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RESTORATION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32초

물리서식처 모의를 이용한 구하도 복원이 피라미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 평가: 청미천 연구 사례 (Evaluation of the Impact of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on Zaco platypus habitat using the Physical Habitat Simulation: A Case Study of the Cheongmi-cheon Stream in Korea)

  • 김승기;최성욱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2호
    • /
    • pp.101-10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물리서식처 분석을 이용하여 구하도 복원에 따른 어류서식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청미천의 1.2 km 구간이다. 연구 대상 지역에서 구하도 복원은 2012년 7월 부터 2015년 12월 까지 수행되었다. 복원 전과 후에 대하여 물리서식처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수리해석을 River2D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서식처분석을 위하여 서식처 적합도 지수 곡선을 이용하였다. 대상어종은 연구대상지역의 우점종인 피라미를 선정하였다. 복원 전과 후의 조건에 대하여 다양한 유량에 대하여 수리해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구하도가 복원 되기 전과 후의 조건에서 복합 서식처 적합도 지수와 가중가용면적을 계산하였으며, 피라미의 물리서식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의 결과 구하도가 복원될 경우 어류의 서식처 영역이 증가되었으며, 큰 유량에 대하여 서식처의 감소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ECOLOGICAL RESPONSE OF STREAMS IN KOREA UNDER DIFFERENT MANAGEMENT REGIMES

  • Lee Chang-Seok;Cho Yong-Chan;Shin Hyun-Cheol;Moon Jeong-Suk;Lee Byung-Cheon;Bae Yang-Seop;Byun Hwa-Geun;Yi Hoon-Bok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6권3호
    • /
    • pp.131-147
    • /
    • 2005
  • Today, a trend that tries to return the artificial space of a river to a natural one is expanding. But in Korea, which lies in the monsoon climate zone, rivers endure flood damage every year. Moreover, climatic change from global warming causes severe variations in precipitation patterns. Until recently, river restoration practices in Korea have followed partial restoration. These restorative treatments transformed artificial structures of the stream to natural ones and introduced natural vegetation by imitating natural or semi-natural streams. Treatment transformed the riparian structure and increased the diversity of micro-topography and vegetation. Furthermore, restoration recovered species composition, increased species diversity, and inhibited the establishment of exotic species. In particular, the Suip stream, which was left to its natural process for approximately 50 years, recovered its natural features almost completely through passive restoration. An urban stream, the Yangjae, and a rural stream, the Dongmoon, were restored partially by applying ecological principles. On the contrary, technological treatment applied to recover flood damage induced species composition far from the natural vegetation and decreased species diversity. Additionally, this treatment increased exotic species. The same results were found also in benthic invertebrate and fish fauna. The above-mentioned results reflect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considerations in river management.

  • PDF

자연하천에서 하도의 물리적 특성과 하상재료의 상관관계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o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Bed Materials in Natural Rivers)

  • 김기흥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5-10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stream characteristics and bed materials in natural rivers. Accordingly, four natural rivers were selected reference streams, they were Nam river, Sumjin River, Naesung River and Han River. Grain size distributions of bed materials were gravels, cobbles and boulders in Han river and Nam river, were sand, gravels, cobbles and boulders in Sumjin river and were sand in Naesung river. Four reference streams were divided into each two reference reaches (straight and bend) by plan and profile characteristics of naturally meandering stream. Therefore various reference reaches were chosen in the aspect of physical stream characteristics and grain size distributions. The results investigated and analyzed are as follows. The streams that grain sizes distributions of river bed materials were coarse were stable because they had variety of bed slope without sediment deposition, and then the riffles frequency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various. Also, velocitydepth regime were various in four kinds, and the response parts for water level change were small, so that channel flow status were stable and excellent condition. On the other hand, sand river that grain sizes distributions of river bed materials were fine had not the variety of parameters as velocity-depth regimes, sediment deposition, channel flow status and riffles frequency, so that the physical stream characteristics were not various.

하안돌출부를 이용한 완만한 사행수로 형성을 위한 연구 (Application for the Formation of Mild Meandering Channel Using the Spur of Riverbank)

  • 박현기;한만신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18-126
    • /
    • 2014
  • In this study, the use of the spur of riverbank technique is being investigated. The spur of the riverbank typically reduces the velocity of flow and protects the embankments by increasing friction along the water and the banks. This also has an effect in the rise of water level upstream. It is also used for the rectification of riverside line and restoration of the waterway through sedimentation near the spur of the riverbank. In this study, physical-scaled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reating a mild meandering channel using the spur of the riverbank with varying water flows and sedimentation functions. The hydraulics observations are taken with respect to the varying heights and length of the riverbank's spurs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spur for the formation of the mild meandering channel. It is observed that for 1.06 times of the meander length, it requires 2 times of the interval with each spur of river width. Similarly, 1.25L times of the meander length, it requires 0.5 times of the interval with each spur of river width. The sand accumulation is induced by the spur of riverbank when the spur of riverbank's heights are more than 40% of water depth and the length of the spur of riverbank needs under than 20% of river width for avoid exaggerated sand accumulation in the center of channel.

  • PDF

하천 내 횡적 연결성 회복을 통한 흐름 해석 (Flow Analysis Based on the Recovery of Lateral Connectivity in the River)

  • 이진우;전승훈;김규호;김창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3-220
    • /
    • 2014
  • 최근 하천정비는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이수 및 치수뿐만 아니라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쪽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천환경 또는 하천복원이 하천사업의 핵심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하천이 치수목적의 하천정비에 의해 홍수조절과 주운을 돕기 위해 직강화 되었다. 하도를 직강화 할 경우 안정성 유지가 중요하므로 하천을 따라 제방이 축조된다. 이와같이 이수와 치수를 목적으로 하천에 축조된 댐, 보, 제방 및 수문 등과 같은 구조물의 경우, 하천의 종 횡적 연결성(Connectivity)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연결성이란 어떤 서식처에서 다른 서식처로 에너지와 물질을 이동시키거나 자연적인 수로를 통하여 서식처 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동적인 자연통로로써 장기적인 하천복원관점에서 볼 때 연결성 증대는 유역 내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횡적 연결성 회복을 통한 하천복원의 첫 번째 단계로써 연결성에 대한 기본개념을 설명하고 대상유역을 선정하여 연결성을 저해하는 격리, 차단 공간의 유무에 따른 유역 내 흐름양상의 변화를 수치모의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역 내 수리수문연결기술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차후 하천복원사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생태하천 복원 및 관리방향에 관한 연구 (Eco-river Restoration and River Management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강형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55-16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물리, 화학, 생물학적의 복합적인 평가요소를 이용하여 수생태 관련 기후변화 취약구간을 선정하였다. 먼저 SWAT 모형을 이용하여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각 소유역별로 유출량, 유사량, 갈수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또한 환경부의 수질 측정망과 수생태 건강성 측정 지점이 서로 일치하는 48개 지점을 대상으로, BOD 및 TP 등의 수질 데이터와 IBI, KSI의 수생물 데이터를 평가에 반영하였다. 한편, 미래 기온 상승에 따른 낙동강 유역 하천에서의 수온 상승 폭을 예측하였고, 이로 인한 수생물 서식처 영향을 분석하여 평가에 반영하였다. 각 평가요소를 종합하여 가장 취약한 상위 10개 지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하천 생태복원을 위한 취약구간 평가 및 종합적인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각 하천 특성에 맞는 하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하천차수를 고려한 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unoff Estimation Considering Stream Order)

  • 최종인;강상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7-27
    • /
    • 2005
  • 본 연구는 Horton의 하천차수 구분방법으로 대상유역을 분할하고 하천차수별 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등고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유역 하도망과 같은 유역의 지형량을 자동적으로 도출하였으며, 등고선 데이터를 모형화하여 하천 차수에 따른 강우 유출량을 해석하였다. 하천 차수별 첨두유출량을 계산한 결과, 1차 하천까지를 모두 고려한 유출량이 실측치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등고선 모형은 향후 소유역별 하천 복원계획의 수립시 유효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시계열 영상정보를 이용한 하천 지형태 변화 검토 (Examination of Topographical Shape Change in River using Time-series Aerial Photo)

  • 이근상;이현석;황의호;이을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36-2140
    • /
    • 2008
  • 최근 환경생태학적 하천관리가 중시되면서, 하천의 지형태를 고려한 하천복원 및 관리업무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갑천과 유등천의 지형태 변화를 검토하였다. 특히 보나 교량과 같은 하천시설물이 새로 설치되거나 해체된 지점, 그리고 갑천과 유등천이 합류되는 지점을 선정하여 시계열별로 유량의 변화 및 물의 흐름방향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물의흐름 특성에 의한 퇴사의 양상도 함께 검토함으로서 도심하천의 유지수량 및 환경생태학적 하천복원 업무 수행시 중요한 의사결정자료로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하천복원을 위한 버드나무속 식물의 내침수성 실험 연구 (Study on Flooding Tolerance of Salix Spec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 김은진;강준구;여홍구;김종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7-333
    • /
    • 2014
  • 하천 생태 기능 증대 등 하천복원을 위한 식생 조성 시 내침수성이 강한 식물을 도입해야 하며 이를 위해 침수기간에 따른 하천식물의 생육특성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드나무속 식물을 대상으로 식물키, 엽수, 녹색정도, 건중량 등을 측정하여 내침수성 및 침수기간에 따른 성장률을 분석하였으며 탁수에 의한 침수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 중 내침수성이 가장 강한 식물은 버드나무이며 정수 상태의 침수는 고탁수 침수보다 고사 가능성이 매우 낮았다. 또한 버드나무속 식물은 20일 이하의 침수 시 비침수 조건보다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