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GR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8초

마의 생장해석(生長解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Quantitative Growth Analysis in Yam(Dioscorea spp.))

  • 조지형;이승필;오세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2-372
    • /
    • 2000
  • 마의 고품질 다수확 괴경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품종선발 기준을 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세 가지 재배종에 대한 경시적인 생육특성에 대한 생장해석을 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의 초장과 엽수, 측지수 등의 경시적인 변화는 일반적인 S자의 생장곡선을 나타내었고 지하부의 근장, 근경과 생근중은 생육기간이 진전됨에 따라 8월 하순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2. 지하부의 특성을 보면 둥근마는 분기가 전혀 없으며 괴경장은 장마가 가장 길고 괴경폭은 둥근마가 가장 크며 형태적으로 둥근 형태를 보였다. 생체수량성은 단마가 가장 높아 2,123kg/10a를 보였고, 둥근마는 건조비율이 높아 가공용으로 유망시 되었다. 3. 각 기관별 RGR은 정식후 86일경에 신생마와 줄기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NAR은 생육초기에 극대값을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으며, LAI는 세 가지 재배종 모두 156일경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CGR은 156일경에 공시 재배종 모두 최대치를 보였다. LAR의 변화는 둥근마는 86일경부터 단마는 106일, 장마는 136일경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LW의 변화는 둥근마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장마와 단마는 변화의 폭이 적었다.

  • PDF

소나무 묘목(苗木)의 생장(生長), 영양상태(營養狀態) 및 가스교환속도(交換速度)에 미치는 Al과 Mn의 영향(影響) (Effects of Al and Mn on the Growth, Nutrient Status and Gas Exchange Rate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 이충화;진현오;김영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74-82
    • /
    • 2001
  • Al과 Mn을 여러가지 농도로 조정한 배양액을 채운 포트에 소나무(Pinus densiflora) 2년생 묘목을 이식하여 수경재배법에 의해 90일간 온실내에서 육성한 후 소나무 묘목의 생장, 영양상태 및 가스교환속도에 미치는 Al과 M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액의 Al농도는 4수준(0, 10, 30, 60ppm)으로 처리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Al처리에 Mn농도를 3수준(0, 30, 60ppm)으로 처리하여 총 12처리구의 2요인배치법(two-factor design)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Al과 Mn은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에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s)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에 대한 Al과 Mn의 각각의 단독영향(main effects)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은 Al은 10ppm이상, Mn은 60ppm의 농도에서 생장저하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에 대한 Al의 독성이 Mn에 비해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뿌리의 암호흡속도는 Al의 경우 60ppm에서, Mn의 경우는 30ppm이상의 농도에서 저하하였다. 또한, 크로로필함량에 있어서는 Al의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60ppm의 Mn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배양액의 Al과 Mn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소나무 묘목의 상대생장율(RGR) 및 순동화율(NAR)이 저하하였으며, 이는 광합성 효율의 감소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비록 본 연구결과는 수경재배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이지만, 장래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산성강하물에 의한 수목피해 예측 및 산성화된 토양의 임지에서도 이와 유사와 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미국 리오 그란데 리프트 페리도타이트 포획암의 미구조와 유체포유물에 기록된 상부맨틀의 불균질성 (Upper Mantle Heterogeneity Recorded by Microstructures and Fluid Inclusions from Peridotite Xenoliths Beneath the Rio Grande Rift, USA)

  • 박문재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3호
    • /
    • pp.273-281
    • /
    • 2022
  • 맨틀 불균질성은 지구 내부의 휘발성 성분의 분포 및 순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맨틀에서 휘발성 물질의 거동은 규산염암의 유변학적 특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상부맨틀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미구조와 유체포유물의 형태로 맨틀 포획암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리오 그란데 리프트 지역에서 산출되는 페리도타이트 포획암의 미구조와 유체포유물의 특성과 관련된 이전 연구결과들을 요약 및 리뷰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지역의 상부맨틀의 진화과정과 불균질성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리오 그란데 리프트에서 맨틀 포획암이 산출되는 지역은 크게 리프트 중심부인 리프트 축(rift axis) 지역(EB: Elephant Butte, KB: Kilbourne Hole)과 리프트 연변부인 리프트 측면(rift flank) 지역(AD: Adam's Diggings)으로 나눠진다. 전자(EB 및 KB 페리도타이트)의 경우 응력이 낮고 물함량이 적은 조건에서 형성되는 type-A 격자선호방향이 보고되었고, 후자(AD 페리도타이트)의 경우 응력이 낮고 물함량이 많은 조건에서 형성되는 type-C 격자선호방향이 보고된 바 있다. 특히, AD 페리도타이트의 경우 초기(type-1: CO2-N2) 및 후기(type-2: CO2-H2O)와 같은 최소 두번의 유체 침투 사건이 사방휘석 내에 기록되어있다. 이와 같은 미구조 및 유체포유물에 기록된 상부맨틀의 불균질성은 북미 판과 Farallon 판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불피해지 복원을 위한 바이오차 처리가 굴참나무 묘목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char Treatment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Q. variabilis for the Restoration of Post-fire Forest Areas)

  • 정유경;김소진;김주은;배정현;강원석;이영근;박기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3호
    • /
    • pp.290-302
    • /
    • 2023
  •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에 바이오차를 처리하여 굴참나무의 초기 생장특성 변화를 살펴보고, 임목생장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굴참나무를 식재한 지역에 바이오차 처리방법(도포, 식혈)과 처리량에 따른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처리구를 조성하였다. 굴참나무의 활착률은 무처리구에 비해 도포와 식혈처리구에서 20% 높게 나타났으며, 도포처리구에서는 북사면, 식혈처리구는 남사면의 활착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바이오차 처리방법에 따른 상대생장률은 식혈처리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근원경 생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면향별로는 북사면의 상대생장률이 더 높았고, 수고생장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이오차의 처리용량이나 살포방법에 따라 생장량 증진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면향이나 처리방법이 토양의 건조조건에 영향을 주어 수분함량이나 양분동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진다.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생육목적에 맞는 바이오차의 처리기준을 제시할 수 있으며, 산림시업에 적용하여 바이오매스 증진 및 산불피해지 조기 복원의 효과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종자 크기가 다른 두 계통의 벌노랑이 유식물의 활력 비교 (Seeding Vigor of Birdsfoot Trefoil Entries Differing in Seed Size)

  • 허삼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6-194
    • /
    • 1994
  • 넓은 잎 벌로랑이의 이용에 있어서 초기생육 부진이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유식물 활력증진을 위한 육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종자가 작은 MO-20과 종자가 큰 302921 두 채통을 $15^{\circ}C$$25^{\circ}C$의 생육상에서 재배하여 유식물 활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산화탄소 교환솔(CER)은 적외선 가스분석기를 이용하여 closed system으로 측정하였다. 암호흡솔은 Gilson 호흡계로 측정하였으며 일당 순탄소 축적솔과 유식물 생장분석도 조사하였다. 302921은 MO-20에 비해 종자크기는 약 3.5배 가량이, 최대 신장 자엽 면적은 약 2배 가량이 더 컸다. $25^{\circ}C$에서 출현후 3주까지는 302921의 초기 유식물 생장이 더 양호하였으나 3주 이후부터 시험종료시 까지는 오히려 MO-20이 302921보다 연면적당 CER이 더 높고 건물축적솔도 더 많았다. 반면 $15^{\circ}C$에서는 MO-20이 302921보다 생장이 더 억압 받았다. MO-20의 암호흡솔은 302920보다 약간 높았으나 일당 순이산화탄소 교환솔은 MO-20이 $25^{\circ}C$에서 높았고 $15^{\circ}C$에서는 낮았다. MO-20의 상대생장솔은 $25^{\circ}C$에서는 높은 순동화솔로 인하여 302921보다 높았으나 $15^{\circ}C$에서는 계통간 차이가 별로 없었다.

  • PDF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계절별 생육특성 IIV. 봄철 생육의 생장해석 (Seasonal Growth Patterns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IV. Growth analysis in spring growth)

  • 김성규;이주삼;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26-231
    • /
    • 1992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dry matter accumulation using growth analysis in spring growth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grown under space planting conditions, based on the data of previous paper9'.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Growth parameters of leaf area ratio(LAR), specific leaf area(SLA) and leaf weight ratio(LWR) were recognized sigi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arieties. But, specific leaf area(SLA), leaf weight ratio (LWR) and relative tiller appearance rate(RTAR) were recogniz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wth stages. Specific leaf area(SLA)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interaction of variety Xgrowth stage. 2. The relative growth rate of biological yields(BYRGR) indicat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lative growth rate of shoot(RGR) and root(RWGR), and net assimilation rate(NAR) as affected by the varieties and growth stages. 3. The relative growth rate of biological yields(BYRGR) indicat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ct assimilation rate(NAR) in all varieties. Leaf area ratio(LAR)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pecific leaf area(SLA) in all varieties, but show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f weight ratio(LWR) of Maprima variety. 4. The relative growth rate of biological yields(BYRGR) indicat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absolute growth rates of yield components.

  • PDF

대두의 생장 및 질소 경제에 미치는 Nitrate 구배의 영향 (Effects of Nitrate Gradients on Growth and Nitrogen Economy of Soybean Plant)

  • Kim, Sung-Jun;Yeon-Sik Choo;Seung-Dal S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4호
    • /
    • pp.175-182
    • /
    • 1987
  • Soybeans(Glycine max Merr. cv. Kwanggyo), inoculated with Rhizobium japonicum 110 and then sand-cultured with nitrate gradients (0, 1, 3, 10 and 30mM KNO3). were studied on the growth analysis, nitrogen fixation and nitrogen economy during the growing period. The maxium values of total leaf area, biomass and nitrogen quantity were increased 139%, 122% and 161%, respectively with higher concentration of nitrate treatment. Nodulation showed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 with leaf area growth for each treatment of nitrat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more nitrat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more distribution ratios of dry matter and nitrogen to nodule decreased, and the more T/R ratios, CGR and N content increased. On the other hand, F/C ratios and RGR showed little changes. The amounts of nitrogen fixation of soybean alloted to 0, 1, 3, 10 and 30mM nitrate treatments were 100, 46, 14, 0.1 and 0.004% for the total nitrogen assimilation, respectively. The nitrogen utility of soybean plant was smaller than that of other plants and ranged from 23 to 30 at varying nitrate gradients.

  • PDF

재래종 잎담배의 물질생산 및 생육해석 I. 물질생산요인의 개채군별 품종간차이 (Dry Matter Production and Growth Analysis of Nicotiana tabacum L. (Local Leaf Tobacco) I. Varietal Difference on Individual Population in Factors of Dry Matter Production.)

  • 안대진;신승구;민영근;유익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24
    • /
    • 1983
  • Varietal difference of crop stand, growth of each organs and the factors of dry matter Production at different growth stage of three local tobacco varieties (Hyangcho, Youngwolyub and Yonginyub) were investigated in 1979 and 1980. Varietal variation of total standing crops was clear from 45th day after transplanting to end maximum value of photosyntheticinon-photosynthetic organs was Hyangcho: 1.9, Youngwolyub; 1.6, Yonginyub; 2.3. Maximum value of L/S and T/R ratio was clear from 35th day after transplanting to 45th day. RGR, NAR and CGR were in decreasing order of Yonginyub) Youngwolyub)Hyangcho through out growth stage, LAR and SLA were in decreasing from early growth stage to last growth stage, LAI was obtained to maximum value in the large growth state and LAI was increasing order of during the total growth period that it was Hyangcho is 7.6. Youngwolyub is 9.1 and Yonginyub is 8.7, SLA was Hyangcho;$2.088\textrm{cm}^2$/g/leaf, Youngwclyub;$2.173\textrm{cm}^2$/g/leaf and Yonginyub;$2.020\textrm{cm}^2$/g/leaf, respectively.

  • PDF

연잎 추출물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n leaf-extract from Nelumbo nucifera against oral microorganism)

  • 허만규;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7-122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ivities of Nelumbo nucifera leaf extracts on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mitis, Streptococcus sobrinus,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and Treponema denticola. Methods : The inhibitory effect of lotus leaf extracts on the growth of oral bacteria was assessed in experiments with extracts from freshly harvested and pulverized lotus leaves and bacterial cultures of dental carie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N. nucifera extracts possess antimicrobial activity on all bacterial strains.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varied from 4 mg/ml to 10 mg/ml against antimicrobial activity. The relative growth ratio (RGR) against of N. nucifera extracts were determined as 50% in concentration of 4.0 mg/ml. The extract of N. nucifera was effective in reducing on the glucosyltransferase (GTase) activity of six strains in vitro. Conclusions : Methanol extracts of lotus leaves showed antimicrobial effects on three bacterial species causing dental caries and three bacterial species causing periodontitis, as well as inhibitory effects on GTase activity.

CVD 반응기 내에서의 유동장에 대한 샤워헤드 지름의 영향에 대한 수치적 연구 (EFFECTS OF SHOWERHEAD DIAMETERS ON THE FLOWFIELDS IN A RF-PECVD REACTOR)

  • 김유재;김윤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75-1480
    • /
    • 2004
  •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uses unique property of plasma to modify surfaces and to achieve the high deposition rates. In this study, a vertical thermal RF-PECVD (Radio Frequency-PECVD) reactor is modeled to investigate thermal flow and the deposition rates with various shapes of the showerhead. The showerhead in the CVD reactor has the shape of a ring and gases are injected in parallel with the susceptor, which is a rotating disk. In order to achieve the high deposition rates, we have simulated the thermal flow fields in the reactor with several showerhead models. Especially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injection holes and the rotating speed of the susceptor are studied. Using a commercial code, CFDACE, which uses FVM (Finite Volume Method) and SIMPLE algorithm, governing equations have been solved for the pressure, mass-flow rates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in the CVD reactor. With the help of the Nusselt number and Sherwood number, the heat and mass transfers on the susceptor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characteristics of measure the flatness of the layer, furthermore, the relative growth rate (RGR) is conside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