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TK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5초

MATLAB GUI 기반 다중 위성군 Network RTK MAC 보정정보 생성 소프트웨어 개발 (Development of MATLAB GUI Based Software for Generating Multi-GNSS Network RTK MAC Correction)

  • 김부겸;기창돈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12-41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MATLAB GUI 기반으로 개발된 다중 위성군 network RTK MAC 보정정보 생성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소개한다. 해당 소프트웨어는 GPS와 GLONASS, Galileo를 포함한 다중 위성군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데이터 기반 후처리 소프트웨어로 개발되었다. 소프트웨어 구동 결과 다중 위성군의 시스템별 network RTK 보정정보가 MATLAB 파일 형식으로 출력된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통해 생성된 보정정보를 사용자에게 적용한 후 잔여 오차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 잔여 오차의 크기가 10 cm 이하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유효한 network RTK 보정정보 생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Open PPP/PPP-RTK 보정정보 서비스 동향 (Trends of Open PPP/PPP-RTK Correction Services)

  • 임철순;조용래;이예빈;차윤호;박병운;박두경;이승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18-426
    • /
    • 2022
  • 반송파 기반 위성항법 보강시스템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정치 오차를 보상하는 방식에 따라 OSR(observation space representation)과 SSR(state space representation)으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OSR 기반 보강시스템인 N-RTK(network real time kinematics)는 약 100 km 수준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cm급 측위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이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자-인프라 간 양방향 통신 방식에 의해 서비스가 구현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N-RTK를 활용한 위성 기반 cm급 전국토 정밀 측위 서비스 구축은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른다. 반면, SSR 보강시스템은 서비스 영역 내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보정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단방향 서비스에 적합하고, 각 보정정보의 전송주기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위성 기반 광역 정밀 보정정보 방송 서비스에 적합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위성항법시스템을 보유한 각국은 SSR 보정정보 기반의 PPP(precise point positioning)/PPP-RTK 정밀 측위 서비스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위성 기반 SSR 보정정보 방송 서비스들의 구성 및 특징, 측위 성능 분석을 통해 PPP/PPP-RTK 서비스 동향과 정밀 측위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RTK-GPS에 의한 노선측량에서 이동국의 속도에 따른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RTK-GPS Rover Speed in Route Surveying)

  • 최병길;이형수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139-144
    • /
    • 200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curacy of rover speed change in route surveying using RTK-GPS. Route surveying methods using GPS contain Static, DGPS, and RTK-GPS. Much research of navigation system, positioning of vehicles by DGPS, and accuracy analysis by GPS surveying have already been done. From this study, it is firstly found that DGPS is suitable for car navigation and sea navigation with an error of meter scale but not good for detailed construction, designing maps and updating GIS databases. Secondly, RTK-GPS can be used for managing gas pipes, water supply and drain pipes and fiber-optic cable that are needed to be controlled in a real time basis. Thirdly, since the accuracies of route surveying by RTK-GPS and DGPS are not correctly matched with the change of rover speed, the choice of route surveying method from those two should follow the need of accuracy fidelity Further study should focus on Cycle Slip problem and coordinate change problem in tunnel and mountainous areas.

  • PDF

서울특별시 네트워크 RTK 시스템의 NTRIP 데이터 전송 몇 Virtual RINEX의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NTRIP Data Delivery and Virtual RINEX available from Seoul Metro Government Network-RTK system)

  • 남대현;김진환;곽인선;권재현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2-15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네트워크 RTK 시스템의 활용 및 Virtual RINEX 실용성 검토를 위해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RTK 시스템의 활용 다양화를 위해서는 NTRIP을 통하여 타기관의 사용자 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 시설물의 변위에 대한 GNSS로 모니터링 방법, GNSS Internet Radio Client와 Radio Modem을 이용한 RTK측위를 소개하고, Virtual RINEX 실용성 검토는 VRS RTK 측위 결과와 이동국 측위 지점에 대한 Virtual RINEX 데이터의 후처리 성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Virtual RINEX와 GPS 관측 성과는 거의 동일하여 향후 Virtual RINEX도 후처리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VRS RTK 측위 성과는 Virtual RINEX 후처리 성과와 수 mm 이내 차이를 보여 산출된 성과가 거의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NSS RTK 표준규격의 엄밀시험절차에 따른 현장시험 (An Onsite Test by Full-Test Procedures of ISO GNSS RTK Standard)

  • 이영진;조준래;송준호;정래정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3-294
    • /
    • 2009
  • 정밀한 관측을 요하는 측량장비의 기능을 보정하거나 검증하는 것은 측량시 매우 중요한 일이다. ISO17123-8 규격은 GNSS RTK 정확도를 결정 할 때 사용되는 야외실험 절차와 규정을 명시하고 있으며 정확도 평가방법으로는 약식시험절차와 엄밀시험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NSS RTK 정확도 평가방법 중 엄밀시험절차에 대해 시험할 목적으로 GNSS RTK 규격에 따라 Test-bed를 구축하였고 성능실험을 실시 위하여 GNSS RTK 규격에 제시된 정확도 평가방법을 적용하였다.

  • PDF

Field research for Advanced GPS Network RTK Solution

  • Kang, Sang-Gu;Cranenbroeck, Joel van;Oh, Sang-Hoon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411-415
    • /
    • 2006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network GPS RTK surveying. Single RTK has some limit in long distance and it has an accuracy problem depend on the baseline length.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GPS network technology, RTCM V3.0 correction format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can eliminate the weakness of single GPS RTK. This paper is the practical field result of GPS network RTK.

  • PDF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DGPS & RTK Error Correction Data Real-Time Transmission System for Long-Distance in Mobile Environments

  • Cho, Ik-Sung;Ha, Chang-Seung;Yim, Jae-H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91-291
    • /
    • 2002
  •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RTK(RealTime Kinematic) is in one of today's most widely used surveying techniques. But It's use is restricted by the distance between reference station and rover station and it is difficult to process data in realtime by it's own orgnizational limitation in precise measurement of positioning. To meet these new demands, In This paper, new DGPS and RTK correction data services through Internet and PSTN(Public Switched Telephony Network) have been proposed. For this purpose, we implemented performance a DGPS and RTK error correction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long-distance using the internet and PSTN network which allows a mobile user to increase the distance at which the rover receiver is located from the reference in realtime. and we analyzed and compared DGPS and RTK performance by experiments through the Internet and PSTN network with the distance and the time.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ow-cost, High-precision RTK Device RTAP2U for GPS-based Precise Localization

  • Kim, Hye-In;Kim, Yeong-Guk;Park, Kwan-Dong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0권1호
    • /
    • pp.67-73
    • /
    • 2021
  • The need for precise location data is growing across numerous markets, and so is the number of affordable high-precision GPS receivers. In this paper, we validated the performance of RTAP2U, a low-cost high-precision RTK receiver that was recently released. Two positioning modes were tested: static and driving. The static test conducted Zero-Baseline Single-RTK and Network-RTK survey for 57 hours and 51 hours, respectively. For the driving test, Network-RTK survey was conducted using VRS services provided by NGII based on Trimble PIVOT and Geo++ GNSMART. The static test showed about 1 cm horizontal and vertical accuracies, which is very stable considering the test duration longer than 50 hours. The integer ambiguity FIX rate marked a solid 100%. The driving test result also reached a 100% FIX rate. Horizontal and vertical accuracies were better than 2 cm and 3 cm, respectively. Researchers can refer to this paper when considering affordable high-precision GPS receivers as an option.

Network RTK 항체의 불연속 위치 결정 개선을 위한 기준국 셀간 미지정수 차이 조정 연구 (Study on the Ambiguity Difference Adjustment between Reference Station Cells for the Improvement in Rover's Continuous Network-RTK Positioning)

  • 박병운;송준솔;기창돈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19-626
    • /
    • 2012
  • 단방향 Network RTK 방식은 최근 높아진 항체의 요구 정확도와 이동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고려되고 있다. 항체에 단방향 Network RTK 방식의 보정정보를 적용할 경우, 광역에서의 연속 항법을 위하여 다중 셀 기반의 Network RTK 방식이 필수적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셀 간 이동시 보정정보 생성에 사용되는 기준국 조합이 바뀌므로 보정정보의 불연속 값이 발생하는데, RTK 위치 결정을 위한 이중차분으로도 제거되지 않아 수평 13cm, 수직 48cm 수준의 오차가 야기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불연속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종 셀 간 동일한 주(Master) 기준국을 사용하는 방안, 복수의 보정정보 수신 모듈을 설치하여 기존 위치를 기준으로 새로운 보정정보를 조정하는 방안, 이종 네트워크 간 미지정수 차이를 조정하는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세 방법 모두 셀 간 이동으로 인한 불연속 값을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측정치의 1/4파장, 3cm수준으로 위치 오차가 감소함이 확인되었으나, 기준국 셀의 확장성, 사용자 장비 부담 경감 등을 고려할 때 셀간 미지정수를 조정하는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Network RTK 품질 분석 방법론별 성능 지표와 사용자 항법 정확도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on Accuracy of the Network RTK Rover and Quality Indicator of Various Performance Analysis Method)

  • 임철순;박병운;허문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75-383
    • /
    • 2018
  • 정지한 객체의 측위에 사용되던 Network RTK (real time kinematics) 기술을 이동형 항체의 항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정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성능을 대표할 수 있는 지표가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I95 (ionospheric index 95) / G95 (geodetic index 95), SBI (semivariance based index), RIU (residual interpolation uncertainty) 등의 지표 도출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이를 국토지리정보원의 기준국 원시 데이터와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사용자에 적용함으로써 정밀 항법 성능 지표로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24시간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 보정정보의 비선형성을 나타낼 수 있는 RIU 지표와 Network RTK 사용자의 위치 정확도와의 상관성이 0.52로 타 지표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이동 항체의 항법 성능 지표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