한 기준에 의해 훈련 데이터를 설계하는 것이 기존의 랜덤 선택 방법보다 높은 예측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랜덤포레스트의 크기 결정에 유용한 승리표차에 기반한 불일치 측도 (A measure of discrepancy based on margin of victory useful for the determination of random forest size)

  • 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515-524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분류를 위한 RF (random forest)의 크기 결정에 유용한 승리표차 MV (margin of victory)에 기반한 불일치 측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서 MV는 현재의 RF에서 1등과 2등을 차지하는 집단이 무한 RF에서 차지하는 승리표차이다. 구체적으로 -MV가 양수이면 현재와 무한 RF 사이에 1등과 2등인 집단에서 불일치가 생긴다는 점에 착안하여, max(-MV, 0)을 하나의 불일치 측도로 제안한다. 이 불일치 측도에 근거하여 RF의 크기 결정에 적절한 진단통계량을 제안하며, 또한 이 통계량의 이론적인 점근분포를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이 통계량을 최근에 제안된 진단통계량들과 소표본 하에서 성능을 비교하는 모의실험을 실행한다.

Best-First decision tree 기법을 적용한 심전도 데이터 분류기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mproving correctness of cardiac disorder data classifier by applying Best-First decision tree method)

  • 이현주;신동규;박희원;김수한;신동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3-71
    • /
    • 2011
  • 심전도 질환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분류기를 사용한 실험이 많다. 심전도 신호는 QRS-Complex와 R-R interval을 추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실험에서는 R-R interval을 추출하여 실험하였다. 심전도 데이터의 분류기 실험은 일반적으로 SVM(Support Vector Machine)과 MLP(Multilayer Perceptron) 분류기로 수행되지만 본 실험은 정확도 향상을 위해 Random Forest 분류기 알고리즘 중 Decision Tree를 Best-First Decision Tree(B-F Tree)로 수정하여 실험하였다. 그리고 정확도 비교분석을 위해 SVM, MLP, RBF(Radial Basic Function) Network와 Decision Tree 분류기 실험을 같이 수행하였고, 동일한 데이터와 간격으로 실험한 타 논문의 결과와 비교해보았다. 수정한 Random Forest 분류기의 정확도를 다른 네 개의 분류기와 타 논문의 실험과 비교해보니 정확도 부분에서는 Random Forest가 가장 우수하였다. 본 실험의 전처리 과정은 대역통과 필터(Band-pass filter)를 사용하여 R-R interval을 추출하였는데 향후에는 정확한 간격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의 연구가 사려된다.

랜덤포레스트의 크기 결정을 위한 간편 진단통계량 (A simple diagnostic statistic for determining the size of random forest)

  • 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855-863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RF (random forest)의 크기 결정을 위한 간편 진단통계량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현재까지 생성된 의사결정나무의 1등과 2등인 집단이 무한히 생성된 의사결정나무에서 차지하는 승리표차인 MV (margin of victory)에 근거한다. 따라서 MV가 음수이면 현재의 RF와 무한 RF 사이에 괴리가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MV가 고정된 작은 양수 (예를 들면 0.03)보다 큰 개체의 비율에 근거한다. 이 방법에 의한 적절한 통계량 도출과 함께 이 통계량의 이론적인 분포를 유도한다. 또한 최근에 제안된 진단통계량과 성능을 비교하는 모의실험을 수행한다.

임의효과를 이용한 충남지역 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Biomass Model for Pinus densiflora in Chungnam Region Using Random Effect)

  • 표정기;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213-21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의효과(random effect)를 이용하여 충남지역 임령-바이오매스 모형을 개발하고 임의효과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충남지역 소나무림의 임령에 따른 바이오매스 모형 개발을 위해 임분 구조를 고려하여 전국의 중부지방소나무 임분에서 30개소(150그루)를 조사하고 임령과 바이오매스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형 개발에서 중부지방소나무의 임령-바이오매스 관계는 고정효과(fixed effect)이고 지역간 차이를 임의효과로 설정하였다. 임의효과에 따른 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하기 위해 아카이케의 정보기준(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IC)을 참고하고 지역간 차이에 따른 분산-공분산 행렬과 오차항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공분산은 -1.0022, 오차항은 0.6240이고 분산-공분산 행렬을 이용한 임의효과 모형의 AIC는 377.7을 나타내어 선행 연구와 이질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범주형 자료의 임의효과가 모형 개발에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임의효과를 이용하여 일부지역에 국한되어 개발되었던 바이오매스 모형 연구에 활용이 가능하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한국어 대화시스템 도메인 분류 (Machine Learning Based Domain Classification for Korean Dialog System)

  • 정영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8
    • /
    • 2019
  • 대화시스템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 자연어로써 상호작용함으로써 인간은 보다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각종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대화시스템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음성 인식, 자연어 이해, 문맥 파악 등의 여러 모듈의 파이프라인으로 이뤄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연어 이해 모듈의 도메인 분류 문제를 풀기 위해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andom forest 등의 기계학습 모델을 비교하였다. 사람이 직접 태깅한 총 7개 서비스 도메인 데이터에 대하여 각 문장의 도메인을 분류하는 실험을 수행하였고 random forest 모델이 F1 score 0.97 이상으로 가장 높은 성능을 달성한 것을 보였다. 향후 다른 기계학습 모델들을 추가 실험함으로써 도메인 분류 성능 개선을 지속할 계획이다.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보행만족도 예측모형 개발 (Developing a Pedestrian Satisfac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이제승;이현희
    • 국토계획
    • /
    • 제54권3호
    • /
    • pp.106-118
    • /
    • 2019
  • In order to develop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 that provides optimal pedestrian routes based on pedestrian satisfaction level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that can estimate a pedestrian's satisfaction level given a certain condition. Thu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pedestrian satisfac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thre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Logistic Regression, Random Fores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The 2009, 2012, 2013, 2014, and 2015 Pedestrian Satisfaction Survey Data in Seoul, Korea are used to train and test the machine learning models. As a result, the Random Forest model shows the best prediction performance among the three (Accuracy: 0.798, Recall: 0.906, Precision: 0.842, F1 Score: 0.873, AUC: 0.795). The performance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the second (Accuracy: 0.773, Recall: 0.917, Precision: 0.811, F1 Score: 0.868, AUC: 0.738)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performance follows the second (Accuracy: 0.764, Recall: 1.000, Precision: 0.764, F1 Score: 0.868, AUC: 0.575). The precision score of the Random Forest model implies that approximately 84.2% of pedestrians may be satisfied if they walk the areas, suggested by the Random Forest model.

Classification Model and Crime Occurrence City Forecasting Based on Random Forest Algorithm

  • KANG, Sea-Am;CHOI, Jeong-Hyun;KANG, Min-soo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25
    • /
    • 2022
  • Korea has relatively less crime than other countries. However, the crime rate is steadily increasing. Many people think the crime rate is decreasing, but the crime arrest rate has increased. The goal is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CCTV and the crime rate as a way to lower the crime rate,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areas without CCTV and areas without CCTV. If you see a crime that can happen at any time, I think you should use a random forest algorithm. We also plan to use machine learning random forest algorithms to reduce the risk of overfitting, reduce the required training time, and verify high-level accuracy. The goal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CTV and crime occurrence by creating a crime prevention algorithm using machine learning random forest techniques. Assuming that no crime occurs without CCTV, it compares the crime rate between the areas where the most crimes occur and the areas where there are no crimes, and predicts areas where there are many crimes. The impact of CCTV on crime prevention and arrest can be interpreted as a comprehensive effect in part, and the purpose isto identify areas and frequency of frequent crimes by comparing the time and time without CCTV.

Performance Comparison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for Estimating Remaining Capacity of Lithium-Ion Batteries

  • Kyu-Ha Kim;Byeong-Soo Jung;Sang-Hyu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310-31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remaining capacity of lithium-ion batteries and evaluate their performance using fiv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includ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cision tree, random forest, neural network, and ensemble model. We is in the study, measured Excel data from the CS2 lithium-ion battery was used, and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model was measured using evaluation indicators such as mean square error, mean absolute erro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root mean square erro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oot Mean Square Error(RMSE) of th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0.045, the decision tree model was 0.038, the random forest model was 0.034, the neural network model was 0.032, and the ensemble model was 0.030. The ensemble model had the best prediction performance, with the neural network model taking second place. The decision tree model and random forest model also performed quite well, and the linear regression model showed poor prediction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model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ensemble models and neural network models are most suitable for predict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lithium-ion batteries, and decision tree and random forest models also showed good performance. Linear regression models showed relatively poor predictive performanc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it is appropriate to prioritize ensemble models and neural network model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attery management and energy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