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M

검색결과 6,321건 처리시간 0.044초

안경테의 Rim-Lock 전기용접의 자동화 (Atomation of Glasses frame Rim-Lock electric welding)

  • 김지영;송광현;정길도;한경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2-28
    • /
    • 1998
  • 우리 나라 안경테 제조 산업은 대부분의 부품 조립과 용접 과정이 작업의 부정확성과 인력수급의 부족으로 자동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경테의 Rim과 Lock의 전기 용접과정을 자통화하기 위해 Rim-Lock 전기 용접기를 설계하였다.Rim-Lock 전기 용접기는 Lock올 공급하기 위한 원형공급기와 직 진공급기. Rim과 Lock을 용접하기 위한 holder. 은납 공급장치 퉁으로 구성되고 주 컨트롤러는 확장성이 좋은 V55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였다. 제어프로그램은 C언어를 이용하였으며, 코딩과 프로그랭의 수정 및 보완이 편리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Rim-Lock 전기 용접기를 이용한 실제 용접시 Rim-Lock의 모양이 항상 일정하였고 계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므로 생산력이 향상된다.

  • PDF

Simulation of Pore Interlinkage in the Rim Region of High Burnup $UO_2$Fuel

  • Koo, Yang-Hyun;Oh, Je-Yong;Lee, Byung-Ho;Cheon, Jin-Sik;Joo, Hyung-Koo;Sohn, Dong-Seo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55-63
    • /
    • 2003
  • Threshold porosity above which fission gas release channels would be formed in the rim egion of high burnup UO$_2$ fuel was estimated by the Monte Carlo method and Hoshen-Kopelman algorithm. With the assumption that both rim pore and rim grain can be represented by cube, pore distribution in the rim was simulated 3-dimensionally by the Monte Carlo method according to porosity and pore size distribution. Then, using the Hoshen-Kopelman algorithm, the fraction of open rim pores interlinked to the outer surface of a fuel pellet was derived as a function of rim porosity. The simulation showed that porosity of 24-25% is the threshold above which the number of rim pores forming release channels increases very rapidly. On the other hand, channels would not be formed if the porosity is less than about 23.5%. This is consistent with the observation that, for porosity less than 23.5%, almost no fission gas is released in the rim. However, once the rim porosity reaches beyond 25%, extensive open paths would be developed and considerable fission gas release would start in the rim.

Cu/Sn Rim 본딩을 이용한 MEMS 패키지의 Cap 형성공정 (Cap Formation Process for MEMS Packages using Cu/Sn Rim Bonding)

  • 김성규;오태성;문종태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39
    • /
    • 2008
  • 캐비티 형성이 불필요한 MEMS 캡 본딩을 위해 전기도금법을 이용하여 Cu/Sn rim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25{\sim}400{\mu}m$ 범위의 rim 폭에 따른 본딩특성을 분석하였다. Cu/Sn rim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rim 패키지 내부의 유효 실장면적비가 감소하는 반면에 파괴하중비가 증가하며, Cu/Sn rim 폭이 150 ${\mu}m$일 때 유효 실장면적비와 파괴하중비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폭 25 ${\mu}m$ 및 폭 50 ${\mu}m$인 Cu/Sn rim 접합부에서는 모든 계면에서 본딩이 이루어진 반면에, 100 ${\mu}m$ 이상의 폭을 갖는 rim 접합부에서는 Sn 도금표면의 거칠기에 의해 본딩이 이루어지지 않은 기공 부위가 관찰되었다.

  • PDF

Effect of overpressurization on rim porosity in the high burnup $UO_2$ fuel

  • Lee, Byung-Ho;Koo, Yang-Hyun;Sohn, Dong-Seong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67-73
    • /
    • 1997
  •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overpressurization of rim pores due to dislocation punching, the total pressure exerted on the rim pores is estimated. Then this concept is combined with the assumption that all the fission gases produced in the rim region are retained in the rim region to calculate the rim porosity. Rim porosities calculated in this way are compared with measured data, which produces reasonable agreement. Finally a correlation for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rim region is obtained using the hypothesis that the rim region consists of pores and fully dense material of UO$_2$.

  • PDF

알칼리 자극제(刺戟劑)에 의해 고로(讀爐) 수쇄(水碎) 슬래그의 주위(周圍)에 형성(形成)된 Reaction Rim의 특성(特性) (Properties of Reaction Rim on Blast Furnace Slag Grain with Alkali Activator according to Hydration Reaction)

  • 이승헌;문영범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3호
    • /
    • pp.42-48
    • /
    • 2009
  • 고로 수쇄 슬래그에 알칼리 자극제(NaOH+$Na_2O.SiO_2$)를 첨가한 계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반응과 다르게, 수화반응 초기에 높은 농도의 $OH^-,\;[SiO_4]^{4-}$ 이온이 존재하게 되므로, 유도기가 없이 수화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며, 슬래그 입자 주위에 수화물에 의한 reaction rim을 형성한다 반응기간 1일부터 고로 수쇄 슬래그 입자 주위에 $0.6{\mu}m$의 reaction rim이 형성되었고, 반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reaction rim의 두께는 증가하여 28일에 $1{\mu}m$으로 성장하였으며, 미반응 고로 수쇄 슬래그 입자는 각진 형태에서 구형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슬래그 입자의 내부로부터 reaction rim으로 갈수록 Ca/Si의 몰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었다. 그리고 반응기간이 경과할수록 슬래그 입자 내부와 reaction rim간의 Ca/Si 몰비 차이는 작아졌으며, 생성된 수화물은 저결정성의 Ca/Si 몰비가 1.5 미만인 CSH(I)이었다.

Ground Radiation Antenna for Mobile Devices Using Controlled Endless Metal Rim Mode

  • Jeon, Jihwan;Qu, Longyue;Lee, Hongkoo;Kim, Hyeongdong
    • ETRI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180-187
    • /
    • 2018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ground radiation antenna that uses controlled endless metal rim modes. In the proposed technique, the metal rim mode is tuned and excited as a one-wavelength radiator by a small ground radiation antenna. The proposed antenna occupies a clearance of $1mm{\times}4mm$ in a $30mm{\times}20mm$ ground plane. A metal rim with dimensions of $34mm{\times}24mm$ surrounds the ground plane, and the metal rim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plane by a gap of 2 mm. In addition, a lumped capacitor is inserted between the metal rim and the ground plane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 mode of the metal rim such that the resonance of the metal rim is tuned to be equal to the operating frequency. By performing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ntenna with that of a reference antenna that does not have an inserted capacitor between the metal rim and the ground plane. The results show that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radiation performance is obtained by employing the proposed technique.

GENERALIZATION OF THE SCHENSTED ALGORITHM FOR RIM HOOK TABLEAUX

  • Lee, Jaejin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4권3호
    • /
    • pp.469-487
    • /
    • 2016
  • In [6] Schensted constructed the Schensted algorithm, which gives a bijection between permutations and pairs of standard tableaux of the same shape. Stanton and White [8] gave analog of the Schensted algorithm for rim hook tableaux. In this paper we give a generalization of Stanton and White's Schensted algorithm for rim hook tableaux. If k is a fixed positive integer, it shows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all generalized hook permutations $\mathcal{H}$ of size k and all pairs (P, Q), where P and Q are semistandard k-rim hook tableaux and k-rim hook tableaux of the same shape, respectively.

안경테의 프론트 설계 방법에 대한 연구 - 림(Rim) 설계 방법 중심으로 - (A Study about How to Design the Rim of Spectacle Frame - Focused on the DESIGN Method of the Rim -)

  • 강민수;김인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42
    • /
    • 2008
  • 목적: 현재 안경은 의료 도구와 패션 경향의 목적 등 사람의 신체에서 분리할 수 없는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안경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 하나는 신체의 일부분에 반드시 착용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안경테가 사용자의 편안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충족되어야 하며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안경테 설계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사용자의 착용감 향상과 더불어 쾌적한 시야 확보를 위한 요소에 맞는 안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안경 제조시 안경광학을 기초하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제조자의 감성에 의지하는 제조 방법으로는 올바른 안경테를 만들 수 없다. 부정확한 기준으로 만든 안경테는 안경 착용자의 눈에 원시나 근시, 난시등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방법: 본 논문은 안경테 설계 중 가장 중요한 림(Rim) 설계를 안경 광학적 요소를 이용하여 자세하게 설명 하고 제조자와 안경광학 관련 종사자들이 정확한 사실을 인식 하고 인지 하 여 안경의 선택 및 제조 기준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결과, 결론: 세계국제표준화기구(ISO) 에서 명시된 안경테의 명칭에 대하여 일부 안경테 제조업 종사자들의 잘못된 해석으로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는데 그 중 림(Rim) 과 연계 된 브리지(Bridge)에 관한 사항들을 바르게 해석하여 한국에서 제조하는 안경테들이 외국의 동종 제품과 경쟁하여 불리한 입장에 서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징악기의 RIM 깊이에 따른 음향 증폭 및 음향 지속 시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und Amplitude and Decaying Time of the Jing Depending on the Depth of Rim)

  • 손정호;배명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24-433
    • /
    • 2004
  • 징은 한국의 전통국악기 가운데 대중들에게 가장 친근한 사물놀이 악기중의 하나이다. 이 사물 악기 가운데 징 악기의 소리는 웅장하고 부드러우며 아름다운 긴 여운의 소리를 갖고 있어서, 사물놀이 연주 시 다른 사물악기들의 연주음을 감싸주는 역할을 한다. 징의 재질은 동과 주석을 78:22의 비율로 합금한 유기(놋쇠) 제품으로 만들 때는 방짜유기로 만든다. 구조는 직경 $39{\~}40cm$인 둥근 원판과 깊이가 $7.0{\~}7.5cm$로 된 림(Rim:전두리)으로 되어 있다. 징 악기를 연주 할 때 원판의 가운데를 치면 이를 지지하고 있는 RIM이 함께 공명을 일으켜서 만곡면의 원판 소리보다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낸다. 그래서 징은 RIM의 두께와 깊이에 따라서 새로운 공명 주파수를 만들고 음의 지속시간도 변화 시키고 있다. 즉 본 실험 연구 결과, 온전한 Rim의 징소리의 주요 주파수 범위는 $118{\~}336[Hz]$로서 약 20초간 지속되며, Rim을 반으로 짜른후의 징소리의 주파수는$139.9{\~}387.5[Hz]$로 높아지고, 울림이 10초간 지속되며, Rim을 완전히 제거된 징소리의 주파수는 $990.5{\~}1,372[Hz]$로 점 점 높아지며 소리의 지속 시간은 5초로 줄어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만곡 면으로 된 원판을 지지하고 있는 징의 Rim 두께와 깊이의 따라 징소리의의 세기를 나타내는 진폭과 징소리 긴 여운의 지속 시간이 변동되는 관계를 알 수 있었다.

Threshold burnup for recrystallization and model for rim porosity in the high burnup $UO_2$ fuel

  • Lee, Byung-Ho;Koo, Yang-Hyun;Sohn, Dong-Seong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279-284
    • /
    • 1998
  • Applicability of the threshold burnup for rim formation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by Rest's model. The threshold burnup was the lowest in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region, while on the other temperature regions the threshold burnup is higher. The rim porosity was predicted by the van der Waals equation based of the rim pore radius of 0.75${\mu}{\textrm}{m}$ and the overpressurization model on rim pores. The calculated centerline temperature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temperature. However, more efforts seem to be necessary for the mechanistic model of the rim effect including rim growth with the fuel burn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