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ection status of Sparganum and Gnathostoma in Frogs of southern part of Korea

한국 남부지방 개구리에 기생하는 Sparganum과 Gnathostoma의 감염실태에 관한 조사보고

  • 김창환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83.06.01

Abstract

A survey on the infection status of Sparganum and Gnathossoma in frogs was carried out in 11 areas in Gyeongsangnam-do and Cheonlanam-do province, a southern part of Korea. 1. Among 626 frogs examined, 4% were infected with Sparganum, but none with Gnathostoma. The infection rates of Sparganum were variable according to the areas. Those from Kimhae, Sunchon, Jinhae, Sachun, Kosung, Keoje, and Hadong were 16%, 9.1%, 9.1%, 4.1%, 2%, 2%, and 1.5% respectively, but frogs from Hapchun, Kwangju, Namwon and Sanchung were not found infected. 2. Rana nigromaculata was the only species infected with Sparganum. Rana rugesa and Bombing orientalis were not infected. 3. Sparganum was mainly found in the legs and the trunk of frog. About 92.5% of worms were detected in the femoral intermuscular connective tissue. 4. Number per infected frog was in range of one to five, and 2.8% of frogs were inacted by only one worm. 5. The heavier the frog weight, the higher the infection rate of Sparganum. In frogs of 51~60grams, 28.6% were infected.

저자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인 경남과 전남등 11곳을 임의 선정하여 2속 3종의 개구리 총 626개체를 포획하고 Sparganum과 enathostcma의 감염상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한 총개체수 중 Sparganum의 감염률은 4% 이 었으며, Gnathostoma의 유충은 발견되지 않았고, 지역별의 감염상태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김해 16%, 순천 9.1%, 진해 9.1%, 사천 4.1%, 고성2%, 거제 2%, 하동 1.5%이고 합천, 광주, 남원, 산청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2. 개구리의 종류별 Sparganum의 감염률은 Rana nigrcmaculata가 4.1%이었으나 R. rugosa와 Bcmbina orientalis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3. Sparganum의 기생부위는 개구리의 뒷다리 대퇴부의 근간조직으로 검출률은 92.5%이었으며, 숙주 개체당 기생수는 한마리 기생이 42.5%로 가장 많았고, 최고 5마리의 기생도 12.5%이었다. 4. 개구리의 체중별 감염상태는 체구가 큰 개체군에서 감염률이 높았다. 5. Sparganum을 고양이에 경구감염시켜 얻은 성충은 형태학적으로 Spirometra 속으로 분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