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TC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162초

고령자의 식품선호도 및 고령친화식품 요구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인복지관 이용자 중심으로 - (Study on Demand Elderly Foods and Food Preferences among Elderly People at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 신광진;이은정;이승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 to develop food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ir food preferences. A one-to-one survey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65 elderly people (male: 47, female: 118) attending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eferred cooking method was steaming rather than stir-frying. Vegetables (4.24), fruits (4.22), Kimchi (3.87), fish (3.83), tofu (3.81), rice-cakes (3.65), dairy products/eggs (3.47), meat (3.45), noodles (3.44), seafood (3.44), poultry (3.23), bread/cookies (3.10) showed high preferences in order (p<0.05). The respondent's chewing & swallowing degree were "Not uncomfortable chew" 31.5%, "Hard food, and a big food is a little difficult to intake". 37%, "Hard food, and a big food is difficult to intake" 11.5%, "Small food, and soft foods can intake" 11.5%, and "It is difficult to intake solid food" 1.2%. Foods that were difficult to chew were meat 28.3%, seafood 15.2%, vegetables 15.2%, nuts 14.1%, fruits 12.0%, Kimchi 8.7%, and other 6.5%. For respondent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hoice of elderly foods were flavor (48.5%), hygiene (43.0%), and nutrition (36.4%). The elderly wanted "Ready to eat (RTE)" 53.9%, "Ready to heat (RTH)" 15.8%, "Ready to cook (RTC)" 21.2%, and 'Fresh cut product" 9.1%.

노인세대의 편의식 이용현황과 요구도 조사 (Survey on Present Use and Future Demand for the Convenience Food in the Elderly Group)

  • 박지영;김지나;홍완수;신원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90
    • /
    • 2012
  •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use and the demand of the elderly generation that pursue economic ability and active lifestyle. The composition of the meals were "homemade meals" 65.3%, "homemade & convenience meals" 26.7% overall. For the "never miss a meal" category, 70-74 years old was 48.3%, over 80 years old was 60.0%. The elderly under 70 years old showed a high frequency in the use of alternative meals (p < 0.05) and the elderly with higher education used the alternative meals more frequently (p < 0.01). The rice-cakes, bread, tuna cans, Korean side-dishes, beverages, meat, cup-noodles and seafood as alternative meals are in the order of most frequency. Also, 96.0%, 59.0% and 46.5% of the elderly had experience in using "Ready to eat (RTE)", "Ready to heat (RTH)" and "Ready to cook (RTC)". The oldest group surveyed, the elderly at the age of 80 years old and above showed lower preference for "completely cooked state" but showed highest results in the "half-cooked state". This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people's perception and the behavior that showed high frequency of 96.0% in the experience with "RTE". This can be inferred that the elderly needs the development of convenience food that is moderately packaged according to the newer lifestyle where the elderly live independent from their children. Moreover, there is a higher demand in the healthy convenience food, which means that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in the quality of the convenience food that will allow more faith in convenience food by the elderly.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중국과 일본 소비자의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패키지 디자인 선호 분석 (Analysis of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preference for Korean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 package design using conjoint analysis)

  • 유선영;이민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5호
    • /
    • pp.480-487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 북경과 일본 오사카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패키지 디자인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와, 속성 수준별 효용값과 이를 이용하여 최적속성조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국 소비자가 생각하는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패키지 디자인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는 일러스트레이션, 섭취형태, 컨셉, 브랜드명 순이었으며, 일본 소비자의 경우에는 일러스트레이션, 컨셉, 섭취형태, 브랜드명 순이었다. 속성수준에 대한 효용값을 살펴보면 일러스트레이션 속성은 중국 소비자의 경우 원재료 사진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캐릭터 사진, 유명인 사진 순으로 선호하였다. 일본 소비자의 경우에는 원재료 사진과 유명인 사진보다 캐릭터 사진이 가장 선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컨셉 속성은 중국 소비자의 경우 유쾌한, 한국 전통, 모던 컨셉 순으로, 일본 소비자는 유쾌한, 모던, 한국 전통 컨셉 순으로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섭취형태 속성에서는 중국과 일본 소비자 모두 RTE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RTH, RTC 순으로 조사되어 섭취가 간편할수록 더욱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브랜드명 속성의 경우 중국과 일본 소비자 모두 한국어로 된 한국 브랜드명보다 현지 언어로 된 현지화 브랜드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국과 일본 소비자에게서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패키지 디자인 속성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와 속성별 수준에 따른 선호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국과 일본 내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시장에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한식 가정식사대용식 패키지 디자인 개발 및 마케팅 전략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기반 원격근무를 통한 출근 통행거리 저감이 CO2 배출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Effects of Commuting Distance Reduction by Teleworking on Carbon Dioxide Emission: Focusing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강지한;오규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89-102
    • /
    • 2014
  • 우리나라에서 지역기반 원격근무센터의 설치와 운영은 시범적 초기단계로서, 재택근무에 대한 연구가 다소 이루어진 바 있지만, 지역기반에서 원격근무센터가 본격적으로 확대 보급되었을 때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원격근무센터의 설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출근 통행거리의 저감 효과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기반 원격근무센터의 $CO_2$ 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지역기반 원격근무센터로 인한 총 $CO_2$ 저감량은 1일 기준 911 톤(Ton)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분석 결과에 1년 근로일수(통계청)인 258일을 적용하면 연간 235,056톤(Ton)의 $CO_2$가 원격근무센터 설치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원격 근무센터 설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환경적 효용을 정량적으로 산출함으로써 향후 원격근무센터의 효과적 입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행정구역별 비교를 통해 원격근무센터 확대 실시에 있어 우선순위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