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 patter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초

남한강 수계에서 장기 이화학적 수질특성에 대한 토지이용도 및 계절성 강우의 영향 (Influence of Landuse Pattern and Seasonal Precipitation on the Long-term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Namhan River Watershed)

  • 이지은;최지웅;안광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115-1129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term annual and seasonal trends of water chemistry on landuse patterns and seasonal precipitation using 72 sampling sites within Namhan River watershed during 2001-2010. Water quality, based on multi-parameters of water temperature(WT), dissolved oxygen(DO), biochemical oxygen demand(BOD), chemical oxygen demand(COD), suspended solids(SS), total nitrogen(TN), total phosphorus(TP), and electric conductivity(EC) varied largely depending on monsoon rain and landuse patterns such as forest, cropland, and residence. Concentrations of BOD and COD as an indicator for organic matter pollution, increased during summer monsoon season at the cropland and residential streams. Values of TN and TP were higher in residential streams than in the forest and cropland streams. In the meantime, DO values had weak relations to the landuse patterns of forest and cropland cover. Water quality was worst in cropland and residential streams, and also most degradated in 4th order stream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is required in the cropland and residential landuse streams.

타이어 패턴의 종그루브 인자에 따른 그루브 원더링 및 소음 특성 연구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ove Wandering and Noise Caused by the Design Parameter of Longitudinal Groove on the Tire's Pattern)

  • 한진혁;황성욱;강용구;한민현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10-116
    • /
    • 2011
  • Water on a road surface can lower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vehicle tires and it involves lots of risks. One way to prevent water from staying is to cut many "rain grooves" into the edges of the pavement parallel. Such grooves, however, can exert unwanted side forces, particularly on passenger tires, which cause "Groove Wander" making the drivers uncomfortable. The "Groove Wander" is somewhat related to vehicle geometry, but is more strongly related to interaction between road grooves and tire tread's longitudinal grooves. This thesis tries to examine principles to estimate "Groove Wandering" effect focusing on the design of longitudinal groove. Additionally, it studied how to reduce pipe resonance longitudinal grooves form in the contact patch.

토석류 충격력 산정을 위한 모형실험(건조시료 활용) (Model experiment for calculation of debris flow's shock force (Use dry materials))

  • 김진환;이용수;조규태;최원훈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271-1274
    • /
    • 2009
  • One of the landslide, Debris flow means flow mixed of rocks, gravels, sand and soil with water. Debris flow occurred in summer by passed the rainy season and typhoon. Especially, Localized heavy rain derived from abnormal weather caused debris flow independent of season. It is increase to collapse of house, bridge, roads by debris flow but countermeasure studies about occurrence cause, movement pattern, damage scale about debris flow are insufficient. This study performed debris flow model experiment using dry material and calculated shock force predicted debris flow occurrence.

  • PDF

지명을 통해 본 재해인식 및 방재 가능성 탐색 (A Study on Disaster Recognition and Feasibility of Disaster Prevention Based on Place Names)

  • 감선희;박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57-47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재해 및 방재 관련 지명의 유형과 분포, 사례지역 조사를 토대로 지명을 통한 재해 및 방재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한국지명총람"을 대상으로 106개의 검색 지명어에서 37,901개의 지명을 추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명의 유형별 빈도는 지형재해 및 방재 관련 지명이 월등히 많았고, 특히 호우, 범람, 침수 재해와 관련된 지명이 탁월하였다. 지역적 분포는 영 호남 지역의 점유율이 높은 가운데 수(水), 사(沙), 야(野), 우(雨), 상(狀) 등이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 반면 둠벙, 구렁, 여울, 탄(灘), 방죽, 제(提), 지(池) 등은 지역차가 커서 입지 및 지형적 특성이 지명에 투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지역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기상현상과 지형조건이 결합된 범람 및 침수 재해의 가능성이 높아 수계와 곡지형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PDF

침수 홍수사상의 강우자료를 활용한 설계강우 요소의 적정성 분석 (Appropriateness analysis of design rainfall factors using the rainfall data of an inundated flood events)

  • 유병욱;김선호;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4호
    • /
    • pp.237-24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침수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설계강우 주요 요소인 강우량 및 우량주상도가 실측 침수사상을 적절히 반영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대상지역은 홍수발생 시 피해액이 높은 대도시 7곳을 선정하였다. 확률 강우량과 실측 강우량 비교분석 결과 IDF 곡선을 통한 강우량은 실측 강우사상의 총 강우량보다 낮게 산정되는 경우가 57%로 실측 강우의 강우량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지 못한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재현빈도가 저 빈도이며 호우 유형이 태풍 또는 전선성 호우일 경우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강도 식별 강우량 비교결과 단기간에서는 Talbot 식, 장기간에는 Japanese 식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량주상도 비교 결과 최대강우강도는 Mononobe 방법이 형태는 Huff 방법이 가장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江華地域 降水의 汚染度 評價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Pollution Level of Precipitation at Kangwha, 1992)

  • 강공언;강병욱;김희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7-68
    • /
    • 1995
  • Precipitation samples were collected by a wet-only automatic acid precipitation sampler at Kangwha island on the western coast in Korea, through January until December 1992. pH, electric conductivity and the concentrations of major water-soluble ion components such as N $H_{4}$$^{+}$, $Ca^{2+}$, $K^{+}$, $Mg^{2+}$, N $a^{+}$, N $O_{3}$$^{[-10]}$ , S $O_{4}$$^{2-}$ and C $l^{[-10]}$ were measured. From the result of checking the validity for assesment of pollution level of precipitation samples by pH us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 and major components, and t-test of chemical composition between acid rain and non-acid rain, pH proved to be not satisfactory for its pillution level. A more comprehensive method is therefore required. In order to estimate the monthly analytical result of chemical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samples comprehensively, a cluster analysis was used among the variou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of making a cluster analysis for separating the monthly precipitation samples into homogeneous patterns by setting the concentrations of nine major water-soluble ion components as a variable, three homogeneous patterns were obtained. The first pattern was a group of months having average ion concentrations, the second a guoup of months having low ion concentration, and the third a group of months having high ion concentrations. Thus, it was indicated that the pollution level of precipitation was higher on February and lower on May, June, August and September than the other months. As a result, this analysis method could be estimated the chemical coposition of precipitation regionally as well as monthly.monthly.

  • PDF

전형적인 호우와 연관된 대기순환 (Typical Patterns of the Heavy Rains and their Associated Atmospheric Circulation)

  • Hi-Ryong Byun;Mo-Rang Her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7-184
    • /
    • 1998
  • 1981년부터 1990년까지 10년간 발생한 274개의 호우사례를 분류하여,한반도에서 호우시에 나타나는 강수량의 공간분포를 여섯 종류로 나누고 각각의 정관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때, 강하게 발달한 지표 저기압에 연관되어 발생하는 호우보다 상, 하층 제트를 동반한 채 발달중인 저기압에 연관되어 발생하는 호우가 많다. 둘째, 재부분의 호우역은 하층 제트의 위치와 방향 그리고 지표 온나전선의 위치에 연관되어 있다. 셋째, 500hPa 면의 저기압 중심이나 기압골의 위치가 서쪽으로 멀어질수록 한반도에어 호우는 고위도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한반도에 호우를 초래하는 500hPa의 저기압 중심은 하계몬순의 발달을 따라 서쪽으로 자리잡는 경향이 있으나 해마다 차이가 있다.차이가 있다.

  • PDF

풍화파쇄대에서 발생하는 터널 붕락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of Tunnel Collapse in Weathered Rockmass)

  • 김낙영;박영호;심재원;박용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5-61
    • /
    • 2009
  • 국토의 70%가 산지인 우리나라는 최근들어 도로터널 건설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최근 풍화파쇄대 구간에서 흔히 붕락되는 터널 붕락 유형을 분석하였다. 터널붕락 유형을 분석한 결과, 과거와는 붕락 유형이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것을 분석되었다. 과거의 터널 붕락 유형은 저토피고 구간 계곡부에서 강우 직후, 터널굴착 주변 지반의 전단강도 감소로 인하여 국부적인 붕락이 발생하였으나 최근의 붕락 유형을 조사해 보면 대심도 구간에서 또는 굴착후 1차 지보재를 설치한후, 붕락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지반조건이 전반적으로 매우 연약하여 적절한 지보가 설치되지 못하여, 막장 후방에 위치한 숏크리트에 과다한 균열 발생, 또는 국부적인 붕락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발생되었던 터널 붕락 사례 분석을 통하여 붕락원인과 보강공법에 대하여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유성 소유역의 강수 및 지열수의 산소.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변화 (The Variation of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 in Precipitation and Geothermal Waters from the Yuseong Catchment)

  • 문상호;조성현;이광식;윤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4호
    • /
    • pp.389-401
    • /
    • 2007
  •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유성 소유역내 강수, 지하수, 지열수의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조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1975년부터 2006년까지의 강수 패턴을 분석한 결과, 연구지역은 $6{\sim}7$년의 가뭄 주기성을 보였다. 2001년도 가뭄 시기부터 2004년까지 4년간 강수의 산소 수소 동위원소 조성은 점차 무거운 성분으로 변화해가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 지역에서 4년간의 강수량을 고려한 동위원소의 가중 평균간을 구해 보면 ${\delta}^{18}O=-7.7%o,\;{\delta}D=-51%o$로서, 동일 기간 내의 지하수와 지열수의 동위원소보다 무거운 조성 범위를 보였다. 이는 연구 지역의 지수 및 지열수가 동위원소적 관점에서 2-3년 이내의 강수에 의해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자료들을 검토해 볼 때, 연구지역에서의 지하수와 지열수는 1990년과 1992년이 가장 무거운 동위원소 조성을 보였으며 이후로는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조성이 점차 가벼워지는 쪽으로 변화해가는 양상을 보였다.

현재와 미래 우리나라 겨울철 강수형태 변화 (Current and Future Changes in the Type of Wintertime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 최광용;권원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후반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최근 한반도 겨울철 강수현상에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을 밝히고, 21세기 후반 기후모델(GFDL 2.1)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의 겨울강수 변화추세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61개 지점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에 따르면, 지난 35년 동안$(1973/74\sim2006/07)$ 우리나라 겨울철($11\sim4$월) 총 강수량은 변화가 없었지만, 강설량은 약 4.3cm/10년의 비율로 감소하였다. 1980년대 후반 이후 강설일수가 감소하고, 강설강도가 약해지고, 강설계절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설수일율(전체 강수일 수에서 강설일이 차지하는 비율)도 낮아졌다. 이러한 패턴은 겨울철 강수형태가 점차 강설에서 강우의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우리나라 겨울철 강수 형태의 변화는 겨울철 양(+)의 북극진동(Arctic Oscillation)에 의해 한반도 주변의 겨울철 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나타난 기온상승과 관련되어 있다. 1980년대 후반 이후의 동북아시아 지역의 기압 상승은 한반도 주변의 대기와 해양 온도를 차별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대기안정도 증가에 의한 눈구름 형성 감소와 관련된 대기-해양간 온도경도를 감소시켰다. 모델생산 미래$(2081\sim2100)$ 기후자료와 20세기 후반$(1981\sim2000)$ 기후자료 비교 분석 결과, 21세기 말에는 대기 중 온실기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온난화가 강화되어 겨울철 강설기간이 더 짧아지고 강설불가능일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