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sh pickl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당근과 무 피클의 저장기간 중의 성분 및 기호도의 변화 (The Changes of Components and Texture out of Carrot and Radish Pickles during the Storage)

  • 이혜정;김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63-569
    • /
    • 2000
  • 무와 당근으로 피클을 만들어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들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이 결과를 나타냈다. 1. 저장 기간에 따라 기계적 rheometer의 hardness는 무 피클보다 당근 피클 시료의 값이 높았다. 2. 색도에서 명도는 무피클의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이 낮아졌고 당근 피클은 L값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a 값은 당근 피클이 무 피클보다 높았고, 무 피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b 값은 무 피클의 보다는 당근 피클이 높았으나 무 피클도 b값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3. pH는 무 피클은 초기의 4.6에서 3.68로 낮아졌고 당근 피클은 4.7에서 4.0으로 낮아졌다. 4. 대장균과 일반 세균은 두 시료 모두 저장 기간 중에 대장균은 발견되지 않았고 일반 세균도 당근 피클의 경우는 실험 첫째날 이후로는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고, 무 피클은 20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후로는 변화가 없었다. 5. 관능 검사 결과 무 피클은 hardness의 저하와 역겨운 맛이 증가가 하였고, 당근 피클은 신맛의 증가와 hardness의 저하도가 낮았으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당근 피클의 기호도가 낮았다. hardness의 기계적 측정과 관능 검사의 결과는 모두 전체적인 기호도와 1%내의 상관도를 나타냈다.

  • PDF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무 피클의 제조 및 품질 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dish Pickle with Natural Preservatives)

  • 박성진;최윤정;이민정;서혜영;윤예랑;민승기;이혜진;이재홍;강성란;김현정;박성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77-581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dish pickle containing different natural preservatives (grapefruit seed extract, green tea extract, rosemary, or olive) stored for 0, 1, 2, 3, and 4 weeks. The hardness and color of the radish pickles with the grapefruit seed extract was higher than the other radish pickles during storage from week 0 to week 4. A 14.52% and 13.80% decrease in hardness and color were observed in the radish pickles with grapefruit seed extract (GF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otal phenolic content was highest in the GFE in natural preservatives. Based on the results, GFE was selected as the optimal natural preservatives, and the growth of total viable bacteria and yeast were evaluated. The total viable bacteria and yeast showed similar patterns to the control.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producing radish pickles with optimal qualit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ods in the food industry.

백포도주 첨가량에 따른 무 피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dish Pickle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White Wine)

  • 김기쁨;안동기;황수영;남정석;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2-85
    • /
    • 2015
  • 본 연구는 백포도주의 첨가량(0, 3.75, 7.24, 10.48, 13.50%)을 달리하여 제조한 무 피클을 0, 1, 2, 3, 4주까지 저장하면서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피클과 조미액의 당도는 백포도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역시 감소하였다. 피클과 조미액의 염도는 백포도주의 첨가량이 증가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다. 피클과 조미액의 pH는 백포도주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p<0.00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0~4주의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다. 조미액의 L값은 백포도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으며, a값과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무피클의 L값은 백포도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 피클의 경도는 백포도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제조 1주후까지는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는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백포도주 10.48%를 첨가한 무 피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백포도주를 첨가한 피클의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백포도주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아삭함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고, 비교적 높은 기호도 및 관능검사의 결과를 나타내어 백포도주를 첨가하는 것이 피클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알타리무우김치 숙성과정중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The change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 during radish Kimchi Fermentation)

  • 방양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5-60
    • /
    • 198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hange of free amino acid content in the radish Kimchi added with anchovy pickle sauce with that added with 15% NaCl solution during 30 days fermentation. RESULTS : 1. During the fermentation, the pH of both sample A and B showed the highest values of 7.3 and 7.1, respectively, and then both decreased continually to the lowest value of 4.2 at the 30th day. 2.The salinity in the juice of sample A was higher than that of sample B in all the steps during fermentation, accompanied with a slight decrease of the salinity in both cases with time elapsed. 3. The free amino-type nitrogen content of sample A was nearly duplicated in the final step than in the initial one,while that of sample B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ll the processing period. 4. The free amino acids detected in the both samples wer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tyrosine, cysteine, valine, methin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gamma-aminobutyrix acid(\ulcorner), ornithine, lysine, histidine and arginine. 5. The amounts of proline, arginine were the highest in all free amino acids during fermentation, and tasty components of radish Kimchi seemed to relate to glutamic acid, ala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more deliciousness of Kimchi A and B seemed to derive from amino acids of anchovy pickle sauce added to Kimci A, such as alanine, valine, phenylalanine, lysine.

  • PDF

국의 온도가 공복감,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up Temperature on Hunger, Energy and Nutrient Intake)

  • 김석영;장희애;김주영;박경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8호
    • /
    • pp.859-86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soup temperature on hunger, energy, and nutrient intake. The hot meal consisted of 400 g of hot beef-vegetable soup (75$^{\circ}C$), Yubu Chobap, Bulgogi, cucumber pickle and radish pickle. The cold meal component were the same as the hot meal except 300 g of water (8$^{\circ}C$) and boiled vegctables (100 g), instead of the hot beef-vegetable soup ot the hot meal. Thirst, core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were also measured before and after consumption the test meals in a within-subjects, repeated measures design. 30 women consumed 17% more kilocalories, 13% more protein and lipid and 16% more carbohydrate in the cold meal than in the hot meal. The cor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test meal was higher in the hot meal than in the cold meal. Energy and nutrient intake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hunger scores within 1 hour after the hot meal, however those are not 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 cold meal. So hunger feeling might be disturbed in the cold meal. It is concluded that energy and nutrient consumptions were higher in the cold meal, partly because of the distrubed hunger feeling in the cold meal.

저염 장아찌 개발을 위한 연령별 소비자 인식, 기호도 및 섭취빈도 조사 (Consumer's Perceptio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Jangachi(Korean Pickle) by Age for Developing Low Salt Jangachi)

  • 원미경;이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249-263
    • /
    • 2013
  • 본 연구는 저염 식단을 통한 건강 식생활 실천을 목적으로 그 기능성과 식품학적 가치가 뛰어난 장아찌를 소재로 저염 장아찌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종류별 기호도 및 섭취실태 및 향후 개발 방향 등을 연령별로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좋아하는 장아찌의 절임형태는 간장절임이, 장아찌와 곁들여 먹으면 좋은 메뉴로는 밥 종류가, 장아찌와 함께 주로 먹어본 음식스타일은 한식이, 장아찌를 주로 섭취하는 용도는 밑반찬으로가, 장아찌를 즐기는 이유로는 입맛을 돌게 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판 장아찌의 문제점은 높은 나트륨 함량과 짠맛이, 저염 장아찌에 대한 관심도는 보통이다가, 향후 저염 장아찌 개발 시 구매 계획은 고려해 보겠다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저염 장아찌 개발 시 향후 장아찌 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장아찌에 대한 기호도와 섭취빈도는 마늘, 깻잎, 무말랭이 장아찌가 높은 반면에, 톳, 미삼, 산초 장아찌 등은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50대이상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시판 장아찌의 개선 사항은 "위생적으로 유통되었으면 한다."(4.07점), "너무 짜지 않게 짠 맛의 농도를 조절했으면 한다(4.06점)."가 높게 나타났고, 대부분의 항목에서 40대 집단이 다른 연령 집단에 비해 개선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저염 장아찌 개발 제조 시 요구되는 제조 품질 속성의 중요도는 제조 부문에서는 안전성이 가장 높았고, 품질 부문에서는 위생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향후 저염 장아찌를 개발할 때 조리법에서는 나트륨 함량을 줄이고, 제조법에서는 저염 장아찌를 담는 용기와 저장 온도를 표준화하여 위생적인 면을 우선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염장아찌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마늘, 깻잎, 무말랭이, 고추, 마늘쫑, 양파, 오이를 이용한 저염식 장아찌의 표준화된 레시피 개발과 이들 장아찌의 기능 우수성과 식품학적 가치를 홍보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한 조리방법의 습득 기회를 부여하여 손쉬운 장아찌 조리법의 개발보급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순창 고추장민속마을에서 생산한 장아찌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ckles Manufactured in Folk Villages of Sunchang Region)

  • 정도영;김용석;이선규;정성태;정은정;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식품공학);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2-99
    • /
    • 2006
  • 전북 순창지역의 고추장민속마을에서 생산한 장아찌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10품목의 장아찌 제품 90종을 수집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감, 마늘, 오이, 무, 더덕, 매실장아찌는 고추장으로 버무렸으며, 깻잎장아찌는 된장으로, 울외장아찌는 주박으로, 고추장아찌는 된장과 간장으로 버무렸다. 장아찌 제품의 수분 함량, pH 및 총산함량은 원료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당도는 $22.10{\pm}3.04$(간장고추) - $55.53{\pm}7.67$(마늘장아찌) $^oBrix$로서 비교적 높았으며, 고추장으로 절임한 경우가 된장이나 간장 절임보다 높았다. 염도는 $3.56{\pm}1.11$(매실장아찌) - $9.15{\pm}6.35%$(간장고추)로서 매우 높았으며, 간장으로 절임한 제품에서 높았다. 경도는 제품에 따른 차이가 매우 컸으며, 총균수는 $5.62{\pm}0.10$(간장고추) - $6.83{\pm}0.55$ log CFU/g(된장깻잎)로서 비슷하였다. 결론적으로, 제품의 품질 균일화와 함께 염도가 높은 장아찌 제품들의 염도를 낮추는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열처리와 염의 첨가가 동치미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Salts Addition on Dongchimi Fermentation)

  • 강근옥;김종군;김우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65-571
    • /
    • 1991
  • A short time microwave heat treatment, bringing in hot NaCl solution, addition of KCI, CaCl2, MgCl2 into brining solution and salts mixture of phosphates into half fermented dongchim were investigated for their effects on some quality of dongchimi, a Korean pickle of Chinese radish roots, during fermentation. The reference dongchimi was prepared by brining the radish roots in 7% NaCl added with seasonings at $25^{\circ}C$. The result showed that microwave heat treatment affected little on the pH or total acidity change during fermentation. Soaking the roots in 80-9$0^{\circ}C$ hot salt solu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fermentation and softening rate of dongchimi while a rather rapid fementation was found for those soaked in 7$0^{\circ}C$. Addition of KCI and CaCl2 into brining solution slowed the pH decrease and softening of the roots, respectively. The dangchimi added with the salts mixture of phosphate, citrate and nitrite was significantly extreneded the fermentation time to pH 4.0 by more than two folds.

  • PDF

염화칼슘 첨가에 따른 쌈무의 조직감 개선 효과 (Effect of calcium chloride on the texture of pickled radish wrap)

  • 정은정;이남근;염은지;남강;오지선;김용식;박준영;김수정;정용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52-457
    • /
    • 2015
  • 염화칼슘 농도를 달리한 쌈무의 조직감 개선 효과, 물리 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비교하였다. 염화칼슘 첨가 후 저장 전 쌈무들의 pH와 총산도 범위는 각각 약 3.8~4.0와 2.7~3.0(%, w/v)이었으며, 28일 동안의 저장기간 동안 저장온도 $4^{\circ}C$$50^{\circ}C$의 시료들은 저장 전 초기 pH와 총산도의 범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저장온도 $25^{\circ}C$에서 쌈무 시료들은 저장 전 초기 pH 범위보다 0.5가 낮아졌고 총산도는 1.9~2.2(%, w/v)가 증가되어졌다. 염화칼슘의 첨가에 따른 쌈무 시료들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28일 저장동안 $4^{\circ}C$에서 저장된 쌈무 시료들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Delta}E$값 1.66~8.21) $50^{\circ}C$에서 저장된 시료들은 다른 계통의 색으로 (${\Delta}E$값 23~27) 큰 변화를 보였다. 쌈무 시료들의 경도에 있어서, 저장온도 $4^{\circ}C$$25^{\circ}C$에서 28일 동안 저장된 쌈무 시료들의 경도는 저장 전 쌈무 시료들의 경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50^{\circ}C$에서는 염화칼슘 처리량이 증가 할수록 경도가 높게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쌈무 시료들의 씹힘성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경도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염화칼슘처리로 쌈무의 조직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circ}C$에서 28일 동안 저장된 쌈무 시료들의 관능평가 결과, 0.4% 염화칼슘이 첨가된 쌈무 시료가 맛, 경도와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유통 저장기간 동안 관능품질을 유지하면서 쌈무의 조직감을 유지시킬 수 있는 염화칼슘 첨가량이라 판단된다.

냉면국물 모델 시스템에서 동치미 국물의 사용에 의한 대장균군 증식 억제 (Growth Inhibition of Coliform Bacteria in Model System of Naengmyon-Broth by Using Dongchimi-Juice)

  • 소명환;조신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9-36
    • /
    • 1996
  • Naengmyon is a Korean buckwheat noodle with chilld broth, and the juice of dongchimi, a Korean radish pickle fermented with wild lactic acid bacteria, has been used as the broth for naengmyon traditio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inhibitory effect of dongchimi-juice against coliform bacteria in model system of naengmyon-broth. Dongchimi-juice was made from radish juice by the cul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hich had been isolated from kimchi. Three types of naengmyon-broth, beef-broth type, dongchimi-juice type and the mixed type, were made as model systems, and then the changes in viable cell counts of seven coliform bacteria, Klebsiella planticola Bo2, X. terrigena CO8, K. pneumoniae DOI, K. ozaenae DO4, Enterobacter sp. AO2, Enterobacter sp. CO7, Citrobacter sp. BO7 and Escherichia sp. DO3, which had been added to each type of naengmyon-broth in advance,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3$0^{\circ}C$ All coliforms grew rapidly in naengmyon-broth of beef-broth type, while none grew in dongchimi-juice type or in the mixed type. All coliforms died out far more rapidly in dongchimi-juice type than in mixed type. The decreasing slopes of Citrobacter sp. Bo7, K. planticola BO2, X. terrigena CO8 and K. ozaenae DO4 were more steep than those of the rest. It was thought that the preparation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naengmyon such as dongchimi-naengmyon or Pyongyang style-naengmyon, which uses oxy dongchimi-) juice or the mixture of dongchimi-juice and beef-broth, would be very effective for preventing the growth of coliform bacteria from naengmy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