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SA 암호법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9초

RSA 암호계에 대한 결정적 공격법에 관한 연구 (On a Deterministic Attack Against The RSA Cryptosystem)

  • 김용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37-744
    • /
    • 2018
  • RSA 암호계는 가장 널리 쓰이는 공개키 암호계로서, 암호화뿐만 아니라 전자서명이 가능한 최초의 알고리즘으로 알려져 있다. RSA 암호계의 안정성은 큰 수를 소인수 분해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큰 정수의 소인수분해 방법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연구 결과는 모두 실험적이거나 확률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복소 이차체의 order의 류 반군의 구조와 비 가역 이데알의 성질을 이용하여 인수분해를 하지 않으면서 큰 정수의 소인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구성한 다음, RSA 암호계에 대한 결정적 공격법을 제안하기로 한다.

유한체위에서의 타원곡선을 이용한 고속 소인수분해법에 관한 연구 (Fast Factorization Methods based on Elliptic Curves over Finite Fields)

  • 김용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093-1100
    • /
    • 2015
  • RSA 암호법의 안전성은, 덫 문으로 사용되는 큰 정수 N을 소인수분해하는 일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RSA 암호법을 이용하여 암호문을 전달할 때와 그 암호문을 공격할 때에는 합성수를 소인수분해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100자리 이상의 큰 정수 N을 소인수분해하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빠른 알고리즘은 일반 수체 체(General Number Field Sieve, GNFS) 알고리즘이지만, 현대의 공개키 암호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20~25 자리의 수(64.~83 비트)정도의 소인수를 찾아내는 가장 빠른 알고리즘은 Lenstra의 타원곡선법이다. 그러나 Lenstra의 방법은 실행시간의 대부분을 $M{\cdot}P$ mod N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소비하게 되었기 때문에, Montgomery와 Koyama는 $M{\cdot}P$ mod N을 고속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ontgomery와 Koyama의 방법을 분하여, 최적의 매개변수를 선택하고 곱셈횟수를 줄여서 구축한 효율적인 $M{\cdot}P$ mod N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분석결과, Montgomery와 Koyama의 알고리즘보다 제안한 알고리즘이 H/W에서의 구현시간을 약 20% 단축하였다.

정수론에 근거한 확장 RSA 공개키 암호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nded RSA Public Key Cryptosystem Based on the Integral Number Theory)

  • 류재관;이지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83-188
    • /
    • 1998
  • 본 논문은 기존의 RSA 공개키 암호방식을 확장한 확장 RSA공개키 암호 방식을제안하였다. RSA 암호방식의 법 파라메타 p, q를 확장하여 승산 횟수를 증가시켰다. 그 결과 암호해독에 필요한 계산량이 증가되었고 정수론에 기초한 증명을 통하여 RSA 공개키 암호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유한체의 합성체위에서의 고속 연산기 (A Fast Multiplier of Composite fields over finite fields)

  • 김용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89-395
    • /
    • 2011
  • 타원곡선 암호법(ECC)은 RSA나 ElGamal 암호법에 비하여 1/6정도의 열쇠(key) 크기로 동일한 안전도를 보장하므로, 메모리 용량이나 프로세서의 파워가 제한된 휴대전화기(cellular phone), 스마트카드, HPC(small-size computers) 등에 더욱 효과적인 암호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타원곡선 암호법에 많이 사용되는 유한체위에서의 연산방법을 설명하고, Weil의 강하공격법(descent attack)에 안전하면서, 연산속도를 최대화하는 유한체의 합성체를 구축하여, 그 합성체위에서의 고속 연산기를 제안하려고 한다.

개별통신 및 방송통신 시스팀에 적합한 암호방식의 연구 (A Study on the Cryptosystem for Private and Broadcasting Communication System)

  • 이차연;이민수;이만영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1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04-214
    • /
    • 1991
  • 개별통신 및 방송통신시스팀에 적합한 암호방식으로서 동일한 통신시스팀 내에 가입된 모든 이용자의 개별키에 공통으로 대치할 수 있는 마스터키 방식을 적용하였다. 사용된 암호방식으로는 키관리가 편리하고 인중기능이 좋은 RSA 공개키 암호방식을 사용하여 RSA마스터키의 생성법을 제시하고 실제 마스터키를 생성하여 개별암호통신 및 방송암호 통신의 방법을 보였다.

  • PDF

페르마정리에 기반하는 오류 주입 공격에 안전한 classical RSA 암호시스템 (Secure classical RSA Cryptosystem against Fault Injection Attack based on Fermat's Theorem)

  • 서개원;백유진;김성경;김태원;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859-865
    • /
    • 2013
  • 스마트카드, 전자여권 등과 같은 내장형 장치(embedded system) 환경이 늘어나고, 민감한 데이터의 보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부채널 공격에 대한 암호시스템의 안전한 구현이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오류 주입공격은 암호 시스템 구현에 큰 위협 중 하나이며, 하나의 평문-암호문 쌍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안전성이 위협을 받을수 있기 때문에 암호시스템 구현자에 의해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오류 주입 공격을 방지하는 몇몇 기술은 다양한 암호시스템을 위해 도입되었지만 여전히 classical RSA 암호시스템에 적용되는 실질적인 오류 주입 공격 대응책으로는 부족하다. 본 논문은 classical RSA 암호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오류 주입 공격 대응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대응방법은 페르마의 정리를 사용하며 추가 연산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RSA 안전성과 Coppersmith 정리

  • 이희정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3-111
    • /
    • 2007
  • 1997년 Coppersmith는 소인수분해를 모르는 법 N에 대한 합동방정식(modular equation)의 '작은 해'를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동시에 두 변수 다항식의 제한된 크기의 해를 찾는 방법도 격자이론을 이용하여 제안한다. 이러한 Coppersmith의 정리는 이후 암호학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특별히 RSA 암호체계에서 비밀 키를 찾아내거나 일부 비밀 키가 노출되었을 때 전체키를 복원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Coppersmith의 정리를 살펴보고 이것이 RSA의 안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본다.

  • PDF

유한체에서 Boolean 행렬의 복잡도에 관한 연구 (Complexity of Boolean matrices in finite fiels)

  • 조인호;임종인;정석원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2년도 정기총회및학술발표회
    • /
    • pp.131-138
    • /
    • 1992
  • 공용키 암호법의 대표적인 것으로 El Gamal 암호법과 RSA 암호법이 있는데, RAS 암호법은 정수의 인수분해가 어렵다는 것에 안전성을 둔 반면에 El Gamal 암호법은 discrete logarithm을 푸는 것이 어렵다는데 안전성을 두고 있다. (6) 그런데 유한체상의 멱승과 곱셈이 효율적으로 수행이 된다면 El Gamal 암호법이 유용하다는 사살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Copperxmith의 이산로그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n〉1000이 되어야 El Gamal 암호법이 안전성을 보장 받을 수 있으나 이 경우 복잡도의 증가로 인한 gate수의 급속한 증가로 고속연산전용 VLSI 설계시 어려움이 있다. (3) 그래서 본 논문은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정규기저들의 탐색에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 PDF

RSA 암호시스템의 모듈러 승산기 처리속도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Modulus Multiplier Speed-up Throughput in the RSA Cryptosystem)

  • 이석근;정우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17-223
    • /
    • 2009
  • 최근, 다양한 네트워크의 발달은 심각한 사회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진다. 보안과 관련된 이러한 문제들은 해킹, 크래킹과 같은 비 보안분야에 직면해 있다. 새로운 암호알고리즘의 개발없이 해커나 크래커로부터 안전성을 보장받기 위한 방법은 확장된 키 길이를 통한 비 암호해석법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RSA 암호시스템에서 병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가변길이 곱셈, 캐리 생성 부분을 하나의 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몽고메리 곱셈기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러므로 제안된 몽고메리 곱셈기는 크래킹으로부터 안전성을 제공하게 되며 실시간 처리가 가능해질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