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logical Effects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37초

유방촬영술에서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납치마의 선량차폐 효과 측정 (Invivo Dosimetry for Mammography with and without Lead Apron Using the Glass Dosimeters)

  • 유수정;임상욱;마선영;서선열;김영재;강영남;금기창;조삼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2호
    • /
    • pp.93-98
    • /
    • 2015
  • 본 연구는 유방촬영술을 시행할 때 유방인접조직의 생체내선량 측정을 통해 방호복 착용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방검진을 받는 일반 여성 중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동의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유방촬영시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을 실시 하였다. 유리선량계의 교정값을 구하기 위하여 팬텀(ACR phantom)을 이용하여 촬영 변수중 각각 관전압과 관전류의 중간값(27 kVp, 120 mAs)고정 시 mAs와 kVp를 변화시켜 장치에서 계산된 선량을 얻어 유리선량계 소자의 교정값을 구하였다. 측정 그룹은 방호복을 착용하지 않는 A 그룹과 착용하지 않은 B 그룹으로 나누었다. 생체내 선량측정 특성상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 촬영을 할 수 없음으로 A 그룹은 좌 우 유방촬영에 따라 인접 정상조직의 선량이 차이가 없을 보고자 하였다. B 그룹은 한쪽 유방은 방호복으로 차폐를 하고 다른 쪽 유방은 방호복으로 차폐를 하지 않음으로 그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인접 정상조직 측정에는 갑상선, 검사반대측 유방, 하복부로 각각의 부위에 유리선량계를 위치시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방촬영 시 입사표면선량은 A그룹의 경우, 왼쪽유방 상하방향 검사 시 갑상선은 0.0692 mGy, 오른쪽 유방은 0.6790 mGy, 하복부의 선량은 0.0122 mGy로 나타났고, 오른쪽 상하방향 검사 시에는 각각 0.0607 mGy, 0.4062 mGy 그리고 0.0166 mGy로 측정되었다. B그룹의 입사표면선량은 왼쪽유방 상하방향 검사 시 갑상선, 오른쪽 유방, 하복부의 선량이 각각 0.0922 mGy, 0.8575 mGy, 0.0150 mGy로 나타났다. 방호복을 착용한 오른쪽 상하방향 검사는 갑상선이 0.0158 mGy, 왼쪽유방은 0.0286 mGy, 하복부가 0.0173 mGy의 선량을 보여 갑상선과 유방의 선량이 대폭 감소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모니터의 유선선량을 관찰해 보면 A, B그룹 모두 권고값인 3 mGy 이하의 선량값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유방촬영시 환자의 결정장기가 받는 표면선량은 모두 기준치 이하의 선량을 보였으나 방호복 착용에 따른 선량 저감 효과를 볼 수 있어 방호복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공명영상 왜곡에서 마스카라와 아이섀도의 영향 (Effects of the mascara and eye shadow on theMR image distortion)

  • 이현용;신운재;박병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1호
    • /
    • pp.25-32
    • /
    • 2005
  • 목 적 : 마스카라와 아이섀도가 자기공명영상 획득시 artifact를 어느 정도 일으키는가를 알아보고, pulse sequence에 따른 영상 왜곡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실제 국내 여성들이 많이 사용 중인 3개 제조사의 제품 중 마스카라(M1, M2, M3)와 아이섀도(E1, E2, E3)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자체 제작한 내경이 4 cm, 코일의 길이가 8 cm인 Tx/Rx 겸용의 quadrature type의 안장 코일을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마스카라를 실험 2에서는 아이섀도를 실험 3에서는 마스카라에 아이섀도를 덧바른 후 영상을 획득하였다. Pulse sequence는 FSE(fast spin echo), SE(spin echo), GE(gradient echo)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나타난 artifacts는 axial상에서 폭, sagittal상에서 길이를 각각 측정하였다. 각 sequence별로 측정된 영상왜곡 정도를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마스카라와 아이섀도가 자기공명영상에서 부분적으로 artifact가 발생되어 영상왜곡을 유발하였다. Pulse sequence에 따른 artifact의 유발 정도도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마스카라에 아이섀도를 덧바른 실험 3에서는 axial상에서 GE sequence에서 16.73 mm, SE에서 6.64 mm, FSE에서 6.19 mm의 폭으로 GE 기법에서 가장 많이 유발되었으며, SE, FSE 기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sagittal상에서 GE sequence에서 22.84 mm, SE에서 18.15 mm, SE에서 17.81 mm의 길이로 GE 기법에서 가장 많이 유발되었으며, SE, FSE 기법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 론 : 마스카라와 아이섀도로 화장한 여성의 뇌 및 안구 영상검사시 artifact가 영상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뇌 및 안구 T2 강조영상을 얻고자 하는 경우는 pulse sequence를 GE보다 FSE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자동노출제어장치를 적용한 흉부 측면 방사선검사 시 환자 위치 변화가 주변 장기의 선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nge in Patient Position on Radiation Dose to Surrounding Organs During Chest Lateral Radiography with Auto Exposure Control Mode)

  • 김승욱;임청환;주영철;유신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03-909
    • /
    • 2023
  • 본 연구는 자동노출제어장치를 이용한 흉부 측방향 검사 시에 환자의 중심위치 변화가 주변 장기의 피폭선량과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은 인체모형팬텀을 대상으로 하였다. 바늘침을 팬텀의 관상선 중심 하단부에 부착하였고, 납 자를 검출기 하단부에 부착하여, 50 cm 지점이 AEC 이온챔버의 중앙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조사조건은 125 kVp, 320 mA, 초점-영상검출기간 거리는 180 cm, 조사야 크기는 14×17 inch를 사용하였다. AEC 이온 챔버는 중앙-하단 1개만 사용했고, Sensitivity 'Middle', Density '0' 으로 설정하여, 중심 X선은 6번째 흉추를 향해 수직입사 하였다. AEC mode를 적용한 상태에서 바늘침과 납 자의 50 cm 지점이 일치되게 위치시킨 후 팬텀을 배 쪽으로 5 cm (F5), 등 쪽으로 5 cm (B5) 씩 이동시킨 후 ESD를 측정하여 선량 인자를 분석하였다. 환자 중심위치 변화에 따른 갑상선의 ESD는 Center의 경우 232.60±2.20 μGy, F5는 231.22±1.53 μGy, B5는 184.37±1.19 μGy로 나타났으며, 유방의 ESD는 Center의 경우 288.54±3.03 μGy, F5는 260.97±1.93 μGy, B5는 229.80±1.62 μGy, 폐 중심부의 ESD는 Center의 경우 337.02±3.25 μGy, F5는 336.09±2.29 μGy, B5는 261.76±1.68 μGy 로 나타났다. 선량 인자의 각 그룹 간 평균값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각각 독립적인 그룹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환자 중심위치 변화에 따른 갑상선, 유방, 폐 중심부의 선량의 차이는 환자가 전방 5 cm 정도의 움직임에서는 유방(10%)를 제외한 장기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후방 5 cm 정도의 움직임에서는 각 부위에서 평균 23.7%의 선량 감소를 나타냈다. 또한, 환자 중심위치가 후방으로 이동 시 화질의 저하가 나타났다.

Black ginseng extract ameliorates hypercholesterolemia in rats

  • Saba, Evelyn;Jeon, Bo Ra;Jeong, Da-Hye;Lee, Kija;Goo, Youn-Kyoung;Kim, Seung-Hyung;Sung, Chang-Keun;Roh, Seong-Soo;Kim, Sung Dae;Kim, Hyun-Kyoung;Rhee, Man-H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2호
    • /
    • pp.160-168
    • /
    • 2016
  • Backgroun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is a well-characterized medicinal herb listed in the classic oriental herbal dictionary as "Shin-nong-bon-cho-kyung." Ginseng has diverse pharmacologic and therapeutic properties. Black ginseng (BG, Ginseng Radix nigra) is produced by repeatedly steaming fresh ginseng nine times. Studies of BG have shown that prolonged heat treatment enhances the antioxidant activity with increase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everal recent studies have showed the effects of BG on increased lipid profiles in mice. In this study report the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G on hypercholesterolemia in rat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time such an effect has been reported. Method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male Sprague Dawley rats fed with a high-cholesterol diet supplemented with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G (200 mg/kg). Their blood cholesterol levels, serum white blood cell levels, and cholesterol-metabolizing marker genes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 were determined. Liver and adipose tissues were histologically analyzed. Results: We found that BG extracts efficiently reduced the total serum cholesterol levels, low-density lipoprotein (LDL) levels with increased food efficiency ratio and increased number of neutrophil cells. It also attenuated the key genes responsible for lipogenesis, that is, acetyl-coenzyme A (CoA) acetyltransferase 2,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2, at the mRNA level inside liver cells. Furthermore, the BG extract also reduced the accumulation of fat in adipose tissues, and inhibited the neutral fat content in liver cells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oil red O.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BG extracts to Sprague Dawley rats fed with high-cholesterol diet ameliorated hypercholesterolemia, which was mediated via modulation of cholesterol-metabolizing marker genes. This data throw a light on BG's cardioprotective effects.

양성자 빔 암치료효과 개선을 위한 산화철 및 산화가돌리늄 나노입자 기반의 방사선증감제 합성 (A Synthesis of Iron Oxide Based and Gadolinium Oxide Based Radiosensitizer for the Therapeutic Enhancement of Proton Beam Cancer)

  • 강보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25-332
    • /
    • 2014
  • 금속나노입자는 진단이나 치료를 포함한 의생명응용분야에 있어 매력적인 특징들을 갖고 있다. 양성자 빔 치료를 위한 방사선증감제로 사용하기 위해 가교덱스트란이 코팅된 산화철나노입자(SPIONs)와 실리카가 코팅된 산화가돌리늄나노입자(SPGONs)를 합성하였다. 덱스트란과 실리카는 각각 SPIONs와 SPGONs의 보호수단이다. 합성된 SPIONs와 SPGONs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분석한 결과 각각 평균 직경이 3~5 nm와 30~100 nm였다. 합성된 방사선 증감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세포생존곡선 측정과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였다. 측정된 세포생존곡선으로부터 계산된 90% 세포사멸 시 방사선증감비는 SPIONs와 SPGONs에 대하여 각각 1.23과 1.03이었다. Western blotting 결과 역시 Cytochrome C의 발현량이 SPIONs를 처리한 암세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

촉매가 첨가된 SnO2 후막형 가스센서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SnO2 Thick Film Gas Sensors Doped with Catalyst)

  • 이돈규;유윤식;이지영;유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622-626
    • /
    • 2010
  • Cu doped $SnO_2$ thick films for gas sensors were fabricated by screen printing method on alumina substrates and annealed at $500^{\circ}C$ in air, respectively. Structural properties of $SnO_2$ by X-ray diffraction showed (110), (101) and (211) dominant tetragonal phase. The effects of catalyst Cu in $SnO_2$-based gas sensors were investigated. Sensitivity of $SnO_2$:Cu sensors to 2,000 ppm $CO_2$ gas and 50 ppm $H_2S$ gas was investigated for various Cu concentration. The highest sensitivity to $CO_2$ gas and $H_2S$ gas of Cu doped $SnO_2$ gas sensors was observed at the 8 wt% and 12 wt% Cu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improved sensitivity in the Cu doped $SnO_2$ gas sensors was explained by decrease of electron depletion region in Cu and $SnO_2$ junction, and increase of reactive oxygen and surface area in the $SnO_2$.

Nafamostat Mesilate: Can It Be Used as a Conduit Preserving Agent in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Yoon, Yoo Sang;Oh, Hyunkong;Kim, Yonghwan;Lim, Seung Pyung;Kim, Cuk-Seong;Kang, Min-Wo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6호
    • /
    • pp.413-425
    • /
    • 2013
  • Background: Graft vessel preservation solution in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is used to maintain the graft conduit in optimal condition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Nafamostat mesilate (NM) has anticoagulation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erefore, we investigated NM as a conduit preservative agent and compared it to papaverine. Methods: Sprague-Dawley (SD) rat thoracic aortas were examined for their contraction-relaxation ability using phenylephrine (PE) and acetylcholine (ACh) following preincubation with papaverine and NM in standard classical organ baths.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were cultured to check for the endothelial cell viabilit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assay were performed on the thoracic aortas of SD rats. Results: The anti-contraction effects of papaverine were superior to those of NM at PE (p<0.05). The relaxation effect of NM on ACh-induced vasodilata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papaverine. Viability assays using HUVECs showed endothelial cell survival rates of >90%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both NM and papaverine. A histopathological study showe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necrosis and apoptosis (p<0.05) in the NM group. Conclusion: NM exhibited good vascular relaxation and a reasonable anti-vasocontraction effect with a better cell protecting effect than papaverin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NM is a good potential conduit preserving agent.

Detection Rate of Intravascular Injections during Cervical Medial Branch Blocks: A Comparison of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and Static Images from Conventional Fluoroscopy

  • Jeon, Young Hoon;Kim, Sae Young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8권2호
    • /
    • pp.105-108
    • /
    • 2015
  • Background: The most definitive diagnosis of neck pain caused by facet joints can be obtained through cervical medial branch blocks (CMBBs). However, intravascular injections need to be carefully monitored, as they can increase the risk of false-negative blocks when diagnosing cervical facet joint syndrome. In addition, intravascular injections can cause neurologic deficits such as spinal infarction or cerebral infarction.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is a radiological technique that can be used to clearly visualize the blood vessels from surrounding bones or dense soft t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ate of detection of intravascular injections during CMBBs using DSA and static images obtained through conventional fluoroscopy. Methods: Seventy-two patients were included, and a total of 178 CMBBs were performed. The respective incidences of intravascular injections during CMBBs using DSA and static images from conventional fluoroscopy were measured. Results: A total of 178 CMBBs were performed on 72 patients. All cases of intravascular injections evidenced by the static images were detected by the DSAs. The detection rate of intravascular injections was higher from DSA images than from static images (10.7% vs. 1.7%, P < 0.001). Conclusion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the use of DSA can improve the detection rate of intravascular injections during CMBBs. The use of DSA may therefore lead to an increase in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value of CMBBs. In addition, it can decrease the incidence of potential side effects during CMBBs.

Preliminary Surgical Result of Cervical Spine Reconstruction with a Dynamic Plate and Titanium Mesh Cage

  • Chung, Dae-Yeong;Cho, Dae-Chul;Lee, Sun-Ho;Sung, Joo-Ky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1권2호
    • /
    • pp.111-117
    • /
    • 2007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effects of a titanium mesh cage and dynamic plating in anterior cervical stabilization after corpectomy.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31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reconstruction with a titanium mesh cage and dynamic plating, from March 2004 to February 2006. Twenty-four patients had 1-level and 7 had 2-level corpectomies. Ten patients underwent surgery with a cage of 10-mm diameter and 21 with 13-mm diameter. Neurological status and outcomes were assessed according to Odom's criteria. Sagittal angle, coronal angle, settling ratio, sagittal displacement, and cervical lordosis were used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outcomes. Results : In overall, 26 [83.9%] of 31 showed excellent or good outcomes. Thirteen percent [4 cases] of the patients developed surgical complications, such as hoarseness, transient dysphagia, or nerve root palsy. Seven [22.6%] patients had reconstruction failure:5 [20.8%] in the 1-level corpectomy group and 2 [28.5%] in the 2-level corpectomy group. Revisions were required in 2 patients with plate pullout due to significant instability. However, none of 5 patients who demonstrated cage displacement or screw pullout, underwent a revision. Radiographs revealed bony consolidation in 96.3% of the patients, including 6 patients with implantation failure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 : Based on our preliminary results, the titanium mesh cage and dynamic plating was effective for cervical reconstruction after corpectomy. The anterior cervical reconstruction performed with dynamic plates is considered to reduce stress shielding and greater graft compression that is afforded by the unique plate design.

치과 교정 물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의 왜곡 (Distortio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Different Types of Orthodontic Material)

  • 송현옥;임청환;이상호;양오남;백창무;정홍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439-446
    • /
    • 2014
  •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치과 교정용 금속 물질에 의한 인공물(Artifact)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치과 교정에 사용되는 와이어(Wire)와 브라켓(Bracket)을 재질별로 선택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치과 금속을 넣은 사각 아크릴 용기는 $200{\times}135{\times}120mm$ 크기이며, 영상을 얻기 위하여 두부 코일을 사용하여 $T_2$강조영상, $T_1$강조영상, FLAIR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시퀀스별 자기공명영상의 인공물을 평가하기 위하여 Image 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공물의 면적을 측정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치과 교정용 와이어와 브라켓의 인공물이 가장 큰 물질은 Stainless steel로 나타났다. 현재까지는 치과 교정에서 교정을 목적에 두고 금속 물질을 선택하였으나 치과 교정용 금속은 환자의 기능과 미의 특성뿐 아니라 자기공명영상 인공물 생성 여부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추후 교정용 금속의 선택 및 개발 발전은 치아교정의 목적과 더불어 다른 분야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