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x-16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약용식물 추출물이 In vitro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과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 (Extracts of Korean Medicinal Plant Extracts Alter Lipogenesis of Pig Adipose Tissue an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In vitro)

  • 최영숙;최강덕;김성도;필립 오웬즈;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383-388
    • /
    • 2010
  • In vivo 실험에 의해서 지방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아내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본 연구는 돼지 지방조직을 이용한 in vitro system을 이용해서 한국의 약용식물 중에서 지방축적 억제 작용을 가지는 것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183종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이들이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과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작용을 조사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은 72종, 물 추출물은 111종, 이 중에서 65종은 물과 에탄올 모두 이용해서 추출하였다.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은 13종류의 약용식물이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 11종은 대조구에 비하여 지방합성을 40% 이상 억제하였고, 4종은 지방합성을 70% 이상 억제하였다. 가장 강력한 지방합성 억제작용을 나타낸 것은 붓꽃과와 고삼(에탄올 추출) 그리고 좁쌀풀(물과 에탄올 추출)이었다. 그러나 소목과 황백은 지방합성을 촉진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결과는 총 28종의 약용식물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 중 16종의 약용식물은 증가시켰고, 12종은 억제시켰다. 목단피와 강활(에탄올 추출) 그리고 당귀, 목향 및 신이(물 추출)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두 배 정도 증가시켰다. 10종의 약용식물 즉 감초, 형개 및 구월나무(에탄올 추출) 그리고 비름과, 천문동, 백출, 유자나무, 향부자, 구엽초 및 목단피(물 추출)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35% 이상 억제시켰다. 구월나무(에탄올 추출)만이 지방합성뿐만 아니라 세포분화도 억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약용식물로부터 가축과 사람의 지방축적 억제효능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약재의 약용부위별 중금속 함량 및 탕 액에서의 이행률 조사 (Survey of Heavy Metal Contents and Intake Rates After Decoction in Herbal Medicines Classified by Parts)

  • 정삼주;강성태;한창호;김수진;고숙경;김윤희;김유경;김복순;최병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2-40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한약재 132품목 1047건을 대상으로 하여 납, 비소, 카드뮴, 수은의 함량을 측정하고 오염정도를 약용부위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는 micro-wave 법을 이용하여 분해하였으며 납, 카드뮴, 비소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수은은 수은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전체시료의 중금속 평균 함량은 납 0.870 (ND-69.200) mg/kg, 비소 0.148 (ND-2.965) mg/kg, 카드뮴 0.092 (ND-2.010) mg/kg, 수은 0.007 (ND-0.137) mg/kg으로 나타났다. 또한 납, 비소, 카드뮴, 수은을 합한 전체 중금속 함량을 기준으로 한 약용부위별 중금속 합계 평균함량은 줄기류 2.046 (0.065-4.474), 잎류 1.886 (0.048-10.404), 화류 1.874 (0.052-5.393), 표피류 1.377 (0.011-4.837), 뿌리류 1.165 (0.012-70.111), 뿌리줄기류 1.116 (0.016-5.490, 열매류 0.838 (0.017-4.527), 버섯류 0.729 (0.013-4.953), 종자류 0.646 (0.006-4.4 16)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평균 함량은 뿌리류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서 모두 국내산 한약재보다 수입산 한약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기준을 초과한 이들 시료를 탕 액으로 만들어 탕제 전후의 중금속 함량을 측정하고 이행률을 산정한 결과 이행률 평균값은 납 6.1%, 비소 40.3%, 카드뮴 4.7%, 수은 2.2%로 나타나 탕제 후에 중금속 함량이 현저히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시중 유통 중인 한약재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중금속 기준설정과 구체적인 품질관리를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흰쥐 신경세포에서 억제성 및 흥분성 한약재가 유발한 이온전류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ion current induced by inhibitory and excitatory herbs in rat periaqueductal gray neuron)

  • 이충열;조선혜;서종은;한승호;조영욱;민병일;김창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50-467
    • /
    • 1998
  •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ion currents induced by inhibitory and excitatory herbs of oriental medicine, we used nystatin-perforated patch clamp technique under voltage clamp condition in periaqueductal gray neuron dissociated from Sprauge-Dawley rat, 10-15 days ol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on current induced by $10mg/m{\ell}$ of Bupleuri Radix was inhibited $59.50{\pm}4.29%$ by $10^{-4}M$ bicuculline(p>0.01) but inhibition of $10.75{\pm}4.77%$ by $10^{-4}M$ tubocurarine and $4.75{\pm}4.23%$ by $10^{-4}M$ verapamil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Bupleuri Radix revealed only GABA induced $Cl^-$ current, not acetylcholine and $Ca^{2+}$ current. 2. Ion current induced by $20mg/m{\ell}$ of Coptidis Rhizoma was inhibited $47.20{\pm}7.88%$ by $10^{-4}M$ bicuculline(p<0.01) but $3.20{\pm}2.33%$ inhibition by $10^{-4}M$ tubocurarine and $1.00{\pm}1.00%$ inhibition by $10^{-4}M$ verapamil had no significance(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Coptidis Rhizoma revealed only GABA induced $Cl^-$ current, not acetylcholine and $Ca^{2+}$ current. 3. Ion current induced by $20mg/m{\ell}$ of Ecliptae Herba was inhibited $55.00{\pm}4.92%$ by $10^{-4}M$ bicuculline (p<0.01), and also inhibited $15.00{\pm}4.26%$ by $10^{-4}M$ tubocurarine(p<0.05), but inhibition of $6.00{\pm}3.03%$ by $10^{-4}M$ verapamil had no significance(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Ecliptae Herba showed GABA activated $Cl^-$ current and acetylcholine activated cation current, not $Ca^{2+}$ current 4. Ion current induced by $5mg/m{\ell}$ of Liriopis Tuber was inhibited $15.20{\pm}4.57%$ by $10^{-4}M$ bicuculline<0.05) and also inhibited $14.00{\pm}3.00%$ by $10^{-4}M$ tubocurarine(p<0.05), but inhibition of $5.20{\pm}4.80%$ by $10^{-4}M$ verapamil had no significance(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Liriopis Tuber showed GABA. activated $Cl^-$ current and acetylcholine activated cation current, not $Ca^{2+}$ current. 5. Ion current induced by $5mg/m{\ell}$ of Aconiti Tuber was inhibited $97.00{\pm}1.34%$ by $10^{-4}M$ bicuculline(p<0.01), $80.00{\pm}9.83%$ by $10^{-4}M$ tubocurarine(p<0.01), and $24.00{\pm}6.18%$ by $10^{-4}M$ verapamil(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Aconiti Tuber revealed GABA activated $Cl^-$ current and acetylcholine activated cation current and $Ca^{2+}$ current. 6. Ion current induced by $10mg/m{\ell}$ of Zingiberis Rhizoma was inhibited $33.00{\pm}7.43%$ by $10^{-4}$ bicuculline(p<0.05), $10.20{\pm}1.83%$ by $10-^{-4}M$ tubocurarine(p<0.01), and $14.00{\pm}2.16%$ by $10^{-4}M$ verapamil(p<0.01) So ion current induced by Zingiberis Rhizoma revealed GABA activated $Cl^-$ current and acetylcholine activated cation outtent and $Ca^{2+}$ current. 7. Ion current induced by $10mg/m{\ell}$ of Boshniakiae Herba was inhibited $65.00{\pm}13.75%$ by $10^{-4}M$ bicuculline(p<0.05), $38.00{\pm}9.24%$ by $10^{-4}M$ tubocurarine(p<0.05), and $33.25{\pm}7.42%$ by $10^{-4}M$ verapamiHp<0.05). So ion current induced by Bpshniakiae Herba revealed GABA activated $Cl^-$ current and acetylcholine activated cation current and $Ca^{2+}$ curr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oint of difference between inhibitory and excitatory herbs is existence of$Ca^{2+}$ current.

  • PDF

국내 수집 두과식물의 부위별 pinitol 함량 변이 (Variation of Pinitol Content for Domestic Legume Species in Korea)

  • 서승민;정연신;;신동현;이인중;박은숙;이정동;황영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0-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일원에서 수집한 자귀나부(Albizia julibrissin)를 포함한 두과식물 17종에서 인체의 혈당저하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pinitol 함량을 식물체 부위별로 조사하였는 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집한 17개 두과식물 종간에는 pinitol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종별 총 pinitol 함량에서는 비수리(Lespedeza cuneata)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식물체 부위별로 pinitol 함량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잎, 줄기, 꼬투리, 종자, 뿌리의 순으로 많았다. 2. 잎에서 비교적 많은 pinitol 함량을 보인 식물은 골담초, 족제비싸리, 돌동부 및 비수리로 각각 59.9 mg/g, 62.2 mg/g, 69.6 mg/g, 65.4 mg/g으로 약 60 mg/g이상을 나타내었고, 줄기의 경우는 황기가 34.0 mg/g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뿌리에서는 칡이 24.6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감초와 골담초가 16.9 mg/g, 16.5 mg/g으로 그 다음으로 높았다. 그러나 꼬투리나 종자에서는 제비콩(52.5 mg/g)과 비수리(24.9 mg/g)를 제외하고 pinitol 함량은 잎이나 줄기에 비해 모든 조사식물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3. 조사대상 식물체의 pinitol 함량과 수확 가능한 식물체량을 고려할 때, 실제 약용으로 이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비수리이었다. 비수리의 경우 전국적인 수집을 통해 pinitol 함량이 높은 계통을 선발한다면 이용가능성 이 높은 pinitol 추출용 계통의 선발이나 보다 이용가치가 높은 새로운 품종의 육성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약제제(액제)의 안전성 평가 (Safety Assessment of Liquid-Type Herbal Preparations)

  • 조현례;전종섭;김범호;조상훈;박신희;김영숙;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6-272
    • /
    • 2011
  • The safety of liquid-type herbal preparations (47 samples) and beverages containing herbal medicines (18 samples), which are distributed in Gyeonggi province was studied by analyzing heavy metals, benzo(a)pyrene, preservatives and sugar content and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medicine and food based on the labeling standards. The herbal preparation is regarded as medicine and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beverages containing herbal medicine, which is food, based on the fact that the herbal preparation should be labeled with usage, dosage, efficiency and effect. The mean concentrations of Pb, As, Cd, Hg were found to be 0.014 mg/kg, 0.113 mg/kg, 0.004 mg/kg and 0.003 mg/kg in herbal preparation and 0.009 mg/kg, 0.122 mg/kg, 0.003 mg/kg and 0.002 mg/kg in beverages containing herbal medicines, respectively. In 10 cases of herbal preparations and 6 cases of beverages containing Rehmanniae Radix Preparata (Sukjihwang), benzo(a)pyrene was not found. According to preservative test on herbal medicine, dehydroacetic acid was found less than the indicated content in 6 cases out of 37 cases, which labeled with preservatives, and benzoic acid, dehydroacetic acid and methylparaben were contained with 164.0~198.0 mg/kg, 149.8~272.5 mg/kg and 88.4 mg/kg, respectively, in 3 cases out of 10 cases, which was not labeled with preservatives. Among 16 cases of beverages containing herbal medicines, 3 cases of preservative-labeled beverages had the preservatives, and the rest of all, which was not labeled with preservatives, did not show that they contain any preservative, therefore, it was suitable for the labeling standards. As a result of sugar content test, preservative-labeled products were not appreciably different from the others.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록(收錄)된 인삼(人蔘)이 주약(主藥)으로 배오(配伍)된 방제(方劑)의 활용(活用)범위, 병증, 주치(主治), 병리(病理) 및 구성내용(構成內容) 조사(調査) (Studies on Therapeutic range, Symptom, Pathology, and composition of Ginseng Radix -main blended Prescriptions from Donguibogam)

  • 조대연;정종길;윤용갑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5-82
    • /
    • 2001
  • In the Encyclopedia Medica Koreana(Dongeuibogam), I have researched 245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And I have got the following results. The healing scope and frequency of ginseng-mainly-included prescriptions are Child Part 29(11.83%), Violent Cough Part 23(9.38%), Sick-by-Cold Part 21(8.57%), Oncosis Part 16(6.53%), Overwork Part 14(5.71%), Gynecologic Part 14(5.71%), Internal Part 13(5.3%), Apoplexy Part 11(4.48%), Mind Part 10(4.08%) and Fecal Part 10(4.08%) prescriptions. And also each of Nausea Part, Anger Part, and Spirit parts has the same 5 (2.04%) prescriptions. And each of Qi Part, Diabetes Meatus Part, Malaria Part, and Humoral Part has 4(1.63%) prescriptions. And each of Foot Part, Choleraic Part, Genital Part, Blood Part, and Voice Part has 3 (1.2%). All of these prescriptions cover 88.88%. And besides listed parts above, Panax Ginseng is all used in 48 Parts: Body-Mind Part. Mouth-Tongue Part, Breast Part, Muscle Part, Swelling Part, Urine Part, Epidermis Part, Heat Part, Anus Part, Stomach Part, Eye Part, Laryngopharynx Part. Uterus Part" Heavy Stomach Part, Head Part, Pulse Part, Hair Part, Navel Part, Emetic Part, Costal Part, Edema Part, Vomiting Part, Superstitious Part, and Cardiac Part, etc. Of the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the most representative diseases, which more than 86.8% prescriptions cure, are shock, numbness from cold, Taeeum disease, oncosis, overwork, sick from eating, numbness of extremities, diarrhea, tachycardia, forgetfulness, nausea, heat from kidney, nocturnal emission, short breath, diabetes meatus, malaria, sweating, sweating overnight, beriberi, cholera, insomnia from enervation, sialitis, navel pain, hemorrhage, and loss of voice. The pathology of the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is divided into the organ problems, six natural factors, seven extreme feelings, unbalanced humoral status, overwork, and, unbalance of qi and blood. Spleen, heart, and uterus is the main cause of organ problems; wind and cold are the main cause of six natural factors; heavy humors are the main cause of unbalanced humoral status; the stasis of seven feelings are the main cause of seven extreme feelings; the lack of stamina and overwork are the main cause of the overwork; the lack of qi, the lack of blood, and, the lack of qi and blood are the main cause of the unbalance of qi and blood. After I have researched the contents of the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I could understand the addition of the different prescriptions, combination of medicines, and the role of medicine groups associated with Panax Ginseng. So from now on, the results I have got could be used as the data which show the theoretical basis on the prescriptions.

  • PDF

국내 시판되는 허브류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검색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Herbs in Korean Markets)

  • 채인경;김현정;유미희;김혁일;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11-1417
    • /
    • 2010
  • 총 폴리페놀 함량은 로즈마리에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고, 구절초, 라벤더, 레몬그라스도 $72{\sim}80\;{\mu}g$/mg의 비교적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반면 카렌듈라와 목향은 다른 허브류보다 20~40% 정도의 낮은 폴리페놀의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레몬그라스, 로즈마리, 구절초, 카렌듈라, 라벤더, 목향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로즈마리, 라벤더, 구절초, 레몬그라스는 최고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DPPH 소거능이 있었고, $IC_{50}$값은 로즈마리 $6.23{\pm}0.58\;{\mu}g/mL$, 라벤더 $18.29{\pm}0.68\;{\mu}g/mL$, 구절초 $20.33{\pm}1.04\;{\mu}g/mL$, 레몬그라스 $22.38{\pm}0.77\;{\mu}g/mL$, 카렌듈라 $60.03{\pm}4.01\;{\mu}g/mL$, 목향 $65.64{\pm}2.64\;{\mu}g/mL$이었다. 이들 허브 추출물들의 항균 활성을 살펴보면, S. aureus 균주는 최고농도 100 mg/mL에서 구절초 14.5 mm, 로즈마리 15 mm로 가장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E. coli O157:H7 균주는 최고농도 100 mg/mL에서 구절초 16 mm, 로즈마리 17 mm로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허브류 중에서 로즈마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보였고,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레몬그라스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S. aureus와 E. coli O157:H7 2종류의 균에 대한 항균 효과는 로즈마리와 구절초에서 가장 뛰어난 효과를 확인하였다.

한국산 담수 복족류 2종의 소화기관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Ultrastrutures of Some Selected Digestive Organs of Two Korean Freshwater Snails)

  • 정계헌;이훈섭;박종안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6
    • /
    • 1993
  • 한국의 담수에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으면서 역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두 종의 복족류 즉 쇠우렁이(Parafossarulus manchouricus)와 물달팽이(Radix auricularia coreana)의 소화기관 중에서 식도, 소화선 및 장에 대한 미세구조 관찰을 시도하였다. 이 부위들은 간흡충(간디스토마)과간질(소간디스토마)의 유생들이 그들의 생활사 중 거쳐가는 곳으로 알려진 소화관들이어서 이후 흡충류의 유충들이 위의 소화관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된 것이었다. 관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식도의 상피조직은 두 종류에서 공히 원주세포와 원주섬모세포 및 점액분비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식도강상피 내에서도 어느 정도의 흡수와 소화가 이루어 지고 있음은 특이한 현상이라 하겠다. 소화선은 두 종에서 공히 복분지 관상선으로서 그 상피는 micovilli를 선강 또는 도관에 연한 유리표면에 가지고 있어 brush boredr을 이루고 있는 원주세포과 원주섬모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세포들의 내부 구조로 보아 소화세포와 배석세포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장의 상피는 원주세포와 원주섬모세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들도 장강에 연한 유리표면에는 brush border를 이루고 있었다. 흡수와 분비기능이 활발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반적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관찰한 두 복족류의 소화관은 모든 부위에서 세포의 유리표면에 microvilli를 가지고 있어 물질의 흡수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었고, 이들 세포 중에는 때로 밀집한 cilia를 가지고 있어 소화관 내의 액체물질이나 이에 내포된 미세입자들의 유동을 도와주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근육질의 두꺼운 벽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강은 돌출부위에 의해 4부분으로 갈라져 있었다. 내강에 연한 상피는 원주세포로 되어 있었다. 상음경(epiphallus)의 벽은 근섬유 다발은 벽의 외곽으로 갈수록 밀도가 높아졌다. 상부에 내강과 연결되는 함입구조(groove)를 가지며, 내강에 연한 상피는 섬모가 없는 원주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음경(penis)은 근섬유가 산재된 두꺼운 벽을 가졌으며 상음경보다 굵은 원통형이었다. 내강은 많은 돌출부에 의해 복잡하게 나뉘어 있으며 상피세포는 원주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고 섬모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강 내의 분비물과 세포의 형태로 보아 내강상피세포는 분비기능을 가진 것으로 사료된다.술적 문제가 적절히 해결되는 경우 비활성 가스 제너레이터는 민수용으로는 대형 빌딩, 산림, 유조선 등의 화재에 매우 적절히 사용되어 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군사적으로도 군사작전 중 및 공군 기지의 화재 그리고 지하벙커에 설치되어 있는 고급 첨단 군사 장비 등의 화재 뿐 아니라 대간첩작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가 작으며, 본 연소관에 충전된 RDX/AP계 추진제의 경우 추진제의 습기투과에 의한 추진제 물성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7%), 혈액투석, 식도부분절제술 및 위루술·위회장문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각 1례(2.9%)씩이었다. 13) 심각한 합병증은 9례(26.5%)에서 보였는데 그중 식도협착증이 6례(17.6%), 급성신부전증 1례(2.9%), 종격동기흉과 폐염이 병발한 경우와 폐염이 각

  • PDF

남성 불임에 관한 실험연구 동향 분석 - 학위논문 중심으로 - (Analysis of Experimental Study Tendency on Oriental Herbal Medicines for Male Infertility - Focusing on Domestic Theses for a Degree -)

  • 배상은;김희정;이승열;김흥수;김철수;하인혁;이진호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0-139
    • /
    • 2014
  • Objectives: The tendency of experimental studies on the male infertility was analyzed through focusing on domestic theses for a degree to indicate the hereafter direction for its study in oriental herbal medicine. Methods: 35 domestic theses for a degree published after 2003 were analyzed. And theses were classified by year, study design, degree and subjects. Result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35 theses were reviewed. 11 master dissertations and 24 doctorate dissertations 2. In the annual publishing tendency, the number of theses began to increase from 2003 and the theses have been published actively from 2005. 3. Classified by study design, 19 in vitro & in vivo and 16 in vitro experimental studies were performed. 4. In the medication and prescription, the studies with single medication were 32, and prescription were 3. In the studies with single medication, four studies on Ginseng Radix (人蔘) were the most. 5. In theses related to single medication, BoYang-Yak was most prefered, followed BoYeum-Yak, BoKi-Yak, SabJung-ChukNyo-JiDae-Yak. 6. Analysed 35 theses by subject, concentrational experiments were 23, periodical experiment were 3, concentrational & periodical experiment was 1. 7. In theses related to herb medication, the themes were Body & testicular weight, sperm parameters, testosterone level, CREM mRNA level & CREM protein, seminiferous tubule and antioxidant activity. 8. Related to herb medication's antioxidant activity efficacy were 7 theses. Conclusions: If there are more diverse studies on medication, prescription, external treatment methods and experiment methods in the future, this will be very helpful for the clinical treatment of male infertility.

方藥合編 皮膚外科 處方에 대한 分析 (Analysis on the Dermatosrugical Prescriptions in BangYakHapPyun(方藥合編))

  • 박민철;최인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2-62
    • /
    • 2003
  • Subjects : We tried to analysis dermatosurgical prescriptions including 477 WonBang(元方) prescriptions for SangJungHaTong(上中下統) introduced by HwangDoYeon(黃道淵). Methods : Prescriptions in BangYakHapPyun(方藥合編) is generally categorized into SangTong(上統), JungTong(中統), HaTong(下統) which are called PoJe(補劑), HwaJe(和劑), KongJe(功劑) respectively.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major diseases and symptoms appeared in dermatosurgical prescription and composition of medicine, as well as in BangYakHapPyun(方藥合編). Results and conclusions : The results of examining dermatosurgical prescriptions in WonBang(元方) of SangJungHaTong(上中下統) in BangYakHapPyun(方藥合編) a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dematosurgical prescriptions was SangTong(上統) $\frac{10}{126}$(7.9$\%$). JungTong(中統) $\frac{22}{181}$(12.1$\%$), and HaTong(下統) $\frac{16}{163}$(9.8$\%$), which means that JungTong(中統)(HwaJe 和劑) takes up relatively the largest portion. 2. As for SangTong(上統), upper level herbs used in medicine are Glycyrrhiza uralensis(甘草), Paeonia japonica(白芍藥), Angelica gigas(當歸). Astragalus membranaceus(황기). Ginseng(人蔘), Poria cocos(복령), Atractylodis macrocephalae rhizoma(白朮). Cinnamon(肉桂), Rehmaniniae radix preparat(熱地黃). And these herbs are the components of Sipjundaebo-tang(十全大補湯), one of the most well-known medicine for weak energy and blood(補氣血). 3. As for JungTong(中統), in addition to medicine for weak energy and blood. Ledebouriella seseloides(防風) that removes ill elements on skin surface and Pung(風) called "wind". Limonium tetragonum(桔梗) that eliminates discharges and sputum, Angelica dahurica(白芷) that removes discharge and suppress tumor are applied. Other herbs are Ostericum koreanum(羌活). Skullcap(황령),Schizonepeta tenuifolia(荊芥), Aurantii fructus(地殼), Cimicifuga heracleifolia(升麻), Bupleurum falcatum(柴胡), Lonicerae flos(金銀花). These herbs are more effective for wind-calming treatment. cooling down fever, clearing skin irritation, detoxication. removal of tumor and discharge than replenishing energy and blood. 4. As for HaTong(下統), Angelica gigas(當歸) and Ledebouriella seseloides(防風), the two major herbs for SangTong(上統) and JungTong(中統), are mostly used. In addition, Skullcap(黃芩), Gardenia jasminoides(梔子), Eisenia bicyclis(大黃) are other major components and their key efficacy is to lower fever and KongHa(功下). 5. Herbs applied for SangTong(上統), JungTong(中統), and HaTong(下統) in large quantity are Glycyrrhiza uralensis(甘草) that harmoniously combine different herbal elements and Poria cocos(복령) that discharges humidity and watery elements out of body, removes humid and hot elements, and strengthen gastrointestinal system. Based on this, it is inferred that prescriptions for this study focus largely on treatment of humid and hot elements. In the composition of this prescription, Angelica gigas(當歸), Paeonia japonica(白芍藥), and Cnidium officinale(川芎) are taking up relatively large proportion, which are basic herbs for Samul-tang(四物湯). Therefore, it is incurred here that the concept of "replenishing blood" bears importance in dermatosurgical treatment. 6. As for herb medicines used for more than two types of prescriptions of SangTong(上統), JungTong(中統), and HaTong(下統), most of them are simultaneously used for SangTong(上統) and JungTong(中統), or for JungTong(中統), and HaTong(下統) except for Atractylodis macrocephalae rhizoma(白朮) and Gleditsia sinensis(조각자). This finding implies that prescription or treatment that are simultaneously applied are replenishing and harmonizing, or harmonizing and attacking while replenishing and attacking never go toge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