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logic findings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27초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기관지폐포암의 임상적 고찰 (The Characteristics of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Presenting with Solitary Pulmonary Nodule)

  • 김호철;천은미;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한용철;이경수;한정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280-289
    • /
    • 1997
  • 연구목적 : 기관지폐포암은 다양한 임상적, 방사선적인 양상으로 나타나며 대표적인 방사선적인 양상으로 또는 종괴, 국소적 경화, 미만성 결절 또는 경화 등으로 나타난다. 고립성 결절 또는 국소적 경화 병변으로 나타난 기관지폐포암은 다발성 병변과는 달리 예후가 좋으므로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고립성 결절로 나타나는 기관지폐포암은 비특이적 임상증상과 다양한 방사선 양상으로 폐렴, 폐결핵, 양성병변으로 오인되어 치료의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기관지폐포암의 임상적, 방사선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1996 년 8월까지 서울삼성병원에서 병리학적으로 기관지폐포암이 진단되고 방사선 소견에서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방사선적인 특성을 조사였다. 결 과 : 환자는 총 11명으로 남자는 6명, 여자 5명이었고 환자들의 연령은 37세에서 69세로 중앙 연령값은 60세이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이 없이 단순흉부촬영에서 우연히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진단되었다. 단순흉부촬영상 대부분 경계가 불명확한 결절 또는 음영증가의 소견을 보였고 단순흉부촬영후 추측진단 양성병변이나 결핵성 폐병변으로 오인되었던 예가 6예였고 5예에서만 악성 결절로 추정되었다. 전산화단층촬영상 경화, 간유리 모양, 기관지 공기 조영, open bronchus sign, internal bubble-like lucencies, spiculated margin 또는 pleural tag등의 소견이 대부분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FDG-PET 검사를 시행한 8예중 3예에서 악성을 의심하는 소견이 보였고 5예에서 위음성의 소견을 보였다. 병리학적인 진단은 경기관지폐생검과 경피적 폐생검을, 통해 진단된 예가 각각 1예, 2예이었고 8예에서는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한 폐생검을 통해 이루어졌다. 환자는 모두 폐엽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수술후 병기는 $T_1N_0M_0$가 8예, $T_2N_0M_0$가 3예로 근치적 절제술이 가능하였다. 결 론 : 고립성 결절 양상의 기관지폐포암은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단순흉부촬영상 주로 경계가 불명확한 결절 또는 음영증가의 소견으로 나타나 양성병변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았다. 만약, 이런 병변이 추적검사에서 계속 남아 있거나 커지는 경우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경화, 간유리 모양, 기관지 공기조영, internal bubble-like lucencies, spiculated margin 또는 pleural tag등 소견을 보인다면 개흉술 등을 포함한 적극적인 진단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Clinical study of benign and malignant fibrous-osseous lesions of the jaws

  • Lee, Ju-Min;Song, Won-Wook;Lee, Jae-Yeoul;Hwang, Dae-Seok;Kim, Yong-Deok;Shin, Sang-Hun;Chung, In-Kyo;Kim, Uk-Ky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1호
    • /
    • pp.29-37
    • /
    • 2012
  • Introduction: Fibrous-osseous lesions of the jaws are difficult to diagnose precisely until excised biopsy results are found, so they might be confused with malignant lesions. This clinical study focused on the diagnostic aids of lesions that demonstrate different clinical, radiologic, and histolog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6 patients with benign fibrous-osseous lesions on the jaws (6 fibrous dysplasias, 6 ossifying fibromas, 3 cemental dysplasias, and one osteoblastoma) were reviewed. Nine patients with malignant fibrous-osseous lesions (8 osteosarcomas and one Ewing's sarcoma) were also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Osteosarcoma patients complained of facial swelling and tooth mobility. The radiographic findings showed the irregular resorption of cortical bone and periosteal reactions. Histological features included cellular pleomorphism and atypical mitosis. An Ewing's sarcoma patient complained of tooth mobility and facial swelling. Onion-skin appearance and irregular expansile marginal bony radiolucency were seen in the radiography. Fibrous dysplasia patients complained of facial swelling and asymmetry. The radiographic features were mostly ground-glass radiopacity. Histological findings showed a bony trabeculae pattern surrounded by fibrous ground substances. Ossifying fibroma patients complained of buccal swelling and jaw pains, showing expanded cortical radiolucent lesions with a radiopaque margin. Histological findings were revealed as cellular fibrous stroma with immature woven bones. In cemental dysplasia, most of their lesions were found in a routine dental exam. Well-circumscribed radiopaque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radiography, and cementum-like ossicles with fibrous stroma were seen in the microscopy. An osteoblastoma patient complained of jaw pain and facial swelling. Radiographic findings were mottled, dense radiopacity with osteolytic margin. Trabeculae of the osteoid with a vascular network and numerous osteoblasts with woven bone were predominantly found in the microscopy. Conclusion: Our study showed similar results as other studies. We suggest the clinical parameters of diagnosis and treatment for malignant and benign fibrous-osseous lesions of the jaws.

Bayes식 접근법에 의한 고립성 폐결절의 악성도 예측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Malignancy in Solitary Pulmonary Nodules by Bayesian Approach)

  • 신경철;정진홍;이관호;김창호;박재용;정태훈;한승범;전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4호
    • /
    • pp.498-506
    • /
    • 1999
  • 연구배경 : 고립성 폐결절에 대한 접근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결절의 악성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고립성 폐결절의 악성여부에 대한 예측은 주로 방사선학적 소견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나 수술 전 진단의 정확성은 보고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수술 전 진단의 부정확은 고립성 폐결절 자체에 대한 진단의 어려움도 있지만 환자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점 역시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이다. 저자들은 Bayes식 접근법을 이용하여 고립성 폐결절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방사선학적 특징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절의 악성 확률을 구하여 진단 및 치료방법의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고립성 폐결절 180예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과 방사선학적 특징에 대한 Bayes식 접근법으로 결절의 악성 가능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환자의 임상적 특징 중 연령이 증가할수록, 특히 66세 이상인 경우 likelihood ratio가 높았으며(LR 3.64), 46 pack-year 이상의 흡연력이 있는 경우 악성 가능성이 높았다(LR 8.38). 방사선학적 소견 중 결절의 크기가 클수록, 주위 조직과 경계가 불분명하고 엽상이나 극상모양의 결절이 likelihood ratio가 높았다. 결 론 : Likelihood ratio를 이용한 Bayes식 접근법을 이용하여 고립성 폐결절의 악성 확률을 예측하는 것은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소견에만 의존하여 결절의 악성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며, 결절의 진단이나 치료에 대한 방향을 결정을 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지 않은 유육종증 환자의 임상경과 (Clinical Course of Untreated Sarcoidosis)

  • 고영민;정경재;박상준;강경우;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6호
    • /
    • pp.807-816
    • /
    • 1999
  • 배경 및 목적 : 유육종증은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질환으로 다양한 임상경과를 나타낸다. 이에 저자들은 유육종증으로 진단 후 스테로이드 치료를 하지 않은 환자들을 추적관찰하여 유육종증의 임상경과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l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조직학적 검사로 확진된 유육종증 환자들 중 스테로이드 치료률 하지 않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후 3개월마다 호흡곤란의 악화 유무, FVC, $FEV_1$, DLco등의 폐기능검사, 단순 흉부 X-선 소견 변화 및 폐외 유육종증의 발현 유무를 평가하여 악화, 안정, 호전군으로 분류하였고 단순 흉부 X-선사진상 병변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를 '정상'상태로 판정하였다. 결 과: 전체 유육종증환자 24 명중 19 명이 치료없이 추적관찰만 하였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33세였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12개월이었고 이중 14명이 호전을 보였고, 4명은 안정상태였으며, 1명에서만 악화를 보였다. 호전된 14 명중 13명은 추적기간중 단순 흉부 X-선 소견상 병변이 소실되어 정상상태로 평가되었다. 결 론: 우리나라의 유육종증환자의 임상양상은 서구의 환자들과 유사한 양상이었고, 임상증상이 경미하고 폐를 비롯한 심각한 폐외 장기침범이 없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치료의 유용성이 낮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점액상피암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f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Lung in Korea)

  • 김연재;박재용;신무철;배문섭;김정석;채상철;박태인;김창호;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11-321
    • /
    • 1998
  • 연구배경: 기관지 점액상피암은 기관지의 점액선세포에서 기인한 악성 종양으로 세포들의 구성비와 mitosis정도에 따라 저등급 몇 고등급 종양으로 구분되며 저등급의 종양은 예후가 양호한 반면 고등급의 종양은 선종편평상피암과 조직학적으로 감별이 어렵고 악성 임상경과를 보인다. 기관지 점액상피암은 폐종양의 0.1~0.2%, 그리고 기관지선종의 1~5%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소수의 증례보고만 있었다. 저자들은 문헌으로 확인된 예를 포함하여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기관 및 기관지 정액상피암으로 진단된 예에 대하여 임상고찰을 하였다. 방 법: 1990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점액상피암으로 진단받았던 9예와 국내에 보고된 증례가운데 문헌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8예를 포함한 17예를 대상으로 임상상, 방사선 및 기관지내시경소견, 그리고 조직학적소견과 임상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남자 12예와 여자 5예였으며, 평균나이는 42 세였다. 흡연력은 17예 가운데 5예에서 있었으며 평균 흡연력은 11인년이었다. 내원당시 주요 증상은 호흡곤란 9예, 기침 7예, 객혈 6예, 자각적 천명음 3예였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가 2 예였다. 단순 흉부 X-선 사진상 폐허탈소견이 8예, 종괴양 음영 5예, 폐렴양침윤소견이 2예, 다발성결절소견이 1예였으며. 1예는 정상이었다. 17예 가운데 16예는 중심형으로 발생부위는 좌주기관지가 5예, 우주기관지가 4예, 우중엽기관지가 2예였고, 그외 기관, 우중간간기관지, 우상엽기관지 및 좌상엽기관지가 각각 1예였으며, 1예는 양측 기관지에 병변이 있었다. 중심형 16예의 기관지 내시경소견은 외장형 종과 12예와 결절성 침윤소견 4 예였다. 우폐하야에 위치한 말초형 1예는 정상기관지 내시경소견이었다. 조직소견상 10예가 저등급이었고 7예는 고등급이었다. 10예의 저등급가운데 9예는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종양이 상부기관에 있었던 l예는 레이저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나 사망하였다. 고등급암종 7예의 경우 2예는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종격동임파절, 심낭 및 흉막의 전이가 있었던 4 예와 폐결핵이 동반되어 전신상태가 불량하였던 1예는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 또는 보존적치료를 하였다. 결 론: 점액상피암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고 대부분 중심기도에 위치하여 기도 자극증상과 함께 폐허탈, 종괴양음영 및 폐쇄성폐렴 등과 같은 방사선소견을 보인다. 병리조직학적인 등급과 주위장기로의 전이유무 등이 치료 및 예후판정에 있어 중요하다.

  • PDF

Morphologic Changes of L5 Root at Coronal Source Images of MR Myelography in Cases of Foraminal or Extraforaminal Compression

  • Kim, Soo-Beom;Jang, Jee-Soo;Lee, Sang-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1호
    • /
    • pp.11-15
    • /
    • 2009
  • Objective: Two findings easily found at coronal source images of MR myelography (MRM) were evaluated : dorsal root ganglion (DRG) swelling and running course abnormality (RCA) of L5 exiting root at foramen or extraforamen. We tried to find the sensitivity of each finding when root was compressed. Methods: From 2004 July to 2006, one hundred and ten patients underwent one side paraspinal decompression for their L5 root foraminal or extraforaminal compression at L5-S1 level. All kinds of conservative treatments failed to improve leg symptom for several months. Before surgery, MRI, CT and MRM were done. Retrospective radiologic analysis for their preoperative MRM coronal source images was done to specify root compression sites and L5 root morphologic changes. Results: DRG swelling was found in 66 (60%) of 110 patients. DRG swelling has statistically valuable meaning in foraminal root compression (chi-square test, p<0.0001). Seventy-two (66%) in 110 patients showed abnormal alteration of running course. Abnormal running course has statistically valuable meaning in foraminal or extraforaminal root compression (chi-square test, p<0.0001). Conclusion: Three-dimensional MRM provides precise thin sliced coronal images which are most close to real operative views. DRG swelling and running course abnormality of L5 exiting root are two useful findings in diagnosing L5 root compression at L5-S1 foramen or extraforamen. MRM is thought to provide additional diagnostic accuracy expecially in L5-S1 foraminal and extraforaminal area.

안구 부속기의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의 증례보고 (MALT Lymphoma of Ocular Adnexa: A Case Report)

  • 조정남;김융수;정찬민;서인석;조지웅;박혜림;최재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321-324
    • /
    • 2008
  • Purpose: Lymphoma originated from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MALT) is most common in gastrointestinal system, and rarely found in salivary gland, thyroid, bronchus or orbit. We experienced a case of MALT lymphoma which was originated from conjunctiva and involving lower eyelid without metastasis. Methods: A 40-year-old man suffered palpable mass on right lower eyelid without pain. Orbital computed tomographic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showed a conical mass($1.9{\times}1.2{\times}0.9cm$ size) inside lower eyelid. The mass was completely excised under local anesthesia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as followed. Results: Microscopic finding showed a multiple follicular colonization. In the follicle, small lymphocytes and plasma cells differentiated to centrocyte-like cell, monocyte B cell, plasma cell were diffusely infiltrated. Immunophenotyping was preformed on fixed section. The majority of the small cells were immunoreactive for the B cell marker CD20. Based on the typical histological findings supported by immunostaining, the mass was defined as MALT lymphoma. After excision, SPECT, abdominal CT was carried out and there were no evidence of extraorbital disease. Conclusion: Biopsy and pathological ex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in patients who complain palpable mass on lower eyelid because of possibility of MALT lymphoma. Although MALT lymphoma is rarely metastasize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xtraorbital involvement using SPECT or other radiologic exams. For detecting extraorbital involvement, periodic follow-up examination is need.

원격재활 운동프로그램이 무릎골관절염 환자의 근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Tele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Gait, Kne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김재윤;이동우;정모범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3-15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ideoconferencing-based tele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gait, kne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METHODS: Forty-eight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by the radiologic findings, history, and a physical examination, were assigned randomly to a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I, and Experiment group II.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exercise program and were educated in understanding and managing the disease of knee osteoarthritis for only one hour. Experimental groups I and II were provided with an exercise guidelines book for knee osteoarthritis, and the same exercise programs were conducted by face-to-face visits and non-face-to-face using telerehabilitation for eight weeks, respectivel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ach exercise program, the gait speed, knee disability index,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All assessments were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participants who underwent both face-to-face and tele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s showed an improved gait speed, knee fun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lerehabilitation exercise group and the direct face-to-face exercise group in improving the knee joint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A these findings the tele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can alternate or supplement the face-to-face exercise program. Therefore, the tele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should be used not only as a substitute supplement program but also as an intervention for various diseases.

폐 전이를 동반한 주폐동맥의 혈관 내막 육종 (Pulmonary Artery Intimal Sarcoma with Lung Metastasis)

  • 김인섭;정성철;김우식;배윤숙;신용철;정승혁;유환국;이정호;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79-984
    • /
    • 2003
  • 원발성 폐동맥 육종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임상증상과 방사선학적 소견이 폐동맥 색전증과 유사하기 때문에 진단 시 폐동맥 색전증으로 오진되는 예가 빈번하고, 본 질환의 빠른 진행속도로 인하여, 사망 후 부검을 통해 확인되는 예도 있다. 따라서 폐동맥 색전증으로 진단된 환자가 혈전의 원발병소가 불분명하면서 항응고제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원발성 폐동맥 육종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폐동맥 색전증으로 진단받은 57세 남자 환자가 5개월간의 항응고제 치료 후에도 우측폐의 종괴모양 병변이 증가하고 주폐동맥 색전증의 크기가 증가되어 수술적인 치료과정에서 폐동맥 내막육종(Pulmonary artery intimal sarcoma)으로 확인되었다. 수술전 혈전으로 의심되었던 저음영의 종괴는 동결조직검사 상 폐동맥 육종으로 의심되었으며, 심낭에 침윤이 있었다. 그 병변과 독립적으로 우폐동맥과 폐실질에서도 혈관육종이 발견되었으며, 인공심폐기하에서 주폐동맥의 완전 절제술 시행 후 Gore-tex graft 치환술과 우측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2차례의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에 퇴원하였다.

좌골직장와에서 기원하는 고립섬유종양: CT, MR 영상소견의 증례 보고 (Solitary Fibrous Tumor of the Ischiorectal Fossa : CT and MRI Findings)

  • 김기환;차상훈;염석규;이승화;정환훈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5권1호
    • /
    • pp.72-76
    • /
    • 2011
  • 고립섬유종양은 드문 종양으로써 주로는 흉막기원의 형태로 발생하지만, 드물게 다양한 위치에서 중간엽세포 기원의 종양으로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좌골직장와에서 발생한 고립섬유종양의 영상적 보고는 매우 드물게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36세 남자환자의 좌골직장와에서 발생한 고립섬유종양의 증례를 자기공명 소견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종양은 T1 강조영상에서 주변 근육조직과 비슷한 균일한 신호강도를 보이고, T2 강조영상에서는 혼합된 고신호강도를 보이며, 조영증강 후 T1 강조영상에서는 불균일한 조영증강 소견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