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cimat Method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초

큰잎모자반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Sargassum coreanum Root and Stem Extracts)

  • 박지혜;배난영;박선희;김민지;김꽃봉우리;최정수;안동현
    • KSBB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155-160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in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root and stem of Sargassum coreanum.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total polyph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helating effect, reducing power, and rancimat metho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32.79 mg/g and 15.55 mg/g, respectively.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water extract and similar activity to BHT. Reducing power of extracts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ethanol extract had more reducing power than water extract. Ethanol and water extracts have little chelating effect at all concentrations. Antioxidant index (AI) of ethanol extract measured by Rancimat was higher than that of water extract, but their AI was lower than that of BH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thanol extract of S. coreanum root and stem has more potent antioxidant activity than water extract through DPPH radical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and could potentially be used as a good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른 무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and Sprouting Period)

  • 한진희;문혜경;정신교;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67-17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순을 발아시기별로 70% 에탄올, 80% 메탄올, 75% 아세톤, 물 등 용매종류에 따라 추출한 후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 공여능, TBARS, 산화안정도 측정, 과산화물가 등 항산화특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4일째에서 에탄올추출물이 296.51 mg/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메탄올추출물이 219.39 mg/g으로 많았다. 발아 8일째에서는 에탄올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아세톤추출물은 각각 197.72 mg/g, 200.45 mg/g으로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발아 4일째에 물추출물이 86.67%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아세톤추출물에서 77.23%로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발아 8일째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추출물이 89.18%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추출물이 70.14%로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 발아 12일째의 라디칼 소거능은 4일째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TBARS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측정에서 발아 4일째 무순추출물의 TBARS값은 70% 에탄올추출물이 71.4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아 8일째가 되면서 TBARS값이 상승하여 메탄올추출물이 78.99%로 높은 값을 보였고, 아세톤 추출물의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TBARS값은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발아 4일째와 유사한 경향의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에 의한 산화안정도 측정에서 발아 4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메탄올추출물이 6.07시간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항산화지표는 1.16의 수준을 보였다. 발아 8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발아 4일째 산화유도기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아세톤추출물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유의차가 없었으나 물추출물의 산화유도기간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전반적인 산화유도기간이 5.25~5.91시간으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메탄올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은 발아 4일째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항산화지표 또한 1.00~1.13의 수준을 나타냈다. 과산화물가 측정에서 무순추출물의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아 4일째 저장기간 0일에서 각 추출물들이 3.02~4.21 meq/kg oil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60일에서 물추출물이 43.83 meq/kg oil과 메탄올추출물에서 45.42 meq/kg oil을 나타내어 두 추출물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 황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발아 8일째와 발아 12일째의 무순추출물에서도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과산화물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무순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도 높게 나타나 천연항산화제와 같은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sessment of Allelopathic Potent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Extracts from Three Compositae Plants

  • Chon, Sang-Uk;Park, Seong-Ky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3-307
    • /
    • 2003
  • Some Compositae plants are known to contai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hat are allelopathic to weeds species as well as antioxidant to foods. Aqueous extracts from leaves of 3 plant species, Cirsium japonica, Kalimeris yomena, and Lactuca saliva, were bioassayed against alfalfa (Medicago saliva)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ic effects. The extracts applied on filter paper in bioassay significantly inhibited root growth of alfalfa. Extracts of 20 g dry tissue $\textrm{L}^{-1}$ from Lactuca sativa showed the most inhibitory effect on alfalfa seedling growth and followed by Cirsium japonica and Kalimeris yomena. Oxidative stability by Rancimat method and antioxidant activity by TBA method for the ground samples were the greatest in Lactuca sativa although were less than that of a commonly used antioxidant, 1% ascorbic aci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n storing meat was stably kept for 28days and was excellent compared to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ree Compositae plants have potent allelopathic and antioxidant effects, and that their activities differ, depending on plant species.

천마의 무기성분 및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neral Compon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strodia elata Blum)

  • 김진구;차원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17-321
    • /
    • 1997
  • The mineral componen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were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phtometry. The mineral component conten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were greater in the order of Fe < Na < Mg < Ca < P < K.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Gastrodia elata Blum extracts on refined perilla oil were investigated by the rancimat method,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Gastrodia elata Blum added to the refined perilla oil was increased with dose-dependent fashion in concentration of Gastrodia elata Blum extracts. Th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for their antioxidation stability were also lower than that of control. Antioxidation stability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 PDF

소맥배아유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crude wheat germ oil)

  • 표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43
    • /
    • 1991
  • Oxidative stability of crude wheat germ oil (WGO) was determined by the active oxygen method(Rancimat, hrs at 98$^{\circ}C$). The induction time of crude WGO was 7.6hrs as compared to 23.7hrs of crude soybean oil. However, the induction time of WGO could be extended by 2-3 times with 300ppm of mixed tocopherols and 200ppm of organic acids. The antioxidant effect of organic acids increased in the order of L-ascorbic acid > tartaric acid > citric acid > malic acid. Especially, the induction time of WGO could be extended by ca. 38hrs with 500ppm of L-ascorbic acid. This antioxiative effect of 500ppm L-ascorbic acid with mixed tocopherol(100, 200, 300 or 500ppm). It seems that the synergistic effect of L-ascorbic acid was due to the high content of tocopherols(0.4%) in WGO.

  • PDF

다시마 용매추출물과 다시마 분말 첨가에 의한 매작과의 산화안정성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lvent Extracts of Sea Tangle Powder(STP)and Maejakgwa Made with STP)

  • 박복희;조희숙;김경희;김선숙;김현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2-45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Sea tangle powder(STP) solvent extracts as well as Maejakgwa made with STP. The STP solvent extracts were added to soybean oil at a quantity of 0.05%. The solvents used for extraction were methanol, ethanol, ethyl acetate, and petroleum ether. Soybean oil without added STP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and soybean oil samples containing 0.02%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and $\alpha$-tocopherol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 respectively. Each sample was stored at $50^{\circ}C$ for 30 days. The oxidation levels of these sample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ir acid values, peroxide values, and thiobarbituric acid(TBA) values. The soybean oil samples containing the STP extracts had lower oxidation levels than both the negative control and $\alpha$-tocopherol positive control, and the sample containing the 0.05% methanol extracts had the lowest oxidation. According to the Rancimat method, the methanol extract(320 min) and ethanol extract(316 min)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as, compared to the control(253 min), $\alpha$-tocopherol(255 min), and BHT(309 min) samples. For the Maejakgwa, acid values increased over the storage period, however, the samples made with STP had lower values than the control group. Peroxide values increased rapidly for 30 days and then decreased. The TBA values of the Maejakgwa samples made with 3% and 9% ST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15% STP sample and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containing solvent extracts of STP and Maejakgwa made with STP were increased.

구기자 용매추출물과 구기자 매작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Lycii fructus Powder (LFP) and Maejakgwa Made with LFP)

  • 박복희;조희숙;김동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314-1319
    • /
    • 2005
  • 구기자 용매추출물의 항산화력과 구기자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구기자 이용의 효율성 증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식용 대두유에 BHT와 $\alpha$-Toc은 $0.02\%$ 첨가하였고, 구기자 용매 추출물(MeOH, EtOH, EA, PE)은 $0.05\%$씩 첨가하여 oven법으로 항산화효과를 살펴본 결과, 산가의 경우 대부분의 시료가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MeOH의 추출물은 뚜렷하게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비교되었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10일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그 후25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eOH 추출물은 가장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나 BHT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었고, TBA가는 구기자 용매추출물이 전반적으로 대조구와 $\alpha$-Toc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 방법으로 구기자 용매추출물의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의 경우 $253\pm0.02$분, PE군은 $256\pm0.18$분, $\alpha$-Toc군은 $255\pm0.17$분, EA군은 $305\pm0.17$분, BHT군은 $309\pm0.05$분, EtOH군은 $316\pm0.01$분, MeOH군은 $320\pm0.05$분의 순으로 나타나 BHT 첨가군보다 MeOH군과 EtOH군의 항산화효과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구기자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조구보다 구기자 첨가군에서 더 낮았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30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BA가는 구기자 $3\%,\;6\%$$9\%$ 첨가군은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 지방의 산화를 지연시켰으나 $15\%$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높아 산가와 같이 산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와송(Orostachys japonicus) 잎,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 이소정;송유진;이소영;김꽃봉우리;김서진;윤소영;이청조;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71-1579
    • /
    • 2009
  • 와송의 부위별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알아보고 열 및 pH 처리가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식품산업에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rancimat에 의한 지질산화 억제능은 4 mg/mL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안정지수가 잎 및 뿌리에서 1.92 및 2.00의 값을 보여 1.28의 값을 보인 줄기에 비해 높은 억제능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잎, 줄기 및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0.4 mg/mL 농도에서 92-96%의 값을 보여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과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은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도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반면, 금속봉쇄력은 에탄올 추출물은 잎에서 높은 금속봉쇄 효과를 보였으나 물 추출물에서는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4 mg/mL 농도에서 90%에 가까운 금속봉쇄력을 보여 킬레이트제인 EDTA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DPPH 라디칼 소거능, 금속봉쇄력을 통해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지며, 그중 특히 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와송잎 에탄올 추출물을 열 및 pH 처리한 결과 라디칼 소거능이 무처리구와 유사한 값을 보여 와송잎 추출물이 열 및 pH에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와송잎 추출물은 열 및 pH에 안정하며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져 천연항산화제로서 식품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양하의 항산화 효과 및 향기성분 (Effects of Antioxidant and Flavor Compionents of Zingiber mioga Rosc)

  • 이장원;천상욱;한승관;류정;최동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3-209
    • /
    • 2007
  • 양하 (Zinger mioga Rosc.)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생양하 95.3%, 건양하 7.63% 및 분말양하 9.81%이었다. 분말앙하가 조단백 11.21%, 조지방 2.f4%, 회분10.78% 그리고 조섬유 14.47%로 생양하와 건양하보다 함량이 높았다. 양하의 항산화효과는 Rancimat와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유지산화안정도 실험의 결과 분말양하가 4.21 AI로 대조구에 비해 4.6배의 항산화효과가 있었고, DPPH fi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분말양하의 값이 76.61%로 생양하 49.35%,건양하 61.78%에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하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와 GC-MS 분석 ${\cdot}$ 동정한 결과 총 12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주요향기성분은 테르펜류인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1,4-terpineol, and ${\beta}$-terpinene 등 이었다.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과 Diacylglycerol Oil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유지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unctional Oils Produced Using Red Yeast-Rice Ethanol Extracts and Diacylglycerol Oil)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1-208
    • /
    • 2007
  • 홍국쌀을 $35^{\circ}C$, 175 rpm에서 80% ethanol을 이용하여 0.5, 1, 2, 4, 8, 24시간 단위로 개별적으로 에탄올 추출한 결과, 1시간(yield, 1.203%) 이후의 추출 시간 증가는 추출율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시간 추출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600(A), 1200(B), 1800(C), 2280(D) ppm 함유하는 기능성 유지를 제조하였다. 기능성 유지의 색도는 추출물의 함유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L^*$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며, $a^*$ 값 및 $b^*$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기능성 유지의 monacolin K 및 총 페놀 함량은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Rancimat$(98^{\circ}C)$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능성 유지의 induction time이 각각 control(4.3 hr), A(3.2 hr), B(2.6 hr), C(2.4 hr), D(2.2 hr)로 추출물 첨가 농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산화 안정성의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코에 의해 얻어진 각 시료의 센서의 감응도$({\Delta}R/R_0)$를 이용한 주성분분석 및 MANOVA 분석 결과, 제1주성분 기여율은 99.66%로 분석되었으며 함유된 추출물의 함량 증가에 따라 각각 차별적인 향 패턴(odor difference)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PME-GC/MS에 의한 휘발성분 분석 결과, 기능성 유지에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기인되는 특유의 휘발성분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RT=12.1 min인 hexanal의 함량이 control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