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mpar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남한산성 외성 성벽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산지추정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Outer Rampart of the Namhansanseong Fortress, Korea)

  • 박상구;박성철;김재환;좌용주
    • 암석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3-360
    • /
    • 2017
  • 남한산성 외성은 성벽의 붕괴와 부재의 탈락으로 인해 보존처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남한산성 외성의 성벽부재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실시하고 주변의 지질조사를 통해 산지를 추정함과 동시에 외성의 정비 시 활용 가능한 대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남한산성 외성부재는 호상편마암, 안구상편마암, 화강암질편마암, 반상변정질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강암질편마암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암석의 암석기재적 특징과 야외산상, 남한산의 채석흔적으로부터 남한산을 포함한 일대가 석재의 산지로 추정된다. 외성의 주요 축성재료들의 물성시험 결과와 축성에 사용된 부재의 현황을 종합한 결과 외성의 보수정비를 진행할 경우 대체석으로는 화강암질편마암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라우수영 성곽 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산지추정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the Jeolla Usuyeong Rampart, the Republic of Korea)

  • 박상구;김성태;김준혁;김선향;백예람;김재환;좌용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0-259
    • /
    • 2018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일대에 축성된 전라우수영 성곽의 부재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산지를 추정하여 보수정비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인 전라우수영은 2016년에 사적 제535호로 지정되었으며 성곽의 잔존구간은 약 15% 정도로 보존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성곽 부재에 대한 암석기재적 특징을 바탕으로 축성에 사용된 암석을 분류하고 사용비율을 산출하였으며 동시에 전암대자율을 측정하였다. 채취한 성곽 시료의 현미경관찰로 광물 구성 및 조직 등을 파악하였으며 주변지역에 대한 지질조사를 통해 축성 재료의 가능성이 있는 주변암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성곽 부재는 크게 응회암류와 기타 암석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대부분이 응회암류이며 세부적으로는 응회암, 화산력 응회암, 화산력암이다. 부재로 사용된 비율을 살펴보면 화산력 응회암이 60.3%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어서 응회암(34.7%), 화산력암(2.5%) 순이다. 전암대자율 측정 결과 응회암류는 $1{\times}10^{-3}$ SI unit 이하의 낮은 값과 $1-14{\times}10^{-3}$ SI unit의 높은 값을 보이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변암은 응회암이 우세하나 위치마다 기재면에서 차이를 보이며 그 외의 응회암류는 화원면 신덕리 일대에 분포한다. 암석기재적인 특징과 전암대자율 값, 채석산지의 가능성을 고려하면 부재의 응회암은 문내면 동외리, 화산력 응회암은 화원면 신덕리 일대가 산지로 추정된다. 추가로 축성 재료의 기준 설정을 위해 성곽의 주요 부재를 대상으로 물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압축강도 면에서 응회암이 약 156 MPa의 양호한 값을 보였다. 물성시험 결과와 부재의 암종 별 사용량을 종합하면 성곽의 보수정비 시 대체석으로는 응회암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산읍성 성벽에 사용된 암석 부재들의 암석학적 연구 및 산지추정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the Rampart of the Yeongsan-eupseong)

  • 문성우;김민지;김진주;좌용주
    • 암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7-373
    • /
    • 2014
  • 영산읍성은 창녕군 영산면 성내리에 위치해 있으며, 읍성의 성벽에 사용된 암석 부재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실시하고 산지추정을 함으로써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성벽의 암석 부재는 주로 안산암류, 화강암류, 퇴적암류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잔존 성벽의 경우 복원 구간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구간에서 안산암류가 우세하게 나타나지만, 복원 구간에서는 화강암류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안산암류의 원산지는 대부분 작약산 안산암으로 판단되고, 일부 주산 안산암이 발견된다. 화강암류 중 보존되어 있는 원래 암석의 산지는 인근 지역의 화강반암 암체로 판단되나, 복원에 사용된 된 암석은 이와 다르게 흑운모 화강암으로 나타났다. 퇴적암류의 산지는 읍성 주변에 분포하는 퇴적암 지층으로, 대부분 열변성을 받아 혼펠스화 되어있다.

경주읍성 성곽시설의 원형고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Research of Archetype of Kyeong Ju Castle)

  • 김홍곤;김영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2호
    • /
    • pp.4-3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주읍성의 성벽과 성곽시설을 대상으로 그 간의 연구 성과를 집대성하고 구체적인 규모와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원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을 확인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경주읍성의 위치와 규모를 고증하기 위하여 일제강점기 지적도 현재 지적도 현재 수지형도 발굴조사 유구 현황도를 도면중첩(over-lay) 한 결과 정확한 성곽유적의 위치와 규모를 확증할 수 있었다. 둘째, 문헌적 고증과 근현대의 연구사료 일제강점기의 유적조사 기록 보수정비 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고증한 결과 체성과 치의 규모 및 구조를 고증할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의 여장규식과 관련 문헌기록을 통하여 여장의 원형을 고증한 결과 문종원년(1451)의 초기 경주읍성의 여장과 임진란 전후(16세기 경)의 경주읍성 여장의 원형을 추정할 수 있었다. 넷째, 성곽 유적 대부분이 멸실된 상태이나 경주읍성의 문헌적 고증과 근현대 연구 사료(발굴조사 보수 수리기록 현장조사)의 조사내용을 토대로 규모를 산정하고 구조를 추정하였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향후 복원정비의 기초자료로서 개별 유적의 원형복원도를 작성 제시하였다.

청도읍성의 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heongdo-Eupseong)

  • 김찬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5호
    • /
    • pp.119-127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ion method shown in literatures and materials discovered in rampart, barbican and guard platform for Cheongdo-Eupseong castle which was constructed immediately befor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592-98).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construction method used in the coastal areas and inland areas of Gyeongsang province in the early Joseon period was applied to the rampart, barbican and guard platform in the east and north castle walls, which was constructed earlier than other parts of Cheongdo-Eupseong castle. However, from the western end of the northern castle wall, which was later constructed, to the western castle wall was rebuilt using a construc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method applied to the parts that were constructed earlier after Japanese Invasions of Korea. Cheongdo-Eupseong castle was constructed on a flatland on a large scale and at a low height under unreasonable pressures to construct the castle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military defense as well as civil agitation in the imminent situation just before the outbreak of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addition, various methods of constructing Eupseong castle utilized at that time were used together, and barbican and guard platform were built generally focusing on rapid completion and convenience, using other methods than the one mainly used at that time.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and period of castle construction between Cheongdo-Eupseong castle and other Eupseong castles in the coastal areas and inland areas of Gyeongsang province.

성첩 모델의 진동대 실험과 역사지진의 세기 평가 (Shaking Table Test of Full Scale Parapet Models for the Evaluation of Intensities of Historical Earthquakes)

  • 김재관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1-467
    • /
    • 2001
  • Shaking table tests were performed with full scale models of stone parapet on the ancient rampart. The objectives of these tests are to study the seismic behavior of the parapet and to obtain quantitative estimation of the intensities of historical earthquakes. Two test models were made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parapet remnant of a mountain fortress in Bukhan-San located in Seoul. Two types of infilling material are considered. The responses to models were tested subjected to three kinds of input motion.

  • PDF

A Review on Multidecadal Coastal Changes at Funafuti, Tuvalu from 1897 to 2015

  • Ahmed, Harun-Al-Rashid;Chan-Su, Ya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45
    • /
    • 2023
  • Tuvalu is a small reef islands country in the Pacific Ocean. Its coastal regions are very much dynamic due to the profound effects of tropical cyclones and sea level rise (SLR). However, research works on coastline dynamics of Tuvalu mainly cover its capital, Funafuti. Therefore, this review summarizes the extent of long-term coastal changes in different islets of Funafuti and on overall Tuvalu. In Funafuti, highly accreting areas are Te Afualiku, Fuafatu, Motugie, and Amatuku, and highly eroding areas are Fuagea and Tefala with the fully disappeared islet of Vasafua after 2005. However, in spite of different causes and supposition of scientists on disappearing these lands the accretion is more dominant than erosion which resulted in 7.3% net increase of land areas of Tuvalu over 117 years till 2015. Severe tropical cyclones mainly caused accretion of land areas by forming coral rubble rampart formation and further reworks and erosion to small sandy islands whereas frequent low-energy cyclones mainly caused erosion. Though, till now severe erosion of coastal areas are not evident by global SLR, islets of Funafuti experienced remarkable shoreline increase as formation of 30-40 m wide rubble rampart formation along 19 km in 1971 by tropical cyclone Bebe and net increase of area of 3.45 ha by tropical cyclone Pam in 2015. In spite of such overall accretion of coastal areas several scientists suspect drowning of its areas in future because of high SLR (~5.1±0.7 mm/year) at Funafuti which supposedly will not work as a breakwater anymore. Thus, protection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coastline erosion as well as land reclamation activities should be done following the global examples.

도시건축자산의 유형분류에 대한 연구 -대구시 서성로의 근대건축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e classification of Urban Architectural Assets - Focused on the Modern Architecture in Daegu Seosungro -)

  • 도현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45-54
    • /
    • 2015
  • This study is about the Type classification of architectural assets in Seosungro (one of the 4 Roads of Rampart in Junggu, Daegu), the main stronghol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ccording to the recent Urban Regeneration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about Operation management method of Original Downtown modern buildings and valuable hanok, and Conservational Regeneration of Architectural property of Urban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Architectural assets. By researching, analysing the feature and classifying the type of the buildings in Seosungro, The type classified Conservation plan can be suggested. The Types of the Architectural assets will be the basic data of the application plan of modern buildings which is for the urban regeneration, and this can predict the quantity and the demand of the building for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and also can be an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olicy data.

도시형 상가주택의 활용에 관한 연구 -대구시 북성로 근대건축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Commercial Housing - Focused on the Modern Architecture in Daegu Buksungro -)

  • 도현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5-42
    • /
    • 2015
  • This study is about Urban Commercial Housing among Modern Architectural assets in Buksungro (one of the 4 Roads of Rampart in Junggu, Daegu), the main stronghol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ccording to the recent Urban Regeneration strategy. The development of the Urban Commercial business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the Urban Housing that is accelerate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certainly caused the Urban Commercial Housing, and in the downtown of Daegu, with the Urban Hanok and Commercial Hanok, Commercial Housing based on Machiya, Japan has appeared. The study about Commercial Hanok and Machiya, Japan already existed, but there were no Comparative Study about the Modern times' Commercial Housing remaining in Kore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odern times' Commercial Housing in Buksungro, Daegu, with the Japans' Commercial Housing.

18세기 삼군영의 한양도성 개축과 각자성석 (Repair and Inscribed Stones of Hanyangdoseng by Three Commands in 18th century)

  • 문인식;김영수;송인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6호
    • /
    • pp.89-100
    • /
    • 2020
  •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construction methods and the materials of the wall repair by three command through individual command records and national documents. This paper is based on the management section of three commands(Samgunyoung), which was in charge of a repair and management of Hanyangdoseong(Seoul city wall) in 18th century.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ach inscribed stones on the rampart and the parapet, it is to grasp accurately the point of change of Hanyangdoseng after the 18th century. Second, through inscribed stones, the site evidence of the repair work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to find out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pair and reconstruction technology of Hanyangdos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