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L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6초

대식세포의 혈청으로 식균된 자이모잔의 탐식능에 대한 삼잎국화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Rudbeckia laciniata Extract on Phagocytosis of Serum-Opsonized Zymosan Particles in Macrophages)

  • 김준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1-346
    • /
    • 2016
  • Phagocytosis is a primary and an essential step of host defense, and is triggered by the interaction of particles with specific receptor of macrophag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s of Rudbeckia laciniata (RLE) on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 by monitoring the phagocytosis-associated signal transduction. RLE markedly increased phagocytosis of serum-opsonized zymosan particles (SOZ), while phagocytosis of IgG-opsonized zymosan particles (IOZ) or none-opsonized zymosan particles (NOZ) remained unaffected. However, RLE did not affect the binding of opsonized zymosan particles (OZ) with the cell surface of macrophage. This suggests that RLE may regulate SOZ-induced intracellular signaling during phagocytosis of macrophage. To confirm this hypothesis, we investigated whether RLE was involved in the RhoA-mediated signal transduction during phagocytosis of SOZ. Inhibitors of the RhoA-mediated signaling pathway, such as Y-27632 (for ROCK), ML-7 (for MLCK), and Tat-C3 (for RhoA), totally blocked phagocytosis of SOZ enhanced by RLE, as well as phagocytosis of SOZ. Additionally, RhoA activity was markedly increased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RLE, suggesting that RLE could increase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 via RhoA-ROCK/MLCK signal pathway. Thus, RLE may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s for immunity.

Antibacterial Activity of Coffea robusta Leaf Extra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Yosboonruang, Atchariya;Ontawong, Atcharaporn;Thapmamang, Jadsada;Duangjai, Acharapor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8호
    • /
    • pp.1003-101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tochemical compound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ffea robusta leaf extract (R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lorogenic acid (CGA) is a major component of RLE.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RL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6.25, 12.5, 12.5, and 12.5 mg/ml, respectively. RLE effectively damages the bacterial cell membrane integrity, as indicated by the high amounts of proteins and nucleic acids released from the bacteria, and disrupts bacterial cell membrane potential and permeability, as revealed via fluorescence analysis. Cytotoxicity testing showed that RLE is slightly toxic toward HepG2 cells at high concentration but exhibited no toxicity toward Caco2 cell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RLE has excellent potential applicability as an antimicrobial in the food industry.

뇌 CT 영상의 대칭성을 고려한 관심영역 중심의 효율적인 의료영상 압축 (An Efficient Medical Image Compression Considering Brain CT Images with Bilateral Symmetry)

  • 정재성;이창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9-54
    • /
    • 2012
  • 오늘날 의료정보화 수준향상과 디지털 병원화의 흐름에 따라 PACS는 의료기관의 핵심 인프라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이와 함께 생산되는 디지털 의료영상의 종류 및 의료영상 데이터가 양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의료영상 데이터의 효과적인 보관을 위한 의료영상 압축을 중요한 요소로 부각시킨다. 현재 의료영상에 관한 사실상의 표준인 DICOM 규격에서는 의료영상 압축을 위하여 무손실 압축기법인 RLE를 명시하고 있으나, 무손실 범용 압축기법인 RLE는 인체의 대칭성을 가지는 많은 의료영상에 적용하면 높은 압축율 기대하기 힘들다.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의료영상 중 대칭 특성을 크게 내포하는 뇌 CT 영상을 대상으로 하여 영상 내 관심영역을 검출하고 대칭특성에 따라 영상의 픽셀 값을 재코딩하는 전처리 하고 영상을 압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에 의하면, 제안한 기법은 RLE 압축과 영상 내 관심영역을 검출하지 않고 압축할 때와 비교하여 높은 압축률을 보인다.

금앵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억제 효과와 그 메커니즘 규명 (Inhibitory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Rosae laevigata Fructus Ethanol Extracs)

  • 정현영;정인교;남소연;윤희정;김병우;권현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9-97
    • /
    • 2016
  • 비만은 체내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당뇨,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암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RLE에 의해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 시, 세포 내 축적되는 Triglyceride 저해 및 발현되는 전사인자들의 발현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RLE는 Oil Red O 염색에서 세포 내 triglyceride의 축적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C/EBP) ${\alpha}$, ${\beta}$와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PPAR{\gamma}$)과 같은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RLE는 clonal expansion 단계의 지방세포를 G1기에서 세포 주기를 정지시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RLE 처리에 의해 p21의 증가, Cyclin E, Cdk2, Phospho-Rb의 발현 저해 등 G1 arrest 관련 단백질의 발현 변화가 유도되었다. 따라서, RLE는 분화 관련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고 지방세포 분화 초기에 G1기의 세포 주기 정지를 억제함으로써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한다고 사료된다.

니블 RLE 코드에 의한 비트 맵 데이타의 압축과 복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Bit Map Data by NibbleRLE Code)

  • 조경연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6호
    • /
    • pp.857-865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한글 비트 맵 폰트와 프린터 데이타의 실시간 압축과 복원에 적합 한 니블 RLE(Run Length Encoding)코드를 제안한다. 제안한 코드를 명조체와 고딕체 완성형 한글 폰트와 프린터 출력 데이타에 적용하여 압축율이 좋음을 보인다. 그리고 압축과 복원을 분리하여 각각 하나의 ASIC(주문형 반도체)으로 설계하고 CAD상에서 시뮬레이션하여 동작을 확인한다. ASIC은 0.8 미크론 CMOS 게이트 어레이로 설계하여 약 2,400 게이트가 소요되었으며 25MHz 클럭으로 동작 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코드는 간단한 하드웨어로 최고 100M bit/sec로 압축 및 복원을 수행하여 실시간 응용에 적합 하다.

  • PDF

RLE 압축 기법을 이용한 저장 시스템 (Storage systems using RLE compression)

  • 김경옥;김종찬;반경진;허수연;김응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86-688
    • /
    • 2010
  • 최근에는 주변 환경에 전자태그 및 센서를 부착하고 부착된 센서를 통한 상황 정보가 활용 되면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SN/RFID 단말 장치 중에서 연속적인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지는 센서에 대해서 RLE(Run Length Encoding)압축 방식을 응용한다. 데이터에는 시간 정보를 마킹하여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 다음에 저장한다. 연속적인 데이터에 시간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원하는 시간 및 특정 장소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안에 찾을 수 있도록 저장 기법을 제안한다.

  • PDF

비파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s)

  • 이경인;김선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67-273
    • /
    • 2009
  • 전처리와 추출용매에 따른 비파 잎의 항산화활성 비교에서, 열수 추출물보다 80% ethanol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특히, RLE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SC_{50}$이 1.71 mg/mL로 가장 강한 효과를 보였으며, nitric oxide 소거능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total phenolic compound와 total flavonoid 함량 측정에서 각각 215.4mg/g, 110.3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결과와 상당한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 조건별로는 건조를 실시하지 않은 RL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FL과 DL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열수 추출물 가운데에서 FLW가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다른 열수 추출물(RLW, DLW)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가열건조와 동결건조 한 시료를 비교하면 FL이 DL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는 비파 잎을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할 경우 생잎을 바로 이용하는 것이 가장 높은 활성을 기대할 수 있지만 불가피하게 건조를 해야 할 경우 가열건조보다는 동결건조를 선택하는 것이 생리활성물질의 보존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FL의 추출수율을 함께 고려할 경우 항산화 활성은 RL보다 다소 낮지만 추출수율은 RL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으므로 동결건조가 유리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와 함께 항균활성 실험에서는 RLE가 거의 모든 균주에 대해서 가강 강한 생육저해 활성을 보였다. 다만 건조를 실시한 시료의 경우 MRSA와 S. aureus 균주에 대해서 FL이나 DL 모두 열수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항균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함께 비파 잎 추출물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MRSA에 대해서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것은 비파잎을 활용한 천연 항균물질 개발 가능성을 밝게 하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각 추출물의 세포독성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MTT assay 이용한 Raw 264.7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RLE가 가장 양호한 세포보호 효과를 보였으며, 80% ethanol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열수 추출물보다 낮아 세포보호효과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비파 잎을 항산화 및 항균성 소재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RLE가 가장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건조의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경우에는 가열건조보다는 동결건조를 이용하는 것이 생리활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아라키돈산과 철 유도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금앵자(金櫻子) 열수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효능 (Water Extract of Rosa laevigata Michx. Protects Hepatocytes from Arachidonic Acid and Iron-mediated Oxidative Stress)

  • 고해리;제갈경환;송시연;김난이;강지원;변성희;김영우;조일제;김상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15
    • /
    • 2015
  • Objectives : Rosa laevigata Michx.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renal disease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ytoprotective effect of R. laevigata water extract (RLE)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arachidonic acid (AA) + iron.Methods :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RLE against AA + iron-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 cell viability and changes on apoptosis-related proteins were assessed by MTT and immunoblot analyses. The effects of RLE on reduced glutathione level,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were also monitored. Furthermore, to verify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NF-E2-related factor 2 (Nrf2) was examined by immunoblot analysis. Additionally, Nrf2 transactivation and its downstream target genes expression were also determined by reporter gene and realtime RT-PCR analyses.Results : RLE pretreatment (30-300 μg/ml) prevented cells from AA + iron-mediated cell death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addition, 100 μg/ml RLE inhibited AA + iron-induced glutathione depletion,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RLE accumulated nuclear Nrf2 and also transactivated Nrf2, which was evidenced by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2-driven luciferase activities and mRNA level of glutamate-cysteine ligase catalytic subunit,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 and sestrin 2. Moreover, protective effect of RLE against AA + iron was abolished in Nrf2 knockout cells.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LE has the ability to protect hepatocyte against oxidative stress through Nrf2 activation.

삼잎국화 추출물의 피부세포 생리활성 효과 (Effect of Rudbeckia laciniata Extract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HaCaT Cells)

  • 김준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5-340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obtain vitamin, mineral, flavonoid, and polyphenol profiles of Rudbeckia laciniata (RL),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extract of RL (RLE) on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aCaT keratinocyte for the utilization of RL as natural raw materials to develop functional food.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hecked the contents of the general nutrients of RL. The contents of vitamin A, vitamin $B_1$ and vitamin $B_2$ were $7.49{\mu}g/g$, $51.96{\mu}g/g$, and $132{\mu}g/g$ respectively, while vitamin C and vitamin $D_3$ were not detected. The contents of mineral such as Ca, K and Fe were 2.01 mg/g, 6.06 mg/g and 0.03 mg/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of RLE were 0.25 mg/g, and total polyphenol were estimated as 1.43 mg/g. Because RL contains high levels of vitamin A which is associated with skin aging,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LE on physiological function of keratinocytes with respect to skin aging. We found that RL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rowth rate of HaCaT cells and reduced ultraviolet radiation B (UVB)-induced cellular toxicity. Also, the extract of Rudbeckia laciniata attenuated the UVB-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aCaT cells. In addition, treatment with the extract dose-dependently increased migration activity of HaCaT cells. Thu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RLE could regul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keratinocytes, and may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s.

Fast Algorithms for Binary Dilation and Erosion Using Run-Length Encoding

  • Kim, Wook-Joong;Kim, Seong-Dae;Kim, Kyu-Heon
    • ETRI Journal
    • /
    • 제27권6호
    • /
    • pp.814-817
    • /
    • 2005
  • Fast binary dilation and erosion algorithms using run-length encoding (RLE) are proposed. RLE is an alternative way of representing a binary image using a run, which is a sequence of '1' pixels. First, we derive the run-based representation of dilation and erosion and then present the full steps of the proposed algorithms in deta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