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SU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2초

블록체인을 활용한 mRSU 차량 선정 시 안전성 강화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Safety in Selection of mRSU Vehicle Using Block Chain)

  • 백재희;윤렬;신용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64-167
    • /
    • 2019
  • 차량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인 V2X 발전에 따라, V2I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RSU에 대한 연구 또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RSU 는 저성능 및 유지보수 고비용의 문제점이 존재하여 차량이 RSU 기능을 수행하는 mRSU가 제안되었다. 이에 mRSU를 배치하는 연구는 진행되고 있으나 mRSU 역할을 하는 차량을 선정하기 전, 해당 차량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방안이 존재하지 않아 보안에 취약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차량을 mRSU 로 선정하기 전 교통 관제 센터에서 해당 차량의 안전성을 판단하고, mRSU 적합도를 수치화하여 이 데이터를 블록체인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이를 통해 신뢰 적인 기관의 검증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여 보안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우수인력유치 위한 주식연계형 보상방안 연구: 스톡옵션 보완 수단으로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도입방안

  • 양영석;황보윤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50
    • /
    • 2023
  • 본 논문은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임직원이 상장후 적법한 절차에 따라 스톡옵션 행사를 하였지만, 주식시장의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며 일반투자자 피해가 발생하여 도덕적 해이 논란이 촉발되었고 이 문제에 대해 정부 규제당국이 직접적인 추가규제를 예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식매수선택권제도(Stock Option, 이하 스톡옵션)의 보완 수단인 양도제한조건부주식(Restricted Stock Unit, 이하 RSU)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시장중심적으로 이 문제를 풀어내는 선진 스타트업 벤처금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첫째, RSU의 개념에 대해 제한조건부주식(Restricted Stock, 이하 RS)와 비교논의를 통해 제시하며. RSU의 스톡옵션에 대한 보완적 특징 설명에서는 기존 스톡옵션제도와 RSU를 비교 설명하였다. 둘째, RSU의 단점과 한계점을 설명하고 그 한계점을 극복하며 국내 스타트업과 벤처기업들이 이를 효과적으로 도입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RSU의 도입 현황을 제시하며 향후 RSU 도입 위한 정책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이를 통해 RSU가 기본 스톡옵션제도의 규제강화를 통한 시장 위축적인 해결보다는, 새로운 대안을 주식연계형 보상방안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시장친화적인 제도를 마련함으로써 국내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인력수급 해소와 사업활성화에 큰 의미를 벤처생태계 스스로가 풀어내는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우수인력유치 위한 주식연계형 보상방안연구: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도입 중심으로 (A Study for New Equity Compensation Alternative for Startups and Venture to Solid Staffing and Team Building in Korea: Focusing on Restricted Stock Units)

  • 황보윤;양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6호
    • /
    • pp.1-10
    • /
    • 2023
  • 최근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임직원이 기업 상장 후 적법한 절차에 따라 스톡옵션 행사를 하였지만, 상장 후 일시 매도로 주식시장의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며 일반투자자 피해가 발생하는 등 도덕적 해이 논란이 촉발되었다. 이에 정부 당국은 스톡옵션 즉 주식매수선택권 제도에 대해 의무 보호 대상에 포함시키는 규제를 진행함에 따라 더 이상 스톡옵션이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우수 인력확보 수단이 되기 어렵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우수한 인력확보가 절실한 초기스타트업들에게 양도제한조건부주식(Restricted Stock Unit, 이하 RSU)제도 도입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주식매수선택권 제도(Stock Option, 이하 스톡옵션)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돌파구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째, RSU의 국내 도입현황과 이의 개념을 제한조건부주식(Restricted Stock, 이하 RS)과 비교논의를 통해 제시하였다. 또한 RSU와 기존 스톡옵션제도의 특징을 비교설명하였다. 둘째, 탐색적 연구를 통해 RSU의 단점과 한계점을 설명하고 그 한계점을 극복하며 국내 스타트업과 벤처기업들이 이를 효과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내 관련 정책입안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법률전문가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RSU 도입이 기존 스톡옵션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며 스타트업 벤처 금융제도의 대안으로 안착할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넷째, 탐색적 연구와 실증연구를 토대로 스타트업 벤처금융 대안으로 RSU 도입 및 뿌리내림 위한 정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RSU가 기본 스톡옵션제도에 주어지는 도덕적 해이 논란을 벗어나, 스타트업의 새로운 주식연계형 보상 대안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수립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 PDF

VANET내 RSU에서 (m,k)-firm 기반 요청 데이터 처리를 위한 스케쥴링 알고리즘 (A Scheduling Algorithm for Servicing (m,k)-firm-based Request Data from RSU Using in VANETs)

  • 남재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665-2670
    • /
    • 2015
  • VANET은 차량들을 노드로 간주하는 에드혹 네트워크이고, 이들 노드들은 도로상에서 RSU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VANET환경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요청한 차량에게 정확하고 적절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스케쥴링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차량이 해당 RSU 영역내에 존재할 때 차량이 요청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RSU는 스케쥴링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할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데이터를 선택한다. 본 논문에서는 RSU가 과부하 때문에 처리하지 못한 데이터를 다른 RSU로 전달되는 환경에서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요청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요청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계산하기 위해 수정된 DBP 기법을 이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다양한 조건하에서 제안된 기법이 다른 스케쥴링 기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볼 수 있다.

VANET에서 RSU의 의존성을 줄이고 차량의 프라이버시를 강화한 인증 프로토콜 (Reduced RSU-dependency Authentication Protocol to Enhance Vehicle Privacy in VANET)

  • 임원우;김종식;김상진;오희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1-34
    • /
    • 2011
  • VANET은 차량이 안전하고 쾌적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V2V, V2I 통신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V2V, V2I 통신이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RSU를 기반으로 하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RSU를 기반으로 하는 환경에서는 차량과 RSU 간의 빈번한 통신으로 인한 효율성 문제, RSU가 불능이 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 RSU 내의 정보가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차량의 프라이버시 침해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RSU의 의존성을 줄이고, 차량의 프라이버시를 강화한 그룹서명 기반의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그룹서명을 사용하는 기존의 프로토콜보다 효율적이고, VANET의 보안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한다.

VANET 환경에서 효과적인 데이터 배포를 위한 RSU 협업 스케쥴링 (Cooperative RSU Scheduling for Efficient Data Dissemination in VANET Environments)

  • 복경수;홍승완;차재홍;임종태;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27-36
    • /
    • 2013
  • 최근 VANET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 RSU들을 유선망으로 연결하고 RSU들 사이의 협업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새로운 스케쥴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다중 RSU 협업 전략을 통해 안전 데이터와 비안전 데이터를 효율적인 전송하며 데드라인 실패율 및 평균 응답 시간을 감소시킨다. 안전 데이터가 발생할 경우 이전 RSU에서 데이터를 미리 전송하고 데드라인, 수신율을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비안전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처리되는 요구 기반 데이터이기 때문에 RSU에서 부하가 발생할 경우 데드라인 실패율이 방지하기 위한 기법을 제공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차량 수와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성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데드라인 실패율과 평균 응답 시간 측면에서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모두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제한된 에너지원을 갖는 V2I 시스템의 확률 기반의 데이터 전달 기법에서 RSU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RSUs in Probability-Based Data Delivery Strategy for Energy-Constrained V2I Systems)

  • 서봉수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69-76
    • /
    • 2018
  • 제한된 에너지원을 가지는 RSU(Road Side Unit)로 구성된 V2I(Vehicle-to-Infrastructure) 시스템에서 기존에 제안된 데이터 전달 방법은 RSU의 에너지 소비 측면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RSU의 잔여 에너지 값에 종속적인 확률 값으로 RSU의 데이터 전달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전달 시간이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전달에 참여하는 RSU의 수와 연속적인 데이터의 전달에 따른 RSU들의 에너지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며 이를 실제 분석하였다. 수치적 분석의 결과로 확률 기반의 데이터 전달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RSU가 데이터 전달에 참여하며 이에 따라 모든 RSU의 평균 에너지 크기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 시스템의 실제 구현시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VANET 환경에서 안전 데이터 배포를 위한 다중 RSU 스케쥴링 (Multiple RSU Scheduling for Disseminating Safety Messages in VANET)

  • 홍승완;차재홍;임종태;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6
    • /
    • 2013
  • VANET에서 다수의 운전자가 요구한 정보 또는 특정 정보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RSU(Road Side Units)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RSU를 이용하여 안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스케쥴링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케쥴링 기법은 RSU의 부하 상태를 파악하고 RSU들 사이에 안전 데이터를 배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전 데이터를 이웃한 RSU에 전송하여 안전 데이터 수신율을 향상시킨다.

  • PDF

VANET에서 ECDH 기반 그룹키를 이용한 그룹간 인증 설계 (A Design of Group Authentication by using ECDH based Group Key on VANET)

  • 이병관;정용식;정은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1-5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V2V 통신과 V2I 통신을 보장하는 ECDH(Elliptic Curve Diffie Hellman) 기반 그룹키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ECDH기반 그룹키는 AAA 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과 차량사이의 그룹키인 VGK(Vehicular Group Key), 차량 그룹 사이의 그룹키인 GGK(Globak Group Key), 그리고 차량과 RSU사이의 그룹키인 VRGK(Vehicular and RSU Group Key)를 ECDH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차량과 RSU 사이의 그룹키인 VRGK는 현재 RSU에서 다음 RSU에게로 RGK(RSU Group Key)로 암호화하여 안전한 채널을 통하여 전달하기 때문에 완벽한 순방향 기밀(Perfect Forward Secrecy) 보안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메시지를 전송한 차량이 해당 그룹의 구성원인지를 그룹키 이용하여 확인함으로써 Sybil공격을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간의 안전한 통신으로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메시지 전송 시간 및 서버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VANET에서 다중 익명 인증서 기반 효율적인 익명 인증 프로토콜 (An Efficient Anonymous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Multiple Anonymous Certificates in VANET)

  • 정채덕;서철;박영호;이경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5호
    • /
    • pp.589-596
    • /
    • 2009
  • 최근까지 VANET 환경에서 차량의 익명성과 비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익명 인증 프로토콜들은 신뢰기관이 차량에게 다수의 익명 인증서를 발급하거나, 차량과 RSU (Road-Side Unit)간의 상호인증 이후에 RSU가 차량에게 단기 (Short-time) 익명 인증서를 발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익명 인증서 생성 단계에서 신뢰기관을 비롯하여 차량 및 RSU의 높은 오버헤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량 및 RSU간의 한 번의 상호인증으로 RSU가 차량에게 다중 단기 익명 인증서를 발급하는 효율적인 익명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RSU 서비스율 및 차량의 계산량 관점에서 기 제안되었던 가장 효율적인 익명 인증 프로토콜보다 효율적임을 보인다. 또한, 기 제안된 프로토콜들은 다수의 RSU들이 손상될 경우, 차량에 대한 비연결성과 추적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반면 제안 프로토콜은 다수의 RSU가 손상되더라도 차량의 비연결성과 추적성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