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 dosage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초

비소세포성 폐암의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한혜경;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1호
    • /
    • pp.35-39
    • /
    • 1988
  • From Jan.1984 to Dec. 1986, 90 patients with lung cancer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Therapy in Hanyang University Hospital. Histopathologically, 67 cases of them were the squamous cell carcinoma,7 cases were the adenocarcinoma, 4 cases were the large cell undiffe rentiated carcinoma and 12 cases were the small cell carcinoma. Among the 78 patients with non small cell carcinoma, 50 patients had received radiation dosage above 4000 cGy.40 patient had follow up from 17 months to 53 months. The complete response rate was $7.3\%$ and partial response rate was $68.3\%$. Overall survival at 1, 2 and 3 years were $47.5\%,\;23.5\%\;and\;6.3\%$ respectively. None was survived longer than 38 months. Median survival was 12.2 month for 40 patient and 9 month for stage III, M1 group and 9.5 month for stage III, MO group. In M1 patient no survival was seen after 2 years while in M0 patient $23.3\%$ survival was seen.

  • PDF

전자빔조사에 의한 알지네이트 저분자화 (Depolymerization of Sodium Alginates by e-Beam Irradiation)

  • 신철화;최수경
    • 공업화학
    • /
    • 제25권2호
    • /
    • pp.227-232
    • /
    • 2014
  • 전자빔조사와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여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SA)를 저분자화 시키는데 1.0, 2.5 MeV의 전자빔 에너지가 이용되었으며, 저분자화 수율($G_s$), 분자량의 제어를 위해 2.5 ~ 20 kGy의 조사량, 0 ~ 4.5%의 과산화수소의 양을 조절하였다. 전자빔조사에 의한 저분자화 알지네이트(depolymerized sodium alginate, DSA)는 주로 1,4-glicoside결합이 끊어지며, C2-C3결합이 끊어지며 생기는 약간의 formate 말단을 가지며, 전자빔 조사 저분자화 저분자 알지네이트 말단(end group)의 화학적 구조가 단순하며, 고분자 알지네이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도입된 전자빔의 에너지와 조사량이 증가하면 알지네이트의 분자량은 감소하였으며, 알지네이트의 농도(2.0w/v%)로 높을 때 저분자화수율이 높았다. 특히 2% 알지네이트 수용액에 20 kGy (2MeV)의 조사량과 1.5% 과산화수소를 도입하였을 때 가장 큰 저분자화 수율($7.919{\times}10^4mol/J$)을 얻을 수 있었다.

건강검진센터의 의료방사선 피폭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운영 경험 보고 (Set Up and Operation for Medical Radiation Exposure Quality Control System of Health Promotion Center)

  • 김정수;정혜경;김정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1호
    • /
    • pp.13-17
    • /
    • 2016
  • 모든 의료방사선 검사는 정당성과 최적화가 확보되어야 한다. 특히 질병의 예방과 조기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검진에서 방사선 피폭의 최적화를 위한 모니터링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ICOM 규격을 이용하여 건강검진센터의 의료방사선 피폭 품질관리 사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적용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강검진센터의 진단참고 값을 제정하고 이를 통한 품질관리를 시행하였다. CT에서는 전체 703명에 대한 진단참고 값으로 복부검사에서 $357.9mGy{\cdot}cm$, 두부검사에서 $572.38mGy{\cdot}cm$, 심장혈관 칼슘검사에서 $55.92mGy{\cdot}cm$, 저선량 폐 검사에서 $53.98mGy{\cdot}cm$, 경추 검사에서 $284.99mGy{\cdot}cm$, 요추 검사에서 $341.85mGy{\cdot}cm$를 도출 하였으며, 흉부 X선 검사 1955건에 대해 $274.0mGy{\cdot}cm$2과 유방 촬영에서는 6.09 mGy의 진단참고 값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건강검진센터에서 수검자에 조사되는 방사선의 피폭선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이용한 피폭선량의 최적화와 정당화를 위한 품질관리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I-131 치료시 환자의 신장기능과 다양한 요인으로 의한 퇴원선량 및 치료병실 오염도의 유의성에 관한 연구 (In the Treatment I-131,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that the Patient's Discharge Dose and Treatment Ward can Affect a Patient's Kidney Function on the Significance of Various Factors)

  • 임광석;최학기;이기현
    • 핵의학기술
    • /
    • 제17권1호
    • /
    • pp.62-66
    • /
    • 2013
  • 우리나라의 갑상선 암이 증가함에 따라서 갑상선 전 절제술 후 고용량 방사성동위원소 치료를 받는 환자 또한 증가하였다. 하지만 치료를 위해서 사용되는 I-131의 경우 반감기가 8.01일 이며 감마선과 베타선을 내는 특징이 있어 타인에게 줄 수 있는 외부 피폭의 영향을 막기 위해 일정기간 동안 환자가 격리병실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게 된다. 이틀 내지 사흘 동안의 격리치료를 한 후 퇴원 전 환자의 몸에서 나오는 방사선량이 법적 기준(70 uSv/h)에 만족하는지 확인한 후 퇴원을 하게 된다. 그리고 다음 환자가 입원 시까지 병실 곳곳의 오염도를 확인 한 후 필요 시에는 제염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 상에서 의료진들이 피폭의 영향을 받게 되는 주 요인으로는 환자의 퇴원선량 확인 및 치료병실의 오염도확인과 제염작업시의 피폭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환자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환자의 신기능, 연령, 성별, 초기 투여용량, Tg, Tg-ab)정하고 그 인자들을 통해 환자의 퇴원선량 및 치료병실 오염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원에서 2011년 8월 1일부터 2012년 5월 29일까지 입원하여 고용량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은 환자 1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환자의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값이 높을수록 퇴원선량이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초기 투여용량의 경우 5.5 GBq (150 mCi) 미만과 5.5 GBq (150 mCi) 이상을 투여 받은 환자군 두 그룹 사이에 평균 퇴원선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5.5 GBq (150 mCi) 미만을 투여 받은 환자 군에서 퇴원선량이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23.95{\pm}10.44uSv/h$, $28.65{\pm}11.79uSv/h$). 연령,성별, Tg, Tg-ab는 환자의 퇴원 선량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리고 치료병실 오염도는 환자의 퇴원선량과 환자의 신기능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병실 오염도의 경우는 입원기간 동안 환자의 생활습관이나 기타 다른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록 성별의 집단 간에 따라서 오차가 있다고 여겨지지만 추후 더 많은 환자들을 비교 분석 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퇴원선량과 병실의 오염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다른 요인들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한다면 환자 본인의 피폭뿐만 아니라 가족과 그주변인 의료진들에게도 조금이나마 피폭의 영향을 감소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가 감자 괴경(塊莖)의 맹아억제(萌芽抑制) 및 영양가(營養價)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on Sprout Inhibition and Nutritive Value of Potato Tubers)

  • 이미순;김홍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9-35
    • /
    • 1972
  • 방사선 조사가 감자 괴경(塊莖)의 맹아억제(萌芽抑制) 및 영양가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 0 krad로부터 16 krad 사이의 선량(線量)을 Irish Cobbler 품종(品種)에 처리하였다. 싹 생장량은 선량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되었고 16 krad 처리구에서 완전히 억제되었다. 이 최적선량에서 괴경(塊莖)의 중량 손실은 현저히 감소했고 전(全)저장 기간을 통해 경도(硬度)는 양호했다. 방사선 조사는 감자 괴경(塊莖)의 cooking quality에 아무런 악(惡)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저장 후에 괴경(塊莖)내의 수분함량은 싹 생장량과 역비례(逆比例)하였다. 본 실험에서 16 krad 처리구는 탄수화물 함량이 저선량(底線量)처리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ascorbic acid는 8 및 16 krad가 무처리구 및 2 krad 보다 다량 함유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 PDF

감마선 조사가 결명자의 생육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Ray on Germination,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nna tora)

  • 엄민;강시용;이재원;이옥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90-295
    • /
    • 2017
  • Background: Senna tora is a flowering plant in the legume family Fabaceae. Its seeds are roasted and consumed as tea in Asia, to reduce inflammation in the liver and improve eyesight. Thus, it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medicinal crops in Asia. However, breeding trials to improve its genetic properties are rare. Mutation breeding by gamma ray is known to be an effective and highly successful approach for the generation of agronomically useful cultivars. Here we analyzed the effects of several dosages of gamma ray on the biological conditions of Senna tora seeds. Methods and Results: The germination rate and growth patterns of Senna tora were examined following irradiation with gamma ray at 100, 200, 300 and 400 Gy.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enna tora were analyzed. Germination increased at 100 and 200 Gy in the M1 and M2 generation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M0).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eed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radiation dosage increased above 100 Gy in the M1 generation. Conclusions: Senna tora, irradiated with gamma ray at dosages 100, 200, 300, and 400 Gy, showed maximum germination rate at 200 Gy in the M2 generation. Plant height and leaf size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gamma ray intensity in the M2 generation.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decreased significantly at 400 Gy, and the related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decreased as the radiation dosage increased.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가 감자 괴경(塊莖)의 치유조직형성(治癒組織形成), Solanine 함량(含量) 및 Carbonyl 화합물(化合物)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on Development of Wound Periderm, Solanine Content, and the Formation of Carbonyl Compounds in Potato Tubers)

  • 이미순;김홍열;정지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5-69
    • /
    • 1973
  • 여러가지 선량(線量)의 방사선조사(放射線照射)가 감자 박편(薄片)$(1\;cm{\times}2\;mm)$ 의 치유조직(治癒組織)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무균 상태하에서 조사(調査)하였다. 세포분열은 선량(線量)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억제되었고 16 krad 처리에서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Solanine 함량은 선량(線量)에 따라 유의적(有意的)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방사선조사(放射線照射)에 의하여 감자 괴경(塊莖) 내에 유기(誘起)된 carbonyl 화합물로부터 생성된 2,4-dinitrophenylhydrazone 침전물을 gas chromatograph 로 분리한 결과 formaldehyde 및 acetone 은 고선량(高線量)에서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감마선에 대한 고구마 Peroxidase 형질전환 담배식물체의 반응 (Responses of Transgenic Tobacco Plants Expressing Sweet Potato Peroxidases to Gamma Radiation)

  • 윤병욱;이행순;권석윤;김재성;곽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5-269
    • /
    • 1999
  • 고구마 산성 peroxidase (POD) (swpal) 또는 중성 POD(swpnl)을 도입한 형질전환 담배에 다양한 선량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30일에 항산화효소 활성과 식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감마선은 조사선량에 비례하여 형질전환 식물체와 정상식물에 관계없이 모든 식물체의 생장을 크게 억제시켰다. 50-70 Gy 처리에서 식물체의 신장이 크게 억제되었고 새로운 잎이 발생되지 못하였다. 10-50 Gy의 조사선량에서는 POD,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활성에 큰 변화를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구마 POD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에 관여하지 않음이 시사된다.

  • PDF

Impact of radiation dose o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limited-stage small-cell lung cancer

  • Park, Junhee;Kang, Min Kyu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6권1호
    • /
    • pp.35-44
    • /
    • 2018
  •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according to radiation dose in patients with limited-stage small-cell lung cancer (LS-SCLC)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5, 38 patients with LS-SCLC were treated with CCRT with etoposide and cisplatin. Total radiation doses ranged from 45 Gy to 66 Gy (1.8-2 Gy/fraction) and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45-54 Gy, 60-63 Gy, and 66 Gy. The impact of radiation dose on survival outcomes were evaluated. Toxiciti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version 4.03.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1 months. The 2-year overall survival (OS) and local failure-free survival (LFFS) rates were 45.8% and 67.5%, respectively. The 2-year LFFS rates were 33.3% for 45-54 Gy group, 68.6% for 60-63 Gy group, and 87.1% for 66 Gy group (p = 0.014). In multivariate analysis, radiation dose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LFFS (p = 0.015). Although radiation dose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for OS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in multivariate analysis, both OS and DFS of 66 Gy group tended to be better than that of 45-63 Gy group in univariate analysi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vere toxicities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 Higher radiation dose achieved better local control in patients with LS-SCLC treated with CCRT. In addition, a total dose of 66 Gy tended to improve OS and DFS.

Higher thoracic radiation dose is beneficial in patients with extensive small cell lung cancer

  • Yoon, Han Gyul;Noh, Jae Myoung;Ahn, Yong Chan;Oh, Dongryul;Pyo, Hongryull;Kim, Haeyou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7권3호
    • /
    • pp.185-192
    • /
    • 2019
  • Purpose: The effectiveness of thoracic radiation therapy (TRT) in extensive-stage small cell lung cancer (ES-SCLC) patients is increasingly reported, but there is no definite consensus on its applic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better outcomes of TRT among patients with ES-SCLC, focusing on whether a higher TRT dose could improve treatment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85 patients with ES-SCLC who received TRT between January 2008 and June 2017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Eligibility criteria were a biological effective dose with α/β = 10 (BED) higher than 30 Gy10 and completion of planned radiotherapy. Results: During a median follow-up of 5.3 months, 68 patients (80.0%) experienced disease progression. In univariate analysis, a BED >50 Gy10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overall survival (OS; 40.8% vs. 12.5%, p = 0.006),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15.9% vs. 9.6%, p = 0.004), and intrathoracic PFS (IT-PFS; 39.3% vs. 20.5%, p = 0.004) at 1 year. In multivariate analysis, a BED >50 Gy10 remained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OS (hazard ratio [HR] = 0.502; 95% confidence interval [CI], 0.287-0.876; p = 0.015), PFS (HR = 0.453; 95% CI, 0.265-0.773; p = 0.004), and IT-PFS (HR = 0.331; 95% CI, 0.171-0.641; p = 0.001). Response to the last chemotherapy was also associated with better OS in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A TRT dose of BED >50 Gy10 may be beneficial for patients with ES-SCLC.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elect patients who will most benefit from high-dose T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