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cal Color Change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2초

조릿대 추출물을 첨가한 식혜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prepared with Sasa borealis extracts)

  • 서지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99-604
    • /
    • 2016
  • 조릿대 추출물을 이용한 식혜 제조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기본 제조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식혜를 제조하고 그 품질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릿대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pH와 총산 함량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반면 당도, 환원당,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식혜 SBE-30과 식혜 SBE-50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각 식혜의 색상은 추출물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L값의 감소 및 b값과 탁도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식혜 SBE-5의 경우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10% 이상의 조릿대 추출물 첨가조건에서는 첨가수준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맛에 대한 관능평가에서 비록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식혜 SBE-30과 SBE-50의 점수가 높은 편이었고, 색상에 대한 선호도는 추출물의 첨가수준에 따라 점차 낮게 평가되었으며 종합적 기호도 또한 식혜 SBE-50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 and Its Application to the Pork Sausages

  • Park, J.H.;Kang, S.N.;Shin, D.;Hur, I.C.;Kim, I.S.;Jin, Sang Ke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287-294
    • /
    • 2013
  • Influence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 (AJNE) on properties of pork sausages were studi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AJNE was added to sausag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to obtain a comparative analysis on properties of control and ascorbic acid added-sausages. Results showed that addition of 0.05% AJNE led to a decrease in color $L^*$ and whiteness (W), and an increase in color $b^*$ of pork sausage samples (p<0.05). Although color $a^*$ of pork sausages containing AJN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corbic acid added-sausages were highest amongst other treatments (p<0.05). Sausages containing AJNE had lower non-heme iron values and peroxide value (POV) than control sausages (p<0.05); however, high nitrosomyoglobin content was observed in AJNE added-sausages (p<0.05). Ascorbic acid led to a decrease in residual nitrite concentration of sausages (p<0.05),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AJNE added-sausages. Free radical scavenging analysis showed that AJNE did not affect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activity of sausages, whereas ascorbic acid added-sausages showed relatively higher activity among the samples (p<0.05). Addition of AJNE had no influence on texture properties of sausages. In sensory evaluation, AJNE treat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lor (p<0.05), but no significant effects on aroma, flavor, springi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AJNE, as a natural supplement may offer natural antioxidants for pork sausages, and appears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in inducing changes in non-heme iron concentration, POV value and nitrosomyglobin content.

개선된 Mean Shift를 이용한 급격한 컬러 변화 물체 추적 (Tracking Object with Radical Color Changes Using Rectified Mean Shift)

  • 황인택;최광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7-140
    • /
    • 2006
  • 본 논문은 급격한 컬러 변화를 보이는 물체를 추적하기 위해 새로운 알고리즘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컬러기반의 추적 알고리즘인 Mean Shift를 개선하여 적용한다. 지존의 Mean Shift 알고리즘은 물체 추적을 위해 컬러 분포 정보를 설정한다. 하지만 초기의 컬러 분포 정보가 사라질 경우 물체 추적을 정확히 수행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Mean Shift를 개선하여, 추적 대상의 컬러 정보를 반복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초기의 컬러 정보가 사라지더라도 추적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였다. 개선된 추적 알고리즘은 시간에 따라 초기의 컬러 분포 정보가 완전히 사라지더라도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실험적인 환경에서 급격한 컬러 변화를 보이는 간단한 문제의 추적과 실생활에서의 예를 함께 보여준다.

  • PDF

홍삼 추출물이 두부의 저장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Storag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fu)

  • 이정숙;김교남;장해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97-1506
    • /
    • 2008
  •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 그리고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 대두를 기준으로 홍삼 추출물을 $0.5{\sim}2%$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와 첨가하지 않은 두부의 물성, 색도, 관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두부의 texture는 견고성과 탄력성에서만 홍삼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으로 홍삼 추출물을 2% 첨가한 두부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고, 두부의 색도는 L, a, b값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color에 대한 기호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홍삼 특유의 맛이 유의적으로 감지되면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통계상 유의적 차이가 보이지 않아 홍삼 추출물의 첨가가 소비자의 기호에 특별한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부를 $15^{\circ}C$에서 보관하면서 pH, 탁도 그리고 총 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저장 초기에는 변화가 없다가 pH와 총 균수는 저장 4일부터, 탁도는 저장 6일부터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홍삼 추출물이 첨가된 두부가 홍삼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두부보다 미생물 생육이 억제되어 두부의 저장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ORAC assay를 이용한 두부의 항산화 활성은 첨가된 홍삼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antioxidant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ORACOH. assay에서 는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 추출물이 홍삼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pro-oxidant 활성을 보여 주었다.

더덕을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의 이화학적, 관능적 및 항산화 특성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donopsis lanceolata)

  • 김철암;이완규;이인숙;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01-206
    • /
    • 2008
  • 쌀에 더덕을 각각 0, 10, 20, 30% 첨가하여 제조한 더덕 약주의 이화학적, 관능적 및 항산화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더덕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pH는 감소되었고 총산의 함량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당의 함량은 더덕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감소하였다. 색도 중 L값은 더덕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나 a와 b값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은 더덕 첨가 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20% 더덕을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가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관능적 및 항산화 특성으로 보아 20% 더덕을 첨가하여 약주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소목추출물의 색상변화 및 항산화 활성 평가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Color Chang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esalpinia sappan L.)

  • 권형준;정우희;박혜란;신동화;조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55-106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소목 열수추출물을 용매 순차 분획하여 얻은 EtOAc 분획물을 가지고 감마선 조사(100 kGy)한 후 색상 변화와 항산화활성 향상 변화를 평가하였다. 평가시험으로서 소목 용매 순차 분획물과 선정된 EtOAc 분획물에 감마선을 조사(100 kGy)후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4가지 유기용매 분획물(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H_{2}O$) 중 EtOAc 분획물의 전자공여능 $IC_{50}$ 값이 비조사구와 조사구 각각 0.71 및 0.61 ${\mu}g/mL$로 현저히 높았으며, 비조사구와 조사구 각각 $38.5{\sim}91.5%$$45.7{\sim}94.8%$의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여 조사구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감마선 조사(100 kGy)한 EtOAc 분획물의 색상 변화는 명도(L값) 및 황색도(b값)의 경우 조사 후 증가한 반면, 적색도(a값)는 감소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비조사구와 조사구 각각 865 및 1195 mg/g으로 조사 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 시험에서 EtOAc 분획물의 비조사구와 조사구 각각 $16.3{\sim}84.7%$$20.2{\sim}92.5%$로 조사구의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내었고 첨가수준 50 ${\mu}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60% 이상의 소거력을 나타내었다. 지질과산화 억제 시험에서 EtOAc 분획물의 비조사구와 조사구 각각 $14.6{\sim}85.6%$$19.5{\sim}93.4%$로 조사구의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내었고 첨가수준 0.4 ${\mu}g/mL$와 0.8 ${\mu}g/mL$ 농도에서는 비조사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Comet assay를 이용한 EtOAc 분획물의DNA 방어효과 시험에서 생쥐 림프구에서 방사선에 의한 DNA 외가닥 절단 정도를 측정한 결과 TM 값은 정상대조군에서 $3.85({\pm}0.15)$이었고 방사선 조사군의 경우 $22.6({\pm}0.38)$로 증가되었다. 감마선 조사시킨 시료처리군의 경우 10 ${\mu}g/mL$에서 각각 $15.6({\pm}0.28)$, $12.01({\pm}0.31)$로서 DNA의 외가닥 절단에 대한 유의한 억제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소목의 구성성분 중 brazilein, brazilin, gallic acid, quercetin 같은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의 배당체들이 방사선 조사에 의해 이탈됨에 따른 페놀 함량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소목 추출물에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한다면 항산화 활성의 향상과 색택 개선 등 산업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천연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돌산갓 분말이 첨가된 닭가슴살 육포 튀김의 품질적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ried Chicken Breast Jerky Supplemented With Dolsan Leaf Mustard Powder (Brassica juncea))

  • 오선경;최명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042-1053
    • /
    • 2020
  • 돌산갓 분말을 첨가한 닭가슴살 육포의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활성, 색도, 관능평가 및 sinigrin함량을 120일동안 저장하면서 측정하였다. 돌산갓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과 돌산갓 분말을 0.04 g(S-1, S-3)과 0.3 g(S-2, S-4)을 첨가한 제품군을 25℃과 60℃에 보관하면서 실험하였다. pH변화는 25℃과 60℃에서 저장 기간 동안 계속 감소하였고, S-1은 다른 제품들보다 높은 pH를 나타내고 있다. 산가와 과산화물가 25℃과 60℃에서 증가하였지만 대조군보다 억제되었다. 항산화활성은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전자공여능(EDA),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전체적으로 항산화활성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고 특히 대조군은 S-2, S-4 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단단한 정도(Hardness)와 검성(gumminess)은 돌산갓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단함과 검성은 S-2, S-4에서 높게 나타내고 있다. 또한 sinigrin 함량도 돌산갓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120일째에는 0일째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관능평가는 색, 향,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로 25℃에 저장한 S-2와 S-4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돌산갓 분말 첨가량이 높은 제품일수록 저장기간 동안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억제하였고, 물성과 색도는 감소와 항산화성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닭가슴살 육포튀김의 품질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빔 조사가 녹차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 박지희;이정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74-779
    • /
    • 2006
  • 시판되고 있는 녹차잎을 polyethylene 필름으로 진공포장하여 전자빔을 $0{\sim}30\;kGy$로 조사하였다. 조사된 녹차잎을 $75^{\circ}C$의 물에서 10분간 추출하여 녹차를 제조하고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자빔 조사는 녹차의 총 페놀 함량(TPC), 총 플라바놀 함량(TFC), 아스코르브산 함량(AAC)을 감소시켰다. 20 kGy의 전자빔 조사는 녹차의 TPC, TFC, AAC를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223.46, 32.50, 6.03 mg/g에서 202.88, 31.16, 5.57 mg/g으로 감소시켰다. 전자빔 조사는 또한 카테킨, 카페인, 아질산염 소거능도 감소시켰다. 그러나 전체적인 색도 및 라디칼 소거능은 전자빔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퀴노아를 첨가한 청국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added with Quinoa during Fermentation Period)

  • 이종숙;이미희;김정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32
    • /
    • 2018
  •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different quinoa were investigated. We evaluated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including the pH, amino nitrogen, slime contents, color value, and total aerobic bacteria. Moreov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as total polyphenol conten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The pH and amino nitrogen content were noted to significantly in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in all the samples. The slime content of cheonggukjang added with quinoa increased with increased fermentation time, but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20% of quinoa was decreased. The L value and b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fermentation time, but the a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microbial tests of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quinoa showed that the aerobic micro-organisms count was 7.45~9.10 Log cfu/g. Total polyphenol contents increased in all groups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and activity increased with an increased percentage of added quinoa.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quinoa)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 sensory quality of quinoa 10% cheonggukjang was stronger in flavor, and taste, and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overall acceptability, whe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유산균 발효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분말 첨가에 의한 고추장의 식품학적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Foo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by the Addition of Sea-tangle Saccharina japonica Powder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류대규;박슬기;장유미;송호수;김영목;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3-220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quality of Gochujang following the addition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powder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SP). Gochujang was prepared with or without FSP and fermented at $16^{\circ}C$ for 24 weeks, as detailed in a previous study. No significant physicochemical changes in moisture, crude protein content, pH, salinity and amino nitrogen content were observed among the varieties of Gochujangs evaluated (Commercial Gochujang, Gallic-Gochujang and FSP-Gochujang). In addition, we dete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robiological profiles. However, following addition of FSP to Gochujang, the color was affected and antioxidant properties were enhanc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SP-Gochujang increased by 58.8% and 24.8% compared with Commercial Gochujang and Gallic-Gochujang, respectively. Furthermore, analysis of the free amino acid content revealed higher levels of ${\gamma}$-Aminobutyric acid (100.9 mg/100 g), a biofunctional ingredient, in FSP-Gochujang.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with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and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 using F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