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juvant Radiotherapy Following Radic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for the Uterine Cervical Cancer : Prognostic Factors and Failure Patterns

근칙적 절제술과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성적, 예루인자와 실패양상

  • Choi, Doo-Ho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최두호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앙학교실)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Purpose : To identify variable prognostic factors and analyse failure patterns in the uterine cervix cancer after radical opera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Materals and Methods : I analysed one hundred and twenty four patients with uterine cervix cancer, FIGO stage IB, IIA and IIB, treated with radical hysterectomy and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followed by adjuvant radio-therapy between May 1985 and May 1994. Minimum follow up period was 24 months. All of them were treated with full dose external radiotherapy with linear accelerator and/or high de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Results :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and relapse free survival rate were $75.4\%,\;73.5\%$, respective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relapse free survival were wall involvement thickness, lymph node location and number, parametrium involvement, tumor size, stage, uterine body involvement, vaginal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By multivariate analysis, lymph node matastasis. tumor size and vaginal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s. Treatment related failure were 33 cases. Locoregional failure were more likely in the stage IIB, lymph node positive or vaginal resection margin positive patients whereas distant failures were relatively more frequent in stage IB, IIA and lymph node, vaginal resection negative patients. In stage IIB, 5 year relapse free survival rate was only $56\%$ and nine of twenty two patients recurred. Conculsion : Postoperative radiotherapy results are good for patients with relatively low risk factor. But the results are poor for patients with multiple, high risk factors or stage IIB. To control recurrence for patients with high risk factors,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is not sufficient treatment method. To raise control rate adding other methods such as radiosensitizing agent or chemotherapy is necessary and prospectively randomized study is needed for evaluation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efficacy and /or other methods. And it is reasonable to treat primary radical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B cervical cancer instead of radical opera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and/or chemotherapy regimen.

목적 : 근치적 절제술과 골반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 중에서 치료실패의 위험인자가 있어서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성적, 예후인자, 실패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FIGO 병기 IB, IIA와 IIB 환자 중에서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1985년 3월부터 1994년 3원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최소 추적기간은 24개월이었다. 모든 환자는 4-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외부방사선치료를 전골반에 50-6OGy를 조사하였고 일부 환자는 코발트를 이용한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추가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5.4\%,\;73.5\%$였고, 단변수 분석상 5년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림프절 전이 유무, 개수와 위치, 종양의 크기, 자궁체부 침운, 자궁주위조직 침윤, 병기, 자궁경부벽 침윤정도, 질 절제면 양성, 그리고 치료 관계 인자로 방사선량, 강내치료, 항암제 등이 통계상 유의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상 림프절 전이와 종양의 크기, 질 절제면 양성이 유의하였다. 치료 실패는 33명이었고 2명은 다른 원인으로 사망하였고 부위별로는 국소재발이 13명, 원격전이 13명 국소-원격 동시 실패가 7명이었고 추적 종료시점까지 5명이 생존하였다. 국소재발은 병기 IB, 림프절 전이 양성 또는 질 절제면 양성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림프절 전이 음성환자에서는 빈도는 낮았으나 원격전이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그리고 병기 lIB에서 5년 생존율 은 $56\%$ 였고 22명 중에서 9명이 재발하였다. 결론 : 수술후 방사선치료는 비교적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다수의 재발 위험인자들을 가진 환자에게 술후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재발을 막기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방사선감작제의 추가나 동시방사선-항암치료 등의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성각되며, 술혹 방사선치료의 효율을 정하기 위하여 무작위 표본 추출에 의한 전향적 연구가 필오하다. 그리고 병기 IIB는 항암치료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해도 치료 성적이 나쁘므로 일차적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해야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