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VA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7초

도복된 쌀의 텍스처, 호화 및 열적 특성 (Texture, Pasting and Thermal Properties of Lodged Rice)

  • 황태정;이원종;신진철;김영준;김석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2-297
    • /
    • 2010
  • 도복 현미와 백미 곡립의 경도는 도복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도복 현미와 백미의 경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도복 현미와 백미의 DSC 열적 성질($T_o$, $T_p$, $T_c$, ${\Delta}H$)은 도복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도복 현미와 백미의 경우는 증가하였다. 현미 백미 곡립의 경도와 DSC 열적 성질, 특히 ${\Delta}H$$T_p$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도복 현미와 백미의 RVA 호화 특성(최대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breakdown, consistency)은 도복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도복 현미와 백미의 경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다만 setback의 경우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도복 현미밥과 백미밥의 경도, 응집성, 검성, 씹음성, 부착성, 탄성은 도복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도복 현미밥과 백미밥의 경우는 증가하였다. 다만 응집성과 부착성은 백미가 현미보다 높았다.

백복령 첨가에 따른 식빵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the powder of Poria cocos Wolf)

  • 신길만;박종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1-235
    • /
    • 2008
  • 백복령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밀가루 반죽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백복령분말을 $0{\sim}5%$의 비율로 첨가하여 식빵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복령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함량은 7.67%이었고, 조단백질 함량은 0.61% 나타났고, 조지방 함량은 0.58%로 나타났다. 조회분 함량은 0.32%이었고, 조섬유 함량은 0.30%로 나타났다. 백복령분말을 첨가한 밀가루의 호화도(RVA)는 백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는 감소하였으며 breakdown은 백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gluten 함량과 반죽팽창력은 모두 백복령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색도는 백복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상업용 복합유화제가 박력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mercial Multi-Emulsifiers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Cake Flour)

  • 복진흥;황성연;이정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8-165
    • /
    • 2007
  • P 사, W 사, O 사의 케이크용 상업용 복합유화제를 박력분 대비 3% 첨가로 반죽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Falling num-ber, RVA, Alveograph, Farinograph 등으로 점도, 신장성, 반죽의 안정도, 흡수율, 내구성 및 반죽의 특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Falling number 특성에서 복합유화제를 첨가한 경우 침강시간이 증가하여 점도가 증가되었다. 호화 특성에서 복합유화제 첨가로 초기호화온도는 W 사 이외의 것에서 증가하였고, 최고점도, 최종점도, setback 등은 증가하였으나 breakdown은 감소하였다. Alveo-gram 특성에서 복합유화제 첨가시 P값은 낮아졌고, L과 G값은 증가하였으나 P/L은 감소하였다. Farinogram 특성에서 복합유화제 첨가시 흡수율 감소, 반죽발전시간 증가, 안정도는 P 사의 복합유화제를 첨가한 것은 짧아졌으나 이외의 것은 길어졌다. 이상의 실험 결과 P 사의 복합유화제가 반죽 제조에 가장 적합하였으며, 케이크 제조시 제품의 부피가 커지고 부드러우며 노화가 지연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이 밀가루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Bran Dietary Fiber Extract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Wheat Flour)

  • 김영수;하태열;이상효;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64-469
    • /
    • 1997
  •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이 밀가루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방법으로 열처리한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하여 호화 및 노화현상을 RVA와 DSC로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그결과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 첨가는 대조구에 비해 호화온도, 최고점도 및 최종점도를 증가시켰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들을 DSC로 측정했을 때 To, Tp 및 ${\triangle}H$값들은 탈지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노화시 나타난 endothermic peak는 호화시보다 약 $15{\sim}20^{\circ}C$ 낮은 온도에서 폭이 넓은 형태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뚜렷한 endothermic peak를 보였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들은 노화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5%와 10% 첨가시료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beta}-Glucan$이 보리 전분의 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Glucan$ on Gelatinization of Barley Starch)

  • 최희돈;석호문;김성란;박용곤;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45-550
    • /
    • 2003
  • ${\beta}$-Glucan이 보리 전분의 호화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VA 분석에 의하면 ${\beta}$-glucan의 첨가에 의해 전분은 RVA 상에서의 호화개시가 빨라지고 점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SC 분석 결과 ${\beta}$-glucan 첨가에 의해 전분입자가 안정화되어 전분의 호화개시 및 peak 온도가 증가하였으며, X-선 회절 양상 결과에서도 ${\beta}$-glucan 첨가에 의해 전분의 결정성이 증진되어 DSC 분석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beta}$-glucan 첨가는 전분의 호화과정 중의 전분입자의 형태 및 amylose, amylopectin의 용출양상과 팽윤력, 용해도 등의 호화시 발생하는 특성의 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처리한 아마란스 가루의 특성 (Properties of Amaranth Flour Processed by Various Methods)

  • 최차란;김성란;이재학;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62-267
    • /
    • 2004
  • 아마란스를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아마란스 종실을 1차 가공처리한 후 전분과 각 가루의 가공특성을 조사 하였다. 아마란스는 전분, 무처리(UT), 탈지(DF), 발아(GM), 로 스팅(RT), 팽화(POP), 압출성형(EK1, EX2)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아마란스 가루의 결정형은 전형적인 A형을 보였고 탈지, 발아, 로스팅 처리에 의한 결정형과 결정강도의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팽화 처리와 압출성형에 의해서는 결정형이 사라졌다. 시료의 물 결합능력은 가공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어 POP 시료의 물 결합능력이 740.3%로 가장 컸고, EX1이 35.5%로 가장 낮았다. 아마란스 가루의 광투과도 특성은 $60^{\circ}C$에서 차이가 있어 RT, POP, EX1, EX2 시료의 광투과도가 높게 나타났다. RVA로 측정한 아마란스 시료의 호화온도는 POP와 EX1, EX2를 제외하고 $68.1-73.0^{\circ}C$이었고, 피크점도는 GM이 31.6 RVU, RT가 401.1 RVU로 큰 차이가 있었다. DSC결과 또한 RVA 결과와도 일치하여 POP, EX1, EX2는 milling endotherm이 나타나지 않았다.

호숙기와 황숙기 멥쌀을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Dough Ripe Stage Rice and Yellow Ripe Stage Rice)

  • 박소라;이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3-359
    • /
    • 2013
  • 쌀의 미성숙상태의 whole grain인 dough ripe stage rice(DRSR, 호숙기)와 yellow ripe stage rice(YRSF, 황숙기) flours의 호화특성을 분석하고, 각각 30% 첨가한 백설기를 제조하여 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RVA 분석 결과, 30% DRSR와 YRSR flour은 완숙기 멥쌀(FRSR, control) flour 보다 호화 속도와 호화액의 안정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RSR과 YRSR을 중량대비 30%를 첨가하여 제조한 백설기의 수분함량은 DRSR와 YRSR flour 자체의 낮은 수분함량에 의해 완숙기(FRSR, control) flour로 제조된 백설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백설기의 색도는 강한 greenness와 yellowness가 나타났는데, 이는 DRSR와 YRSR flour자체의 고유색에 의해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조직감의 경우,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와 resilience는 30% DRSR와 YRSR를 첨가한 백설기가 control보다 낮게 분석되었는데, 이는 DRSR과 YRSR 자체의 낮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백설기 제조 시 위의 조직감 특성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검사 결과, 30% DRSR와 YRSR 백설기의 green color와 greenish taste는 DRSR와 YRSR 고유의 색과 향에 의해 cont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30% DRSR 백설기가 가장 높았으나 control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미성숙 전곡립 DRSR를 30% 첨가하여 백설기를 제조한다면 색과 맛 그리고 향이 부여되며 전반적인 기호도가 완숙기 일반 멥쌀로 제조한 백설기와 유사하여 백설기의 부재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 제시된 결과들은 제조당일의 백설기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 앞으로 저장기간을 통한 백설기의 노화에 관한 품질특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질밀의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 및 제품의 제조적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Product Potentiality of Soft Wheats)

  • 임은영;장학길;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12-418
    • /
    • 2007
  • 연질밀인 soft white winter(SWW) 밀과 club 밀 각각 6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종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제분특성, 호화특성, mixograph 특성 및 제품특성으로 sugar-snap 쿠키와 스펀지 케이크의 제조특성을 측정하고 이들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Single Kernel Characterization System(SKCS)에 의한 종실의 경도, 무게 및 크기는 SWW밀과 club 밀의 평균간의 유의성은 적었으나 품종간에는 차이가 비교적 컸다. Straight-grade flour yield, break flour yield, 회분 함량 및 제분평점 등의 제분특성은 SWW 밀과 club 밀 간에 차이가 없었다. Straight-grade flour yield와 break flour yield는 고도의 정의 상관(r = 0.805**)이 있었다. SWW 밀과 club 밀의 Rapid Visco Analyze(RVA) 최고점도와 팽창부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의 변이도 적었다. RVA 최고점도와 팽창부피는 고도의 정의 상관(r = 0.662**)이 있었다. Mixograph 흡수율은 SWW 밀이 club 밀보다 다소 높았으나 mixograph type은 2M 이하로서 전형적인 연질의 특성을 보였다. Club 밀의 쿠키 직경과 쿠키 top grain score는 SWW 밀보다 좋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스펀지 케이크의 부피는 SWW 밀보다 club 밀이 높았으나 케이크 score는 club 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쿠키 직경과 스펀지 케이크의 부피는 고도의 정의 상관(r = 0.745**)이 있었다.

분무수세한 쌀로 제분한 쌀가루의 저장중 특성 변화 (Properties of Rice Flour Milled from Spray-Washed Rice During Storage)

  • 최소연;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915-920
    • /
    • 2007
  • 쌀을 분무수세한 후 제분하여 제조한 쌀가루를 건식제분 쌀가루와 함께 $5^{\circ}C$, $20^{\circ}C$, $35^{\circ}C$의 저장온도에서 4개월간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 중에 쌀가루의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온도가 $5^{\circ}C$에서 $35^{\circ}C$로 높아짐에 따라 수분의 감소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무수세한 쌀가루의 색은 저장 중 L값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건식제분 쌀가루와 비교할 때 L값이 높아 보다 밝게 나타났다. 분무수세 쌀가루의 RVA 호화양상을 측정한 결과 건식제분 쌀가루에 비해 저장중의 최고점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5^{\circ}C$에서 저장한 쌀가루의 최고점도가 가장 낮은 반면에 $20^{\circ}C$, $35^{\circ}C$로 저장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최고 점도가 증가하였다. 한편 분무수세 쌀가루의 저장중 최종점도는 건식제분 쌀가루에 비해 낮게 나타나 setback 점도는 분무수세한 쌀가루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반적으로 $5^{\circ}C$에서 저장한 쌀가루의 RVA 점도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쌀가루의 저장 중 총균수는 미미하게 증가하여 저장 4개월에 $10^{3}$정도였으며 분무수세 쌀가루의 총균수가 건식제분 쌀가루에 비해 지속적으로 낮아 분무수세 쌀가루의 미생물의 오염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실 엑기스 첨가가 Yellow Layer Cake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I) - 케이크 반죽의 리올로지 특성 - (Effects of Maesil Extra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I) - Rheology Characteristics of Cake Batter -)

  • 최봉순;남윤주;황성연;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9-546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esil extract on medium and cake flour using the falling number and RVA tests, as well as farinography, and alveography. The maesil extract were added on the medium and cake flour bases, 3% and 5% each. The falling numbers of the medium and cake flour with maesil extract were increased due to alteration of the protein in the flour. Analysis of the RVA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maesil extrac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Peak viscosity, holding strength, final viscosity, and the breakdown and setback values of the medium flour were not consistent, but those of the cake flour decreased. Farinography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 of maesil extract decreased water absorption and improved the stability of the medium and cake flou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veogram showed that the addition of maesil extract increased the extensibility and swelling index.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the processing rheology may be good when using maesil extract to make yellow layer cak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