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 telemetry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5초

대형 접시형 안테나 추적성능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racking Performance of a Big Parabola Antenna System)

  • 오창열;오승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77-82
    • /
    • 2010
  • 무선주파수를 사용하는 추적안테나의 추적성능은 비행체 추적 및 위치 측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전기적 물리적으로 매우 큰 안테나의 특성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우주응용분야에서 사용되는 대형 접시형 추적안테나 시스템과 같이 신호원을 따라 안테나의 지향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지향방향에 따라 특성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 추적안테나 시스템의 추적 성능지표인 지향정확도 및 추적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오차요인을 검토하고, 나로우주센터에서 원격측정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11m 대형 접시형 추적안테나에 대한 추적성능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저궤도위성(Low Earth Orbit)을 사용한 측정방법 및 그 결과를 기술한다.

통신위성 원격측정명령계 RF 링크버짓 개념설계 연구

  • 김중표;구철회
    • 항공우주기술
    • /
    • 제1권2호
    • /
    • pp.45-5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지상 관제국과 2005SAT 위성 사이에서 RF 신호로써 명령 및 원격측정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측정명령계 RF 서브시스템의 개념설계 단계의 링크버짓 해석을 수행하였다. 링크버짓 성능분석을 위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과정으로 나누고 업링크에 대해서는 위성체에서 전력흐름밀도 및 명령수신기에서 여유를 계산하고 다운링크에 대해서는 다운링크 EIRP 및 지상국에서 C/ $N_o$$E_b$/ $N_o$ 여유를 계산하여 전체적인 통신성능 여유를 만족하는지 조사를 하였다. 업링크 링크버짓 분석결과 명령수신기에서 충분한 전력 수신 여유가 있었으며 다운링크 링크버짓 분석결과 지상국에서 C/ No 및 $E_b$/ $N_o$의 여유가 적정함을 확인하였다.

  • PDF

다중코일방식에 기초한 원격 생체 정보 측정을 위한 무선전력전송 기술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for Implantable Telemetry Device based on Multiple Transmit Coils)

  • 유영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03-211
    • /
    • 2015
  • 신약개발이나 동물연구 등에서 연구대상 동물이 케이지(cage)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있는 상태에서 무선으로 다량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는 실험동물 신체 내부에 배터리로 구동되는 소형발신기를 내장시켜 혈압, 온도, 심박수, Electrocardiogram(ECG), Electroencephalography(EEG) 등의 정보를 근접통신을 통해 근처의 수신기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장비는 한정된 내부의 배터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측정시간의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자기유도방식의 단점인 발신부와 수신부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때 발생하는 효율저하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중코일 구조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 구동 드라이버를 제안하였으며, 다중코일 중 수신부가 놓인 코일을 선택하기 위한 수신부 감지 장치도 제시되었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구동드라이버 및 수신부 감지 회로의 구동 조건 선정 과정을 제시하였다.

Changes in Habitat Use by Female Japanese Pipistrelles (Pipistrellus abramus) during Different Stages of Reproduction Revealed by Radio Telemetry

  • Chung, Chul Un;Kim, Sung Chul;Jeon, Young Shin;Han, Sang Ho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17-826
    • /
    • 2017
  • We analyzed how foraging area use changed in female Pipistrellus abramus during the breeding season. Radio tracking was used to follow 12 female P. abramus in Gyeongju City, from 2013 to 2015. We followed three bats in each of four stages of reproduction: early pregnancy, late pregnancy, lactation, and post-lactation. Our data showed that the usable area of a foraging site and the area that was actually used by bats in that site were different, and foraging site use also differed according to stage of reproduction. The bats used arable land the most, with use rates of 57%, 40.4%, and 73.2% during early pregnancy, late pregnancy, and lactation, respectively. Bats in a post-lactation state did not use arable areas at all and instead foraged over bodies of water 90% of the tim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use of each foraging environment between bats in early pregnancy and late pregnancy. However, bats in late pregnancy and those that were lactating did use arable land to different extents, and bats that were lactating and those that were post-lactation also used arable land and bodies of water to different extents.

무선 이동통신 기술에 기반한 의료 정보 전송 프로토콜 구현 (Implementation of a Medical Information Transmission Protocol Based o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 정희창;한민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4
    • /
    • 1998
  • 의료 정보 전달 시스템은 이동 중에 있는 환자의 감시용 센서에서 발생하는 의료 정보를 의사나 간호원이 상주하고 있는 사무실로 전송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 분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사무실에 설치된 중앙 센터 기지국, 복도나 입원 환자실에 설치된 중계 기지국과 환자의 이동 단말기로 구성된다. 기존의 의료 정보 전달 시스템은 환자 데이터를 중앙 센터로 송신하는 단방향 통신이며, 데이터 전송속도는 9.6Kbps이고, 전용망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 정보 전달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 구현 방안을 제안하고 수치 해석과 실험을 통하여 제시된 방안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농촌 지역의 너구리 Nyctereutes procyonoides 행동권 (Home-range of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Living in the Rural Area of Korea)

  • 최태영;박종화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59-26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의 너구리 행동권과 핵심지역의 면적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22개체를 포획하여 원격 무선추적을 실시하였다. 이 중 3개월 이상 무선 추적이 실시된 9개체의 행동권을 분석한 결과 평균 $0.80km^2$ (100% MCP)를 나타내었다. 성별 행동권은 수컷이 평균 $0.98km^2$ (100% MCP)를 나타내었고, 암컷은 평균 $0.58km^2$ (100% MCP)를 나타내어 수컷의 행동권이 넓었다. 그러나 95% MCP (Minimum Convex Polygon)를 적용했을 경우 수컷이 평균 $0.63km^2$, 암컷이 $0.42km^2$로서 차이가 많이 줄었다. 또한 암수 쌍이 함께 무선 추적된 두 쌍의 행동권은 95% MCP를 적용했을 경우 암수가 각각 $0.26km^2$$0.28km^2$로서 차이가 매우 적거나, $0.36km^2$$0.36km^2$로 통일했으며, 4 계절 모두 짝을 지어 함께 지냈다. 따라서 짝이 없거나 영역이 정해지지 않은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 정상적으로 암수가 한 쌍이 되어 지내는 일상의 경우에는 암수의 행동권이 같다고 판단되어진다. 원격 무선 추적된 너구리 중 4 개체는 암수 쌍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들 두 쌍 모두 일부 일처제를 이루고 함께 이동하며 생활하였다.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의 행동권 크기 및 서식지 이용 특성 연구 (The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Home Range Size and Habitat Use of the Asiatic Black Bear Released in Jirisan)

  • 양두하;김보현;정대호;정동혁;정우진;이배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7-434
    • /
    • 2008
  • 2004년 10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 7개체를 무선추적하여 연간 행동권 크기를 분석한 결과, 95% MCP에서 반달가슴곰 암컷은 71.66$km^2$, 수컷은 90.20$km^2$로 분석되었다. 계절별 행동권 크기는 암컷곰이 봄 19.8$km^2$, 여름 30.48$km^2$, 가을 22.63$km^2$, 겨울 0.22$km^2$이었고, 수컷곰은 봄 33.47$km^2$, 여름 20.26$km^2$, 가을 23.23$km^2$, 겨울 0.78$km^2$이었다(F=4.193, P<0.05). 반달가슴곰의 행동권역중 약 38% 정도가 중첩되었고, 암컷간 12.5%, 수컷간 22.4% 정도가 중첩되었다. 서식지 평균 해발고도는 봄 744$\pm$236m, 여름 682$\pm$253m, 가을 937$\pm$218m, 겨울 975$\pm$137m로 분석되었다(F=8.526, P<0.001). 반달가슴곰의 행동권 크기와 위치는 주로 먹이의 분포와 생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계절별 서식 환경특성, 연령 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ft S-Band TT&C Antenna Test

  • Ahn Sang-il;Park Dong-Chu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467-470
    • /
    • 2004
  • In early 2004, KARI developed 5ft S-Band TT&C antenna for especially KOMPSAT-2 operation in LEOP phase. This paper shows system features of 5ft S-Band antenna and its test result with KOMPSAT-l. Tracking test, command uplink test and telemetry downlink test were performed. Through tests, 5ft antenna was verified to be operational in uplink and downlink with KOMPSAT series. Due to its inherent wide 3dB beam-width of about 7deg at S-Band, this antenna system can be used very effectively even though orbital information is less accurate like LEOP and spacecraft safe mode.

  • PDF

저궤도 및 정지궤도위성의 TC&R RF 서브시스템 검증을 위한 RF 시험 장비 설계 (Design of Radio Frequency Test Set for TC&R RF Subsystem Verification of LEO and GEO Satellites)

  • 조승원;이상정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674-682
    • /
    • 2014
  • RFTS(Radio Frequency Test Set)은 저궤도 위성과 정지궤도 위성의 AI&T 기간 동안 TC&R RF 서브시스템을 검증하는 필수 장비이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RFTS의 상세 설계 내용을 제시하는데 기존의 RFTS와 달리 위성 프로젝트 별 시험 수행 시 수정 없이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이를 만족하도록 설계 되었고 기능 별 모듈화와 상용품 사용의 확장으로 보다 손쉬운 제어와 운용이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을 가져오도록 하였다. 또한 보다 정확한 기준 클락을 채택하여 RF 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였다.

발사체 추적자료 후처리를 통한 비행궤적 생성 (Flight trajectory generation through post-processing of launch vehicle tracking data)

  • 윤석영;유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3-61
    • /
    • 2014
  • 나로우주센터의 발사통제시스템은 우주발사체의 비행궤적과 상태정보를 감시하기 위하여 지상추적시스템(추적레이더 2대, 원격자료수신장비 4대, 광학추적장비 1대)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처리한다. 각 추적장치는 주로 다중경로나 클러터, 전파굴절에 의해 자체 오차를 나타내고 있어 전송된 정보들 중 하나만을 이용해서는 우주발사체의 실제 궤적을 판별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취득된 추적자료의 후처리를 통해 우주발사체 비행궤적을 생성해내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후처리 알고리즘은 크게 대기의 전파굴절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는 부분과 다중센서 정보를 융합하는 부분으로 나뉘며, 효과적인 센서 융합을 위해 등가속 운동모델에 기반한 분산식 칼만필터를 구성하였다. 실측 자료의 후처리 적용 결과, 어떤 단일 센서에 의한 것 보다 오차가 최소화된 발사궤적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