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 Therapy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4초

사이버나이프에서 Xsight spine tracking system을 이용한 3D 표적위치보정의 유용성 평가 (Useful evaluation of 3D target location correction by using Xsight spine tracking system in CyberKnife)

  • 정영준;김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331-339
    • /
    • 2015
  • 사이버나이프치료에서 삽입된 금표지자의 삽입 개수 및 인식의 제한으로 인하여 3D DOF로 치료하는 경우 척추구조물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Xsight spine tracking system으로 회전방향의 위치오차를 보정함으로서 표적위치오차를 개선하고, 치료방법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6D DOF에서 표적위치오차는 $0.214{\pm}0.058mm$, 종양내부에 삽입된 2개 금표지자를 이용한 3D DOF에서 $0.673{\pm}0.142mm$, 종양외부에 삽입된 2개 금표지자를 이용한 3D DOF에서 $1.126{\pm}0.253mm$, Xsight spine tracking system의 적용 한 3D DOF에서 $0.542{\pm}0.103mm$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척추 구조물로 회전방향에 대한 보정을 시행하였을 때 표적위치에 대한 정확성이 약 48% 향상되었다. 또한, 선량분포의 일치성도 약 3%가 향상되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척추구조물 정렬을 병용한 Xsight spine tracking system의 회전방향에 대한 보정은 유용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Malignant Glioma with Neuronal Marker Expression :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18 Cases

  • Kim, Hong Rye;Lee, Jae Jun;Lee, Jung-Il;Nam, Do Hyun;Suh, Yeon-Lim;Seol, Ho J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1호
    • /
    • pp.44-51
    • /
    • 2016
  • Objective : Malignant gliomas with neuronal marker expression (MGwNM) are rare and poorly characterized. Increasingly diverse types of MGwNM have been described and these reported cases underscore the dilemmas in the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those tumo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dditional insights into MGwNM and present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18 patients.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8 patients diagnosed as MGwNM at our institute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12. Macroscopic total resection was performed in 11 patients (61%). We evaluated the methylation status of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 and expression of isocitrate dehydrogenase 1 (IDH-1) in all cases, and deletions of 1p and 19q in available cases. Results : The estimated median overall survival was 21.2 months.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was 6.3 months. Six patients (33%) had MGMT methylation but IDH1 mutation was found in only one patient (6%). Gene analysis for 1p19q performed in nine patients revealed no deletion in six, 19q deletion only in two, and 1p deletion only in one. The extent of rese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ogression free survival on both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p=0.002 and p=0.013, respectively).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overall survival of MGwNM was not superior to glioblastoma. The extent of resection has a significant prognostic impact on progression-free survival. Further studies of the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chemo-radio therapy, similar to studies with glioblastoma, are mandatory to improve survival.

은나노입자의 방사성 동위원소 운반체 적용 유효성 검증 연구 (Feasibility Study on Silver Nanoparticle Application to a Radioisotope Carrier)

  • 장범수;이주상;박해준;김화정;박상현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7-202
    • /
    • 2011
  • In this study, an Ag-polyaniline-silica (Ag-PANI-silica) nanoparticle was evaluated as a radioisotope carrier. An Ag-PANI-silica nanoparticle was incubated in the $^{125}I$ solution for a duration of 24 hr to test its radioisotope absorptivity. During the incubation, radioactivity of the nanoparticle was measured at 3, 6, 12, and 24 hr. After a 24 hr incubation, $^{125}I$-Ag-PANI-silica nanoparticle was incubated in a fresh saline for a duration of 48 hr to check its stability. Additionally, the $^{125}I$-Ag-PANI-silica nanoparticle was injected to the ICR mouse to investigate its in-vivo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e $^{125}I$ absorption yield of the Ag-PANI-silica nanoparticle was higher than 95% after a 6 hr incubation period in the $^{125}I$ solution. And $^{125}I$-Ag-PANI-silica was stable for 48 hr at 80% yield at room temperature. The SPECT/CT image of a mouse that received $^{125}I$-Ag-PANI-silica complex showed that the $^{125}I$-Ag-PANI-silica complex was distributed in the lung, stomach and thyroid at 30 min post injection. From these results, the Ag-PANI-silica nanoparticle has good radio-iodine carrying property and can be applicable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and therapy.

Prognostic Analysis of Primary Pulmonary Malignant Mesenchymal Tumors Treated Surgically

  • Sayan, Muhammet;Kankoc, Aykut;Ozkan, Dilvin;Celik, Ali;Kurul, Ismail Cuneyt;Tastepe, Abdullah Irf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5호
    • /
    • pp.356-360
    • /
    • 2021
  • Background: Primary pulmonary malignant mesenchymal tumors are rare, constituting only 0.4% of all lung cancers. Since sarcomas are chemo/radio-resistant, surgical resection is the optimal treatment choice for patients with suitable medical conditions and tumor stage.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surgical outcomes and survival of primary pulmonary malignant mesenchymal tumors treated surgically. Methods: W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records of patients with primary pulmonary malignant mesenchymal tumor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t our department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20. Patient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age, sex, tumor grade and stage, resection completeness, surgical type, and tumor histopathology. Results: Twenty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re were 13 men (65%) and 7 women (35%). The median survival rate was 36 months (range, 19-53 months), and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37%. Unfavorable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included parietal pleural invasion (p=0.02), high tumor grade (p=0.02), advanced tumor stage (p=0.02), and extensive parenchymal resection (pneumonectomy and bilobectomy, p=0.01). The median length of disease-free survival was 31 months (interquartile range, 21-41 months), and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32%. The most unfavorable prognostic factors for recurrence were parietal pleural invasion (p=0.02), high tumor grade (p=0.01), and tumors requiring lung resection with chest wall resection (p=0.02). Conclusion: Primary malignant mesenchymal lung tumors are aggressive and have a high mortality rate. However, acceptable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can be obtained with surgical therapy.

Evaluating the effect of conditioned medium from mesenchymal stem cells on differentiation of rat spermatogonial stem cells

  • Hoda Fazaeli;Mohsen Sheykhhasan;Naser Kalhor;Faezeh Davoodi Asl;Mojdeh Hosseinpoor Kashani;Azar Sheikholeslami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6권4호
    • /
    • pp.508-517
    • /
    • 2023
  • In cancer patients, chemo/radio therapy may cause infertility by damaging the spermatogenesis affecting the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of spermatogonial stem cells (SSCs). In vitro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especially mesenchymal stem cells (MSCs) into germ cells has recently been proposed as a new strategy for infertility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SCs using their co-culture with Sertoli cells and conditioned medium (CM) from adipose tissue-derived MSCs (AD-MSCs). Testicular tissues were separated from 2-7 days old neonate Wistar Rats and after mechanical and enzymatic digestion, the SSCs and Sertoli cell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with 10% fetal bovine serum, 1X antibiotic,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and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The cells were treated with the CM from AD-MSCs for 12 days and then the expression level of differentiation-related genes were measured. Also, the expression level of two major spermatogenic markers of DAZL and DDX4 was calculated. Scp3, Dazl, and Prm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ra8 expression. The immunocytochemistry images showed that DAZL and DDX4 were positive in experimental group comparing with control. Also,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both DAZL and DDX4 had higher expression in the treate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the CM obtained from AD-MSCs can be considered as a suitable biological material to induce the differentiation in SSCs.

무선 CCTV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 고정 보조기술의 개발 (Patient Setup Aid with Wireless CCTV System in Radiation Therapy)

  • 박양균;하성환;예성준;조웅;박종민;박석원;허순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300-308
    • /
    • 2006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선형가속기 갠트리 헤드에 부착된 무선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처리를 통하여 환자 고정과 치료에 있어서의 정확성과 재현성 향상 방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선형가속기의 유사-빔 방향상(semi-beams eye view, semi-BEV)을 얻기 위하여 무선 CCTV 모듈을 자체 제작된 아크릴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갠트리 헤드에 부착하였다. CCTV 카메라의 영상은 2.4 GHz의 고주파를 통해 치료실 벽면의 수신기로 전송된다. 선형가속기 작동 시 발생하는 무선 주파수에 의한 간섭현상(RF interference)과 누설 방사선으로 영상에 잡음이 발생하는데, 구리 호일로 카메라를 차폐하고 미디안 필터링과 같은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스테레오 정합 기법과 Gauss-Newton 최적화 방법론을 기반으로 자체 제작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환자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3차원적 위치, 이동, 회전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시스템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팬톰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 환자 호흡에 대한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해 호흡 동기 시스템(respiratory gating system)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결 과: 구리 호일 차폐와 영상처리를 통해 잡음을 80% 이상 줄일 수 있었다. 3차원 위치정보의 오차는 팬톰 실험을 통해 $1.5{\pm}0.7\;mm$로 나타났고, 이동 및 회전량에 대한 오차는 각각, 1 mm, $1^{\circ}$ 미만으로 나타났다. 환자 호흡에 따른 호흡 동기 시스템을 구현한 결과, 0.2초의 오차 범위 내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선형가속기에 부착된 CCTV를 이용한 환자 고정 보조기술은 기존의 높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타 IGRT 기법에 비하여 설치와 이용이 간편하다. 시스템이 선형가속기와 근접해 있기 때문에 야기되는 문제점은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통해 해결될 수 있었다. 시스템의 정확도를 평가해 볼 때, 임상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혈관 내 고주파열치료법인 7 Fr. VNUS $ClosureFAST^{(R)}$ System을 이용한 하지 정맥류 치료의 조기 결과 (The Early Results of Endovenous Radiofrequency Ablation Using the 7 Fr. VNUS $ClosureFAST^{(R)}$ System in Varicose Veins)

  • 류상우;오혜령;김미경;문승호;제갈재기;윤주식;홍성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38-243
    • /
    • 2009
  • 배경: 하지 정맥류의 치료에 있어 최소 침습 술기의 발달로 고주파 열폐쇄술이나 혈관 내 레이저)를 이용한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혈관을 폐쇄시킬 수 있는 7 Fr. VNUS $ClosureFAST^{(R)}$ 고주파 열폐쇄 System이 국내에 소개되었으며, 본 연구는 이 시스템을 이용한 하지정맥류 치료의 조기 결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5월 2일부터 2008년 5월 31일까지 고주파 열폐쇄술을 이용하여 수술을 받은 90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남자가 67명(74.4%)이었고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7.9{\pm}11.0\;(23{\sim}78)$세였다. 수술 후 3주와 이후 3개월 간격으로 혈관 초음파와 임상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합병증은 반상 출혈(85예, 94.4%)이 가장 많았으며,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27.8%, 감각 이상 25.6%, 수포 형성 8.9%, 부종 6.7%, 정맥염 2.2% 등이었다. 술후 3주에 시행한 초음파에서 정맥의 역류나 부분적 혈류 재개가 있었던 환자는 1예로, 치료 성공률은 98.9%였다. 3개월 후 초음파 검사상 혈류 재개가 1예에서 더 관찰되었으며, 이후 3개월 간격으로 시행한 혈관 초음파상 혈류 재개가 관찰되었던 환자는 없었으며, 1년 치료 성공률은 97.6%를 보였다. 혈류 재개를 보였던 2예의 환자는 계속 외래 추적 관찰 중이며, 현재까지는 수술 전 보였던 하지 부종이나 저림 등의 증상을 호소하지 않고 있다. 결론: 저자들은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된 7 Fr. VNUS $ClosureFAST^{(R)}$ System을 이용하여 하지 정맥류 수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하였으며, 고위 결찰이나 기존의 고주파 열폐쇄술, 그리고 혈관내 레이저 치료와 장기적인 비교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치과 내원환자의 인지도와 이해도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A Research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s about the Dental Patient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MDs)

  • 김경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3호
    • /
    • pp.275-289
    • /
    • 2013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치과 내원환자의 인지도와 이해도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치과 혹은 울산광역시 소재 한빛치과병원을 방문한 총 243명의 환자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설문지의 모든 문항에 대해 성실히 답한 195명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란 용어를 인지하고 있는 환자는 전체 대상자의17.4%였고, 총 12년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군(82.4%, p<0.01)은 다른 군에서 보다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인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턱관절질환"이란 용어를 인지하고 있는 환자는 전체 대상자의 81.0%였고, 30-49세 연령군(45.6%, p<0.05)과 총 12년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군(60.1%, p<0.01)에서 다른 군보다 "턱관절질환"이란 용어에 대한 인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2. 전체의 과반수 이상인 50.6%가 턱관절질환의 개념으로 "턱을 무리하게 사용해서 생기는 병이다"를 선택했다. 3. 턱관절질환에 대해 들은 경로로TV, 라디오(41.4%)가 가장 많았고, 가족과 친구(20.2%), 병원 및 병원관계자(18.2%), 인터넷(15.7%) 및 신문과 잡지(4.5%)순이었다. TV, 라디오를 통해서 턱관절질환에 대해 들어본 응답자 중 30-49세 연령군이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52.4%, p<0.05)을 보였다. 인터넷을 통해서 턱관절질환에 대해 들어본 응답자 중 18-29세 연령군이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61.3%, p<0.01)을 보였다. 병원과 병원관계자를 통해서 턱관절질환에 대해 들어본 응답자 중 총 12년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군(75%, p<0.05)이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다. 4. 환자들은 입을 벌리고 다물 때 턱에서 나는 소리(26.9%),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한다(25.1%), 귀 앞쪽 부위의 통증(13.7%)을 턱관절질환의 증상과 징후로 골랐다. 턱관절질환의 원인으로는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을 즐겨먹기(19.5%), 아래, 윗니가 잘 안 맞물림(19.0%), 한쪽 어금니로 음식씹기(18.5%)를 많이 선택했다. 턱관절질환의 치료법으로 턱관절수술(28%)을 가장 많이 꼽았고, 구강내 장치치료(23.9%), 물리치료(14.6%)가 그 뒤를 따랐다. 턱관절질환의 예방법으로 딱딱한 음식의 섭취를 줄인다(21.1%), 입을 너무 크게 벌리지 않는다(17.0%), 양쪽 어금니로 음식을 씹는다(15.4%)를 많이 선택했다.

근칙적 절제술과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성적, 예루인자와 실패양상 (Adjuvant Radiotherapy Following Radic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for the Uterine Cervical Cancer : Prognostic Factors and Failure Patterns)

  • 최두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57-367
    • /
    • 1997
  • 목적 : 근치적 절제술과 골반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 중에서 치료실패의 위험인자가 있어서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성적, 예후인자, 실패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FIGO 병기 IB, IIA와 IIB 환자 중에서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1985년 3월부터 1994년 3원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최소 추적기간은 24개월이었다. 모든 환자는 4-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외부방사선치료를 전골반에 50-6OGy를 조사하였고 일부 환자는 코발트를 이용한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추가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5.4\%,\;73.5\%$였고, 단변수 분석상 5년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림프절 전이 유무, 개수와 위치, 종양의 크기, 자궁체부 침운, 자궁주위조직 침윤, 병기, 자궁경부벽 침윤정도, 질 절제면 양성, 그리고 치료 관계 인자로 방사선량, 강내치료, 항암제 등이 통계상 유의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상 림프절 전이와 종양의 크기, 질 절제면 양성이 유의하였다. 치료 실패는 33명이었고 2명은 다른 원인으로 사망하였고 부위별로는 국소재발이 13명, 원격전이 13명 국소-원격 동시 실패가 7명이었고 추적 종료시점까지 5명이 생존하였다. 국소재발은 병기 IB, 림프절 전이 양성 또는 질 절제면 양성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림프절 전이 음성환자에서는 빈도는 낮았으나 원격전이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그리고 병기 lIB에서 5년 생존율 은 $56\%$ 였고 22명 중에서 9명이 재발하였다. 결론 : 수술후 방사선치료는 비교적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다수의 재발 위험인자들을 가진 환자에게 술후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재발을 막기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방사선감작제의 추가나 동시방사선-항암치료 등의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성각되며, 술혹 방사선치료의 효율을 정하기 위하여 무작위 표본 추출에 의한 전향적 연구가 필오하다. 그리고 병기 IIB는 항암치료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해도 치료 성적이 나쁘므로 일차적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해야한다.

  • PDF

노년기 선호여가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수행도 및 여가만족도의 차이분석: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교 (Leisure Performance and Leisure Satisfaction by Preference Leisure Performance in the Elderly: Comparis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 우예신;박다솔;신가인;박혜연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199-211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고 선호하는 여가의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만족도와 여가수행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의 제 6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부가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자는 전기노인 2,212명, 후기노인 1,985명으로 총 4,19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전기노인(6.83시간/7.39시간)에 비해 후기노인(7.64시간/7.81시간)의 주중 및 주말 여가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하고 있는 여가활동유형은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요일에 관계없이 휴식활동이 80%이상(TV 시청 및 라디오듣기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선호여가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수행도와 여가만족도 결과, 주중의 경우 선호하는 여가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후기노인의 여가수행도가 더 높았고, 주말의 경우에는 선호여가 수행여부와 관계없이 후기노인의 여가수행도가 높았다. 여가수행도의 경우에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수행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만족도의 경우,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모두 보통으로 응답하였고 전기노인의 여가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여가변화요구도의 경우 선호여가 수행여부나 요일에 관계없이 전기노인의 여가변화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두 집단의 응답 점수는 변화하고 싶지않음에 가까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만족을 향상시키고 여가수행을 지속하기 위한 여가제약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건강관리제도 도입과 같은 실천적인 움직임이 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활동 현황이나 유형분석에서 더 나아가 여가참여에 영향을 주는 주관적 요소 등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체계적인 조사척도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