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PL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4초

멀티 싱크 기반 IoT 네트워크에서 불필요한 경로 업데이트 문제와 두 가지 해결 기법 (Two Solutions for Unnecessary Path Update Problem in Multi-Sink Based IoT Networks)

  • 이성원;강현우;유홍석;정용환;김동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2호
    • /
    • pp.2450-2460
    • /
    • 2015
  • 최근 IoT(Internet of Thing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IoT의 특징을 고려한 새로운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 및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RPL(IPv6 for Low-Power Lossy Network)는 IoT를 위해 표준화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PL은 싱크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전체로 플러딩 되는 DIO(DODAG Information Object) 메시지를 사용하여 라우팅 경로를 생성 및 관리한다. 그러나,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전체에 DIO 메시지를 전파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싱크 노드 주변에서 데이터 패킷의 병목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라우팅 오버헤드 및 병목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멀티 싱크 기반 접근법이 널리 활용된다. 이 논문에서는 멀티 싱크 기반 IoT 네트워크에 RPL 프로토콜을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경로 업데이트 문제'를 정의하고, 선택적인 경로 업데이트를 위한 2가지 기법인 Routing Metric based Path Update Decision 기법과 Immediate Successor based Path Update Decision 기법을 제안한다.

사물 인터넷 기반 기기 간 통신 무선 환경에서 향상된 RPL 기반 경량화 라우팅 프로토콜 (eRPL : An Enhanced RPL Based Light-Weight Routing Protocol in a IoT Capable Infra-Less Wireless Networks)

  • 오하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10호
    • /
    • pp.357-364
    • /
    • 2014
  • 사물 인터넷 기반 초연결성 통신을 위한 일차적인 과제는 액서스 포인트, 기지국 등의 인프라를 거치지 않는 저전력, 손실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물 인터넷 기기들 간의 직접 통신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저전력 그리고 손실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은 물론 라우터가 한정된 메모리를 사용하는 제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목적지 경로 정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으며 다만 적은 수의 디폴트 라우터 정보만을 유지한다. IPv6주소를 그대로 활용하고 단순히 제어 메시지들의 양만 줄이는 데 초점을 둔 기존 경량화 라우팅 기법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블룸필터 및 향상된 랭크개념을 활용하여 경량화 자동 주소 설정을 포함한 IPv6 이웃노드탐색 기법 및 경량화된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처음으로 사물 인터넷 기반 기기 간 손실 있는 무선 환경을 다양한 확률분포함수를 따르면서 에러가 발생하도록 모델링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했다. 특히, 제안하는 기법은 동적으로 무선 링크가 변하여 데이터 손실이 발생해도 향상된 랭크 정보를 바탕으로 다중 경로 정보를 지역적으로 활용하여 견고성을 높였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RPL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에 비해서 최대 40%까지 성능향상을 보일 수 있었다.

우주왕복선 액체로켓엔진 작동의 최적출력제어 시뮬레이션 (Optimal Output Feedback Control Simulation for the Operation of Space Shuttle Main Engine)

  • 차지형;고상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7-5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다단 연소방식의 액체로켓엔진인 우주왕복선 주 엔진(Space Shuttle Main Engine, SSME)의 제어 알고리즘을 다룬다. 이를 위해 SSME의 각 구성품들을 기준으로 크게 7가지 분류로 나누어 구성하여 수학적 모델링을 하였으며 순항상태 추력을 기준으로 Rated Propulsion Level (RPL)에 따른 정상상태 작동점을 구하였다. 폐루프 시스템을 위하여 순항상태인 RPL 104% 조건에서의 선형모델을 이용하여 최적 출력피드백 LQR 제어기 설계를 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직접유지장치 설계 변화에 따른 하악 후방연장 국소의치 지지조직의 광탄성 응력분석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N THE SUPPORTING TISSUE OF MANDIBULA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VARIOUS DESIGN OF DIRECT RETAINERS)

  • 이창호;김광남;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3-22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developed in supporting structures by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4-types of direct retainer. The direct retainers examined were Akers clasp, RPI clasp, RPA clasp and RPL clasp in bilateral & unilateral free end case. 3-dimensional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was used to record the isochromatic fringe patterns and to calculate the compressive stress at measuring poi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bilateral free end case, RPI clasp exhibited the similar stress distribution on distal and mesial alveolar crest but Akers clasp exhibited higher stress concentration on distal alveolar crest than mesial alveolar crest. 2. In bilateral free end case, RPA clasp and RPL clasp exhibited the similar stress distribution on distal and mesial alveolar crest and RPL clasp exhibited higher stress concentration on buccal alveolar crest than lingual alveolar crest. 3. Akers clasp produced high stress concentration on residual alveolar ridge distally, but RPI clasp, RPA clasp and RPL clasp produced even stress distribution on residual alveolar ridge. 4.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unilateral free end case exerted higher stress on abutment tooth root apex than bilateral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 PDF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the Peppers in Salmonella Assay System

  • Park, Kun-Young;Kweon, Young-Mi;Rhee, Sook-He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40-445
    • /
    • 1995
  •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green pepper(GP), red pepper leaf(RPL), red pepper(RP) and sweet pepper(SP) were examined by the Ames method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The juice supernatants of GP, RPL and RP showed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afltoxin B1(AFB1)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The juice supermatants of GP and RPL also exhibited the inhibitory effects(p<0.05) to the mutagenicities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and 4-nitro-quinoline-1-oxide(4-NQO). The juice of RP showed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indirect mutagen of AFB1, however, the activity was reduced at higher concentration(5.0%), furthermore, as the adding concentration of sample increased to 5.0%, it exhibited slight comutagenicith on direct mutagen of MNNG. Theantimutagenic activities of GP and RPL juices were reduced significantly after heating at 100℃ for 20min, supposing that the antimutagenic compound(s) in the juices were heat labile.

  • PDF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Three Kinds of Strawberries

  • Seleshe, Semeneh;Lee, Jong Seok;Lee, Sarah;Lee, Hye Jin;Kim, Ga Ryun;Yeo, Joohong;Kim, Jong Yea;Kang, Suk Na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203-210
    • /
    • 2017
  •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ree kinds of strawberry ethanol extracts from Robus corchorifolius L. f. (RCL), Rubus parvifolius L. var. parvifolius (RPL), and Duchesnea chrysantha Miq. (DCM) were investigated. The RPL was highest (P<0.05) in phenolic, flavonoid, and anthocyanin conte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RPL and DCM extracts were higher than that of RCL (P<0.05).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of RPL was high compared to DCM and RCL (P<0.05). RCL exhibited a significant (P<0.05) potent antioxidant activity in nitric oxide radical inhibition. Inhibition diameter zone (nearest mm) of extracts against the test bacteria ranged from 11.5 in RCL to 12.5 in DCM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from 10.5 in RCL to 13.5 in DCM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from 8.5 in DCM to 10.5 in RCL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the same inhibition of 10 mm in three of the extracts against Klebsiella pneumoniae. However, there was no inhibition against fungi Aspergillus niger and Candida albicans. Three of the extracts had the sam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values of 12.50, 12.50, and $6.25{\mu}g/mL$ against S. aureus, K. pneumoniae, and S. pneumonia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MIC values of 12.50, 12.50, and $6.50{\mu}g/mL$ were recorded for RPL, DCM, and RCL against E. coli, respectively. The result of present study revealed that extracts from three kinds of strawberries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a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sources for functional food industries.

도깨비부채 잎 추출물의 NF-κB 활성화를 통한 대장암 세포 HCT116에 대한 세포생육 억제활성 (Inhibitory Effect of the Rodgersia podophylla Leave Extracts against Cell Proliferation through Activation of NF-κB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김정동;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60-466
    • /
    • 2020
  • 본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도깨비부채 잎(RPL)은 GSK3β활성화를 통해 IκB-α를 인산화시켜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고 IκB-α분해로 인해 p65 핵내 전이를 유도하여 NF-κB 신호전달을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NF-κB 신호전달 활성화를 통해 대장암의 세포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결과는 도깨비부채 잎을 소재로 항암을 목적으로 한 천연치료제 및 대체보완소재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도깨비부채 잎의 대장암에 대한 세포생육 억제와 작용기전의 정확한 관련성과 세포생육 억제활성 물질 분석을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피나무속(Tilia L.) 식물의 분자 계통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Tilia L.)

  • 부다운;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47-554
    • /
    • 2016
  • 피나무속 식물은 화경의 아래에 부착된 선형의 포를 특징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질은 아욱과의 다른 속과 구분된다. 본 연구는 피나무속의 종간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계통학적 분석은 한국과 일본의 피나무속 10종, outgroup으로 멕시코목화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nrDNA의 ITS와 cpDNA의 trnL-F, rpl32-trnL의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ITS, trnL-F 와 rpl32-trnL의 data를 유합한 결과 계통수는 6개의 분계조로 구성되었다. 구주피나무는 outgroup과 가장 가깝게 나타났다. 피나무 , 뽕잎피나무 그리고 털피나무는 한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연밥피나무, 섬피나무, 일본피나무는 각각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섬피나무는 일본피나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보여주었다. 보리자나무, 찰피나무, 염주나무는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여 서로 근연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RPL에서 DIS 메시지를 이용한 Storing 노드 추가 및 Instance 평준화 기법 연구 (A Study on Storing Node Addition and Instance Leveling Using DIS Message in RPL)

  • 배성현;윤정오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90-598
    • /
    • 2018
  • 최근 사물들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IoT는 홈 네트워크, 헬스 케어, 재난 알림 등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LN(Low Power & Lossy Networks) 특징을 갖는 IoT는 빈번한 센서 노드의 손실이 발생한다. IoT의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인 RPL은 센서 노드의 손실이 발생하면 전체 경로 재설정(Global repair)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지만 낮은 사양의 센서 노드로 인한 빈번한 센서 노드 손실은 잦은 전체 경로 재설정으로 인해 네트워크 성능 저하를 일으킨다. 본 논문에선 Storing mode 센서 노드 선정 이후에도 잦은 경로 재설정 문제로 인한 네트워크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Storing mode 센서 노드의 추가 선정 방법을 제안하고 각 Instance의 전체 경로 재설정 횟수의 평준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Association of Three Polymorphisms in Porcine Ribosomal protein L27a (RPL27A) Gene with Meat-quality Traits

  • Cho, Eun-Seok;Jeon, Hyeon-Jeong;Lee, Si-Woo;Raveendar, Sebastian;Jang, Gul-Won;Kim, Tae-Hun;Lee, Kyung-Ta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6호
    • /
    • pp.509-513
    • /
    • 2013
  • We identified molecular markers associated with meat-quality traits in the porcine RPL27A (ribosomal protein L27a) gene. Thre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discovered in the porcine RPL27A gene: g.920T>C, g.1013T>C, and g.1046T>C. The g.920 T>C SN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H24 (P < 0.05) and collagen (P < 0.05), while the g.1013T>C and g.1046T>C SNP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isture (P < 0.05). Either the TTT or CCC haplotyp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isture, pH24 and collagen (P < 0.05, respectively). The genotypes of RPL27A associated with meat-quality traits were all located in intron 2. The three SNPs of the RPL27A found in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genetic characterization or association studies of meat-quality traits in other populations. Additionally, these markers could potentially be applied in pig breeding programs to improve meat-quality traits after validation in other pop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