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a nigromaculata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4초

개구리(Rana nigromaculata) 발생에 따른 위점막 점액분비세포의 조직학적 및 조직화학적 연구 (Histologic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n the Mucous Secreting Cells of the Gastric Mucosa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Frog, Rana nigromaculata)

  • 김한화;노용태;정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2
    • /
    • 1976
  • 양서류 발생에 따른 위점막 점액세포의 조직학적 및 조직화학적인 변화를 밝히고저 개구리(Rana nigromaculata)변태 각 단계의 위체부 조직을 10% formalin 완충액에 고정($4^{\circ}C$), paraffin에 포매, 4 $\mu$m 두께로 절편한후 periodic acid-Schiff(PAS) 및 alcian blue(AB) pH 2.5, pH 1.0에 반응시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위 표면점액세포내 점액질은 변태과정에 따라 특이한 변화없이 PAS에 강한 반응을 AB pH 2.5 및 pH 1.0에서는 약한 alcianophilia를 보였으며, 변태 XXIV와 XXV에서 세포내 중성 점액질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2. 위소와점액세포는 변태 XXI이후에서 볼 수 있었는데 PAS에 강한 반응을, AB pH 2.5 및 pH 1.0에서 약한 alcianophilia를 보였으나, AB pH 1.0에서는 AB pH 2.5에서 보다 강하였고, 변태 XXIV와 XXV에서 세포내 중성 점액질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3. 분비능을 보이는 점액질세포는 변태 XXIV이후인데 변태 XXIV에서는 PAS에 강양성을, AB pH 1.0에서는 약한 alcianophilia를 보였고, 변태 XXV 이후에는 PAS에 약한 반응을, AB pH 2.5에는 약하고 AB pH 1.0에는 중등도의 alcianiphilia를 보였는데 이들 점액질은 전 세포질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다.

  • PDF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난황막 구조와 단백질 성분의 변화 (Changes in Ultrastructure and Protein Components of Vitelline Envelopes during Oogenesis of Rana nigromoculota Hallowell)

  • 이주영;이양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5-135
    • /
    • 1992
  • 참개구리의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난황막의 구조적 변화와 막단백질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난자형성에 따른 난탈막의 기능적 분화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T:다. 난황막의 구조적 변화는 난자형성에 따른 미세음모의 수와 모양의 변화로 확인되었다. 그 수가 초기에는 적으나 중기에 증가하고 알기에 다시 감소하며, 그 모양도 처음에는 킬고 가늘지만, 나중에는 짧고 굵어진다. 막단백질은 wheat germ agglutinin에 대해서만 특이하게 반응을 보이는 당단백질로서 작은 난모세포(직경 100-800 urn)와 큰 난모세포(직경 1500 urn)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분자량은 106 KD, 60 KD, 순 KD과 같이 어느 단계에서나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단백질이 존재하는 반면에 특히 작은 난모세포의 난황막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130 KD, 125 KD, 90 KD, 28 KD, 26KD과 같은 단겐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막단백질도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난황막 단백질은 난자형성단계에 따라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미토콘드리아 16S rDNA부분 염기서열을 이용한 한국산 개구리 속(Amphibia: Ranidae)의 종간, 종내 변이에 대한 연구 (Intra-, Inter-specific Variation of Korean Rana (Amphibia: Ranidae) Based on the Partial Sequence of Mitochondrial 16S rDNA)

  • 송재영;신정아;장민호;윤병수;정규회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66-74
    • /
    • 2004
  •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개구리 속에 대한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상호 비교하여 종간 유전적 변이 정도를 밝히고자 한국산 개구리 속 6종과 일본산 개구리 속 1종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165 rDNA를 분석하였으며, Gene-bank에 수록된 일본산 산개구리류 3종도 함께 비교 분석하여 총 437 bp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산개구리류 7종에 대한 similarity는 91.3∼97.3%이며, 참개구리류는 96.1∼97.3%로 나타났다. 또한, 참개구리류와 옴개구리류의 genetic distance가 참개구리류와 산개구리류보다 더 가깝게 나타났다. Neighbor-joining분석에서 참개구리류와 산개구리류로 2개의 cluster를 형성하였는데, 이 중산개구리류는 총 3개의 subcluster를 형성하였다. 또한, 참개구리는 내륙지방과 도서지방에 분포하는 집단이 각각 나눠지는 것은 지리적 격리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Maximum-likelihood분석도 NJ 분석 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옴개구리(R. rugosa)는 NJ와 ML분석에서 서로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한국산 옴 개구리가 남부지역과 기타 지역에서 유전적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일본 집단과 외부 특징에서 차이를 보이는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올바른 해석 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양서루 피부 과립선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Granular Glands in the Amphibian Skin)

  • 김한화;노용태;정영화;지영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14
    • /
    • 1979
  • 양서류 피부과립선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무미양서류인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두꺼비 (Bufo bufo gargarizans), 개구리 (Rana nigromaculata) 및 옴개구리 (Rana rugosa)의 피부조직은 2.5% glutaraldehyde-paraformaldehyde (pH 7.2)와 1%osmium tetroxide에 전후 고정한 후 ethanol과 acetone으로 탈수, Epon 812 mixture에 포매하여 LKB ultramicrotome으로 초박절표본을 만들어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으로 염색하여 JEOL-100B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서류 피부과립선은 선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로 이루어졌다. 2. 양서류 피부과립선의 선상피세포는 암세포들로 구성되었으나 무당개구리에서는 명세포도 관찰되었다. 3. 양서류 피부과립선은 전분지를 하였다. 4. 양서류 피부과립선 상피세포의 핵은 원형 내지 타원형으로 크고 작은 핵경함요를 보였고, heterochromatin은 주로 핵경 인접부에 많았다. 세포질에는 mitochondria가 핵주변부에 비교적 많이 산재하였고,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은 핵 주변부에 발달하였지만 smoot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은 미약하였다. 5. 분비과립들은 구형 또는 난형으로 높은 전자밀도를 보였으며 다소 약한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도 관찰되었다. 6. 양서류 과립선내 분비과립들이 같은 세포내에서 다소 전자밀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분비과립의 형성단계에 따른 농도 차이에 기인하며 그 화학적 조성은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 PDF

銅이온이 참개구리 幼生의 成長에 미치는 影響 (Influence of Cu(II) on the Growth of Korean Tadpole, Rana nigromaculata)

  • Park, Sang Ock;Sang Gi Kim;Soo Yeul C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7권4호
    • /
    • pp.232-238
    • /
    • 1984
  • The author hatched the eggs of Korean frog, Rana nigromaculata in natural water, and reared the tadpoles in natural water as control group and in seven copper ion groups contaminated by 0.1, 0.2, 0.3, 0.4, 0.5, 0.7, and 1.0 ppm of copper ion. The influences of copper ion on the growth of the tadpol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pper ion inhibited the growth of the tadpole. 2) The tadpoles were not survived for 20 days in the copper ion of 0.4~0.5ppm, and in the 0.7ppm, the tadpoles were not survived for 1 day after hatch. 3) The critical lethal concentration of Korean tadpole is regarded as 0.6ppm of copper ion. 4) The growth of head with and body length show a convexin increase pattern. 5) In the growth quantity of head width and body length, that of natural water shows the most rapid increase pattern, and that of the copper ion groups 0.1, 0.2, and 0.3ppm follows in that order. 6) The coefficient of relative growth($\alpha$) of control group is the greatest value, and that of the copper ion groups of 0.1, 0.2, and 0.3ppm follows in that order. The natural water shows the positive allometry, the contaminated groups shows the negative allometry in the relative growth of the contaminated groups to the natural water. 7) Body length shows positive allometry in the relative growth to head width.

  • PDF

Allometric Relations of Take-off Speed and Power with Body Mass of Anuran Amphibians

  • Choi, In-Ho;Shin, Jae-Seung;Kim, Mi-Hy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477-481
    • /
    • 1998
  • Previous studies have postulated that isometric animals exert similar locomotory capacity (speed, distance) because the amount of energy available for the motion would be the same regardless of body mass (m). To test propriety of this theory, we examined body shape and take-off potential of two frog species, Rana nigromaculata (powerful jumpers) and Bombina orientalis (slow hoppers). Morphological measurements included thigh muscle mass (indicative of total muscle force), hindlimb length (L, determining acceleration distance), and interilial width (shaping take-off motion). To gauge locomotory capacity, take-off speed (v) and take-off angle ($\theta$) were measured from video analyses, and jump distance (R) and take-off Power ($P_{t}$ ) were calculated from equations $R=V^{2}sin2\theta/g$ and ($P_{t}$$㎷^{3}/2L$(where g is the gravitational constant). Scaling exponents of morphometric variables for both species were 0.96-1.11 for thigh muscle mass, 0.28-0.29 for hindlimb length, and 0.30-0.36 for interilial width. Scaling exponents of locomotory performance for the two species were -0.01-0.14 for take-off speed, 0.24-0.31 for jump distance, and 0.66-0.84 for take-off power.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frogs of this study showed isometric body shape within species, but that take-off response changed allometrically with body mass, indicating that these data did not fully support the previous proposition. An exception was found in take-off speed of B. orientalis, in which the speed changed little with body mass (slope=-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nergy availability approach did not properly explain the apparent allometric relations of the take-off response in these animals and that an alternative model such as a power production approach may be worth addressing.

  • PDF

개구리(Rana nigromaculata)발생에 따른 피부점액선의 조직학적 및 조직화학적 연구 (Histologic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n the Cutaneous Mucous Gland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Frog, Rana nigromaculata)

  • 김한화;노용태;정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1-60
    • /
    • 1975
  • 양서류 발생에 따른 피부점액선의 조직학적 및 조직화학적 변화를 밝히고저 개구리(Rana nigromaculata) 변태 각 단계의 유생 피부조직을 10% formalin 완충액에 고정($4^{\circ}C$), paraffin에 포매, 4$\mu$m 두께로 절편한후 periodic acid-Schiff(PAS) 및 alcian blue(AB) pH 2.5, pH 1.0에 반응시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부점액선의 출현은 변태 XV에서 처음으로 표피내 세포군이 형성되면서 비롯되는데 변태 XX, XXIII 및 XXIV에서 현저한 수적 증가가 있었다. 2. 피부점액선은 두 종류로 구분되는데 A형점액선은 선체부 상피세포들이 PAS와 AB pH2.5에 강양성, 경세포는 PAS에 강양성을 보이며, B형점액선의 선체부 상피세포들은 AB pH 2.5에 강양성을 보였다. 3. A형점액선은 변태 XIX에서 처음으로 내강을 형성하며 선상피내 점액질들이 PAS 및 alcian blue에 염색성을 보였고 변태가 진행됨에 따라 PAS 및 AB pH 2.5에 염색성이 점차로 증가되었다. 4. B형점액선은 변태 XX에서 처음으로 관찰되었으며 변태가 진행함에 따라 AB pH 2.5에 강양성을 보였다. 5. A형점액선과 B형점액선의 출현비는 변태 XX, 변태 XXI과 XXII, 변태 XXIII ~ XXV에서 각각 99 : 1, 7 : 3, 5.5 : 4.5였다. 6. 이상의 사실들로 미루어 양서류가 수서에서 양서로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피부내 수분 및 전해질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점액선의 현저한 발달이 요구된다구 사료된다.

  • PDF

이종간의 핵치환에 의한 발생수행능력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Developmental Capacity by Interspecific Nuclear Transplantation)

  • 이자경;정해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9-34
    • /
    • 1988
  • 초기 발생과정에 있어서 핵과 세포질이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양서류 한 종의 핵을 이조의 무핵 수정란에 치환하였다. Rana속에 속하는 R.dybowskii,R.nigromaculata,R.pipiens등의 이종간 잡종의 개체의 경우 낭배초기를 전후하여 발생이 중지되며,Rana,Xenopus그리고 Axolotl의 속간 핵치환에서는 후기포배기에 발생이 중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때 각 핵-세포질 조합의 발생수행능력을 비교하면 계통발생상의 유연관계가 먼 종일수록 초기에 발생이 중지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일반적으로양서류 종간 핵치환 결과는 후기 포배까지는 정상발생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같은 잡종개체가 초기에 발생수행능력의 제한을 받는 요인은 두가지로 생각할 수 있는데, 치환된 핵에 비가역적 변화가 일어났을 가능성과 핵과 세포질간의 기능적 비양립성이 그것으로 현재로서는 후작 좀 더 가능성 있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 PDF

"이전고환극구흡충" 패류중간숙주로서의 "애기물달팽이" (Austropeplea ollular (Pulmonata: Lymnaeidae): a new first intermediate host of Neodiplostomum seoulense ( Trematoda : Diplostomatidae ) in Korea)

  • Chung, Pyung-Rim;Younghun Jung;Hwang, Myung-Gi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12-512
    • /
    • 2000
  • Some planorbid snails such as Hippeutis cantori and Segmentina hemisphaerula have reported as the molluscan intermediate hosts of Neodiplostomum seoulense, one of important snail-borne huma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However, one of the Korean lymnaeid snail species, Austropeplea ollular was also found to be the first intermediate ho of N. seoulense. In field-collected Austropeplea snails from Sorae and Kimpo out of se collected localities, the bifurcated cercariae of N. seoulense were shed (infection rat 0.3%), whereas no Radix auricularia and Fossaria truncatula were found shedding cercariae. Each of 12 tadpoles of Rana nigromaculata, known as the second intermedia host of N. seoulense, were exposed to 200 cercariae shed from field-collected A ollula. F tadpoles of R. nigromaculata were found to be massively infected with metacercariae o N. seoulense (recovery rate: 62.1%). Each of five rats (Sprague-Dowley strain) was or fed with 200 metacercariae, and eggs of N. seoulense were detected in the rat feces on week later. These rats were killed 4 weeks after postinfection and adult worms of N seoulense were recovered from the small intestines (recovery rate: 9%). This is the f report of A. ollula as the first molluscan intermediate host for N. seoulense in Korea.

  • PDF

한국 남부지방 개구리에 기생하는 Sparganum과 Gnathostoma의 감염실태에 관한 조사보고 (The Infection status of Sparganum and Gnathostoma in Frogs of southern part of Korea)

  • 김창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83-86
    • /
    • 1983
  • 저자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인 경남과 전남등 11곳을 임의 선정하여 2속 3종의 개구리 총 626개체를 포획하고 Sparganum과 enathostcma의 감염상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한 총개체수 중 Sparganum의 감염률은 4% 이 었으며, Gnathostoma의 유충은 발견되지 않았고, 지역별의 감염상태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김해 16%, 순천 9.1%, 진해 9.1%, 사천 4.1%, 고성2%, 거제 2%, 하동 1.5%이고 합천, 광주, 남원, 산청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2. 개구리의 종류별 Sparganum의 감염률은 Rana nigrcmaculata가 4.1%이었으나 R. rugosa와 Bcmbina orientalis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3. Sparganum의 기생부위는 개구리의 뒷다리 대퇴부의 근간조직으로 검출률은 92.5%이었으며, 숙주 개체당 기생수는 한마리 기생이 42.5%로 가장 많았고, 최고 5마리의 기생도 12.5%이었다. 4. 개구리의 체중별 감염상태는 체구가 큰 개체군에서 감염률이 높았다. 5. Sparganum을 고양이에 경구감염시켜 얻은 성충은 형태학적으로 Spirometra 속으로 분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