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water resource facilit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폐정화조를 재활용한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구상 및 경제성 분석 (Recycling of a discarded septic tank as a rainwater management system and it's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 김미경;곽동근;한무영;양지청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47-654
    • /
    • 2009
  • Since the end of the 1990s, sewer pipe improvement works have been going on: most septic tanks have been thrown away and discarded. These discarded septic tanks amounts up to 370,000 based on the project plan 2005-2008: it is a serious squander of nation's resources, a contaminating means that buries toxins under soil, and a cause of a expensive waste. Research on recycling of discarded septic tank as a new resource is in urgent need. This research suggests plans to recycle discarded septic tank as a rainwater management facility, solutions to water cycle recovery in the limelight, and economic analysis of the plan. In the case of a recycling discarded septic tank as a rainwater management facility will socially benefit to support economical adequacy, discard cost saving of septic tank and water supply and sewage cost reduction will come out. Consequently a rainwater management facility converted from a discarded septic tank leads to decentralization of the rainwater management system, which anticipates a positive effect on recovery of urban water cycle.

A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the Rainwater Harvesting System for Drinking Water Supply: A Case Study of Cukhe Village, Hanoi, Vietnam

  • Nguyen, Duc Canh;Dao, Anh Dung;Kim, Tschung-Il;Han, Mooyou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109-114
    • /
    • 2013
  • In Cukhe, a village located in the outskirts of Hanoi, Vietnam, people suffer from a shortage of high-quality water due to an arsenic contaminated supply water resource. We installed catchments, filters and settled tanks in the existing rainwater harvesting facility to improve water quality, and ten portable rainwater tanks to provide good-quality drinking water to the poor households and kindergartens in the dry season. The triple bottom line considerations, as well as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impacts of the rainwater harvesting (RWH) systems are examined. RWH is a sustainable method to obtain good-quality drinking water at low cost and with little energy expenditure. Education of the system also encourages that continuation of the system and expansion can lead into economic prosperity, as the safe drinking water can be sold to the community. Hence, RWH is a unique proposal as sustainable drinking supply water for improving the lives and health of residents in Cukhe and other sites where water supply sources are contaminated.

경사지 빗물자원화 시설의 안정성 검토방안 연구 (Stability Analysis of Rainwater Resources Facilities on the Slope)

  • 윤용철;윤성욱;임재운;오태한;김영주;서원명;유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79-8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범적으로 빗물 자원화 시설을 설치하여 대상 단면에 대해서 그 운영과정을 가정하여 안정해석 방안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안정해석에서는 시설물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경우와 비정상적인 상황을 가상하여 실제 지반조사 자료를 근거로 컴퓨터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이상상황에 대한 해석결과보다는 정상상태로 운용하는 경우에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설계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저수조의 규격결정시 토질조사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영향개발기법이 도시 유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on Urban Runoff)

  • 김희수;정건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7-316
    • /
    • 2021
  • 도시개발의 지나친 진행에 따라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해 유출이 증가되어 도시 홍수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으며, 도시 유역의 물순환을 개발 이전과 같은 상태로 되돌리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를 위한 노력으로 저영향 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술이 저류, 침투, 증발산과 같은 기작을 통해 도시개발 전후의 수문 현상을 모사하기 위해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LID를 실제 유역에 도입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소유역에 강우-유출 수문모형인 SWMM의 모의를 통해 LID를 적용하여 목표로 유출량 저감 효과를 시나리오 별로 분석 및 평가하였다. SWMM-LID 모형을 가산1빗물펌프장 유역을 대상으로 구축하였으며 옥상녹화와 투수성 블록 포장 기법을 기법별 정성평가를 통해 유역에 적용할 LID 기법으로 선정하였다. SWMM내에서 저류 및 침투를 통한 총 유출량 감소 효과를 위해 설정되어야 하는 각 인자들을 설계 하였으며, 6가지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모의한 결과, 투수성 포장에 의한 저감 효과가 옥상녹화에 의한 저감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향후 유역의 특성에 맞는 LID 시설의 설계가 필요하며, 특히 서로 영향을 미치는 하천이나 지하수위 등 도시 수자원 요소들은 전체 시스템에서 고려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식생형 LID 시설의 내부 토양 변화 분석 (Analysis of Soil Changes in Vegetable LID Facilities)

  • 이승재;윤여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4-212
    • /
    • 2022
  • 국내의 경우 LID 기술은 2009년 이후에 적용하기 시작하여 환경부, 국토부, LH공사 등의 사업지구와 공공기관, 상업용지, 주택, 공원, 학교 등에서 빗물 관리를 위해 LID 시설을 설치하고 운영 중이다. 그러나 국내의 사례를 살펴보면 국외에 비해 적용사례나 운영 기간 등이 충분하지 못하여 적절한 설계기준과 운영 및 유지관리에 대한 방안 제시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LID 기술을 활용하여 시공되는 LID 시설은 고유의 물순환 기능으로 발현하는 물질순환과 에너지 흐름으로 수문학적 및 환경적 효과가 발현되기에 LID 시설 내부의 지속적인 환경 유지가 필요하다. LID 시설은 물순환 목표량에 계획된 처리용량으로 설계가 되며 적절한 유지관리와 식생 및 토양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최초에 설치된 상태를 최대한 유지해야 그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즉, LID 시설은 물순환 구축을 통한 물의 저류와 침투능을 증대시키면서 수질오염저감, 홍수저감, 수자원확보, 온도저감 등의 효과를 기대하는 시설이기에 LID 시설에 조성되는 토양은 매우 중요한 설계 요소이다. 정확한 LID 시설의 기능 유지와 관리를 위해서는 토양오염, 제설제 영향, 식생 기준 등의 다양한 정량적 데이터를 통해 시설의 현재 상태와 교체 및 유지관리의 주기를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2020년까지 국내에 설치된 LID 시설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 중 식생형 시설인 빗물화단, 식생수로, 식생체류지 등을 대상으로 하여 토양층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한 후 지난 10년 간 적용된 LID 시설의 지속성과 현재 상태를 통해 토양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토성, 유기물, 경도, 함수량, pH, 전기전도도, 염분 등의 분석을 통해서 시공후 5년~7년 이상된 일부 식생형 LID 시설에서 조경설계기준 하급치에 해당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하급치 이하의 시설은 토양의 투수율 저하와 식생 생육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태로 유지관리가 필요한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른 토양치환과 교체를 통해 LID 시설을 관리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