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adical density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3초

Chain Transfer to Monomer and Polymer in the Radical Polymerization of Vinyl Neo-decanoate

  • Balic, Robert;Fellows, Christopher M.;Van Herk, Alex M.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325-335
    • /
    • 2004
  •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s of poly(vinyl neo-decanoate) produced by the bulk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to low conversions were investigated to obtain values of the rate constants for the chain transfer to monomer ( $C_{M}$). The value of $C_{M}$ of 7.5($\pm$0.6)${\times}$10$^{-4}$ was obtained from a logarithmic plot of the number distribution at 5,25, and 5$0^{\circ}C$, which suggests that the activation energy for chain transfer is on the order of 20-25 kJ ㏖$^{-1}$ . These plots were linear between the number and weight-average degrees of polymerization, but not over the whole molecular weight range for which a significant signal was observed in th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trace. Modeling suggests that the deviations observed at high molecular weights can be explained by branching of the chains through chain transfer to the polymer, with a branching density as low as 10$^{-5}$ , without affecting the slope at low values of the number of monomer unit, N. This deviation from the expected distribution of linear chains was used to estimate the branching densities at low conversion.ion.

인삼 잎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Ginseng Leaf)

  • 김담;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79-686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 1, 3 and 5%) of ginseng leaf powder. The pH of the cooki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ginseng leaf powder concentrations (p<0.05), but the density of cook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Spread factor, loss rate, and leaving rate of cookies de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dded ginseng leaf powder.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cookie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ginseng leaf powder increased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dness was found with increased ginseng leaf concentration. In the texture analysis, the hardness of the cookie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inseng lea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ed ginseng leaf concentration (p<0.05). In the sensory evaluation, sensory scores for col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st in the 3% ginseng leaf cookies. Thus,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optimum amount of ginseng leaf powder to add to cookies was 3%.

PbO2 전극을 이용한 산화제 생성과 염료 Rhodaime B 제거 (Formation of Oxidants and Removal of Dye Rhodamine B using PbO2 Electrode)

  • 박영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4-199
    • /
    • 2011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bO_2$ electrode for the purpose of degradation of N,N-Dimethyl-4-nitrosoaniline (RNO, indicator of OH radical), generation of ozone and decolorization of Rhodamine B (RhB) in water. The effect of the applied current (0.2~1.2 A), electrolyte type (NaCl, KCl and $Na_2SO_4$), electrolyte concentration (0.0~2.5 g/L) and solution pH (3~11) were evaluat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RhB and RNO removal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urrent, NaCl dosage and decrease of pH. Ozone generation tendencies appeared with the almost similar to the RhB and RNO degradation, except of solution pH (Ozone generation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pH). Optimum current for RhB degradation and consumption of electric power was 1.0 A. The RhB degradation with Cl type electrolyte were higher than that with the sulfate type. Optimum NaCl dosage for RhB degradation was 1.0 g/L.

Fe(II)/과황산/전기화학적 산화 공정에 의한 2,4-D의 제거 (Removal of 2,4-D by an Fe(II)/persulfate/Electrochemical Oxidation Process)

  • 현영환;최지연;신원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1호
    • /
    • pp.45-53
    • /
    • 2021
  • The removal of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in aqueous solution by coupled electro-oxidation and Fe(II) activated persulfate oxidation process was investigated.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was performed using carbon sheet electrode and persulfate using Fe(II) ion as an activator. The oxidation efficiency was investigated by varying current density (2 - 10 mA/㎠), electrolyte (Na2SO4) concentration (10 - 100 mM), persulfate concentration (5 - 20 mM), and Fe(II) concentration (10 - 20 mM). The 2,4-D removal efficiency was in the order of Fe(II) activated persulfate-assisted electrochemical oxidation (Fe(II)/PS/ECO, 91%) > persulfate-electrochemical oxidation (PS/ECO, 51%) > electro-oxidation (EO, 36%). The persulfate can be activated by electron transfer in PS/ECO system, however, the addition of Fe(II) as an activator enhanced 2,4-D degradation in the Fe(II)/PS/ECO system. The 2,4-D removal efficiency was not affected by the initial pHs (3 - 9). The presence of anions (Cl- and HCO3-) inhibited the 2,4-D removal in Fe(II)/PS/ECO system due to scavenging of sulfate radical. Scavenger experiment using tert-butyl alcohol (TBA) and methanol (MeOH) confirmed that although both sulfate (SO4•-) and hydroxyl (•OH) radicals existed in Fe(II)/PS/ECO system, hydroxyl radical (SO4•-) was the predominant radical.

솔잎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 최해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414-142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솔잎 분말의 첨가량을 0%, 0.5%, 1%, 3%, 5%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솔잎 분말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31.37$\pm$0.55 mg GAE/g이며, DPPH 유리라디칼 소거능은 100 ${\mu}g$/mL 수준에서 73.87$\pm$2.02%로 나타나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 주었다. 제조된 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솔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total polyphenol 함량도 솔잎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는데, DPPH radical 소거능과 total polyphenol 함량이 양의 상관관계 r=0.989(p<0.001)를 보여주어, total polyphenol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반죽의 밀도와 pH, 쿠키의 수분함량, 퍼짐성, 손실률, 팽창률, 색도, 조직감, 관능검사 등의 품질평가를 실시한 결과 반죽의 밀도는 솔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솔잎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다. 쿠키의 수분함량은 솔잎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퍼짐성 지수는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손실율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팽창률도 5% 첨가군을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색도는 솔잎 분말과 쿠키를 굽는 과정에서 생기는 마이얄 반응과 카라멜반응 등의 영향으로 솔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솔잎분말 첨가농도에 의존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기호도 검사에서 외관, 향,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솔잎 분말을 1%와 3% 첨가한 솔잎쿠키가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솔잎특성 강도에서는 색과 솔잎 향, 삼킨 후의 느낌에서 5% 첨가군이 가장 강하였고 느끼한 향과 단맛, 부드러운 정도는 대조군이 가장 강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고소한 맛에서는 0.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쿠키에 솔잎 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쿠키의 기호도를 증가시켜주고 동시에 총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쿠키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쿠키제조 시 솔잎분말을 3%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죽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Maejakgwa Added Cedrela sinensis Powder)

  • 진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92-1798
    • /
    • 2013
  •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참죽을 분말을 첨가(0, 5, 10, 15, 20%)한 매작과를 제조하여 매작과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참죽 분말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16.31{\pm}0.93$ mg GAE/g이며, 이를 매작과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제조된 매작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참죽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참죽 분말 첨가 매작과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밀도는 참죽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감소하였다. 매작과의 수분함량과 부피는 매작과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매작과의 색도는 참죽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작과의 기호도 검사(전반적인 기호도, 향, 맛, 바삭함, 색)에서는 10% 참죽 매작과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참죽을 분말로 가공하여 저장성을 높이고, 매작과에 참죽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매작과의 기호도를 증가시켜 주고 동시에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매작과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죽분말을 첨가하여 매작과를 제조할 경우, 참죽 분말의 첨가량은 10%가 매작과의 관능적인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장 최적 조건으로 생각되며, 참죽 재배지에서 새로운 향토 특산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무궁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혈액 순환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ibiscus syriacu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 신유빈;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415-1421
    • /
    • 2016
  • 본 연구는 발효 무궁화 추출물과 비발효 무궁화 추출물로 나누어 발효하였을 때, 무궁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혈액순환 개선에 미치는 효과가 비발효 무궁화 추출물보다 더 높은지 조사하려고 진행되었다. In vitro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항산화의 생리활성 물질인 polyphenol과 flavonoid의 함량을 비롯한 DPPH radical 소거효능을 측정한 결과 발효 무궁화 추출물과 비발효 무궁화 추출물 모두에서 polyphenol과 flavonoid의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높았으며 DPPH radical 소거효능도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In vivo 생쥐 실험에서는 보통식이군(NOR), 고지방식이군(CON), 고지방식이+발효 무궁화 추출물 섭취군(FHS), 고지방식이+비발효 무궁화 추출물 섭취군(NFHS)으로 나누어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질(triglyceride),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cholesterol),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cholesterol)을 측정한 결과 발효 무궁화 추출물과 비발효 무궁화 추출물은 총콜레스테롤, 저밀도 지질단백질, 중성지질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반면 고밀도 지질단백질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발효 무궁화는 항산화 생리활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효과가 있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헛개나무의 Angiotensin 전환 효소 저해 및 항산화 활성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venia dulcis Thunb. Cortex Extract)

  • 이승은;방진기;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9-84
    • /
    • 2004
  • 식물 유래 기능성 식품 소재발굴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헛개나무 수피의 항고혈압, 항산화 활성과 총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헛개나무 수피 메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ACE 효소 저해 활성은 $4,000\;{\mu}g\;m{\ell}^{-1}$의 농도에서 각각 81.1% 및 75.8%였으며, 용매별 분획물중에서는 에테르 분획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각각 66.6% 및 75.9%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은 메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200\;{\mu}g\;m{\ell}^{-1}$의 농도에서 모두 99.5%이상의 활성을 보여 매우 우수하였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테르 분획이 90.8% 및 85.3%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RC_{50},\;30.9{\mu}g\;m{\ell}^{-1})$이 실험된 조추출물 및 분획물들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람 저밀도지단백질 (LDL)의 산화에 대해 헛개나무 수피 조추출물은 $50\;{\mu}g\;m{\ell}^{-1}$이상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25\;{\mu}g\;m{\ell}^{-1}$의 농도에서 반응 5일째까지 메탄을 추출물이 ${\alpha}-tocopherol$보다 더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메탄올 및 물 추출물이 7.2% 및 3.6%를,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60.8%로 조추출물 및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BCl_3$ 계열 유도결합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파이어 기판의 식각 특성 (Plasma Etching Characteristics of Sapphire Substrate using $BCl_3$-based Inductively Coupled Plasma)

  • 김동표;우종창;엄두승;양설;김창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363-363
    • /
    • 2008
  • The development of dry etching process for sapphire wafer with plasma has been key issues for the opto-electric devices. The challenges are increasing control and obtaining low plasma induced-damage because an unwanted scattering of radiation is caused by the spatial disorder of pattern and variation of surface roughness. The plasma-induced damages during plasma etching process can be classified as impurity contamination of residual etch products or bonding disruption in lattice due to charged particle bombardment. Therefor, fine pattern technology with low damaged etching process and high etch rate are urgently needed. Until now, there are a lot of reports on the etching of sapphire wafer with using $Cl_2$/Ar, $BCl_3$/Ar, HBr/Ar and so on [1]. However, the etch behavior of sapphire wafer have investigated with variation of only one parameter while other parameters are fix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ssure and other parameters on the etch rate and the selectivity. We selected $BCl_3$ as an etch ant because $BCl_3$ plasmas are widely used in etching process of oxide materials. In plasma, the $BCl_3$ molecule can be dissociated into B radical, $B^+$ ion, Cl radical and $Cl^+$ ion. However, the $BCl_3$ molecule can be dissociated into B radical or $B^+$ ion easier than Cl radical or $Cl^+$ ion. First, we evaluated the etch behaviors of sapphire wafer in $BCl_3$/additive gases (Ar, $N_2,Cl_2$) gases. The behavior of etch rate of sapphire substrate was monitored as a function of additive gas ratio to $BCl_3$ based plasma, total flow rate, r.f. power, d.c. bias under different pressures of 5 mTorr, 10 mTorr, 20 mTorr and 30 mTorr. The etch rates of sapphire wafer, $SiO_2$ and PR were measured with using alpha step surface profil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radicals, volume density of Cl, B radical and BCl molecule were investigated with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OES). The chemical states of $Al_2O_3$ thin films were studi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EDX) and depth profile anlysis of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The enhancement of sapphire substrate can be explained by the reactive ion etching mechanism with the competition of the formation of volatile $AlCl_3$, $Al_2Cl_6$ or $BOCl_3$ and the sputter effect by energetic ions.

  • PDF

땅콩 품종간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n Antioxidant Potential of Several Peanut Varieties)

  • 이승은;박장환;방진기;성낙술;정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41-945
    • /
    • 2004
  •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9가지 땅콩 품종의 종실, 종피 및 종실체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람의 저밀도지단백(LDL)의 산화에 대해 종실, 종실체 및 종피는 각각 85.3∼91.0%, 77.4∼85.8%, -1.7∼46.1%의 저해활성을, linoleic acid 산화에 대해 각각 94.0∼94.9%, 94.2∼95.0%, 69.4∼80.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품종별 LDL 산화저해능은 보원땅콩, 미광땅콩, 신대광땅콩 및 기풍땅콩이, linoleic acid 과산화 저해활성은 신대광, 미광, 대풍, 왕, 기풍 등의 품종이 비교적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분석한 결과 종피 (88.3∼98.7%), 종실체 (16.7∼56.3%) 및 종실(-28.0∼20.0%)의 순으로,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종피(89.9∼90.8%), 종실체(6.0∼12.0%) 및 종실(0.6∼2.1%)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은 대신땅콩, 대광땅콩, 기풍땅콩, 새들땅콩, 대풍땅콩 등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광땅콩, 대신땅콩, 새들땅콩 및 기풍땅콩 등이 비교적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에서는 종피, 종실체, 종실이 각각 12.7∼21.0 mg%, 2.46∼4.24mg%, 0.94∼l.16 m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대광, 대신, 보원, 새들, 기풍 등의 품종이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품종간의 차이는 LDL 산화저해에 대해 종피가,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종실이,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해 종실체가, 총페놀 함량에서는 종피가 비교적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항산화 활성 및 총페놀 함량을 종합할 때 대광, 대신, 기풍, 새들 등의 땅콩 품종이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