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GB LED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9초

RGB LED를 이용한 광원의 광학적 배치에 따른 White Light 구현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white light incarnation that optical arrangement for light-source using RGB LED)

  • 이현룡;이성진;황경준;김관규;김용갑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66-1567
    • /
    • 2007
  • As the brightness of LED is getting higher, the lighting products using LED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On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caused by the optical arrangement of LED light source, which applies to illumination by using the optical design programme. The changes were estimated by simulating regarding the arrangement of each form and measurement distanc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tensity increased by 1 and Illuminance increased by around 10, as It changed a triangle into a pentagon. To realize white light, RGBG LED formation was the most efficient in case of square arrangement.

  • PDF

LED 조명 광원의 광학적 배치 및 광색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Arrangement and Color Control of LED Lamps for illumination Applications)

  • 박준석;김광헌;여인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1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광학설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명에 응용되는 LED 광원의 광학적 배치에 따른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여러 유형별 시뮬레이션을 하기에 앞서 신뢰할 수 있는 기준광원을 만들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형태별 기본 배치와 각도별 기본 배치, 간격별 기본 배치의 3가지 유형별로 나누어 시뮬레이션을하여 그 변화값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안정적인 광출력 특성 및 원하는 광색을 얻기 위해서 고휘도 RGB LED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고려한 광색 가변회로를 구성하였다.

  • PDF

Modbus TCP를 이용한 선박용 무선 LED 제어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reless Lighting LED Controller using Modbus TCP for a Ship)

  • 정정수;이상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395-400
    • /
    • 2017
  • Modbus는 각종 자동화 장비 감시 및 제어에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발적 산업표준 통신 프로토콜이다. 그러므로 선박, 빌딩, 기차, 비행기 등 Modbus를 이용하는 모든 장비들과 연결이 가능하여 환경변수의 측정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기존의 Modbus는 Serial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Modbus TCP는 오늘날 인터넷 프로토콜로 가장 많이 쓰이는 TCP/IP를 기반인 Ethernet 통신을 이용하므로 Serial 통신에 비해 빠르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환경에 연결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Modbus TC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Wi-Fi 환경에서 LED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선박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외부 환경요인 확인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LED 제어기 회로를 설계 및 구현 하였다. 외부 환경요소인 온도, 습도, 전류, 조도 값들은 센서를 통해 제어기로 받아들이며 이 값들은 Modbus 프로토콜을 통해 선박의 통합관리 시스템에 알리게 된다. Modbus는 TCP 통신으로 Master 기기와 연결 되어 온도, 습도, 전류, 조도 상태 모니터링 및 LED 출력 값 확인이 가능하고 또한 사용자가 원격으로 RGB 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색으로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제작한 제어기의 구현 확인을 위해 모의 선박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 온도, 습도, 전류, 조도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원격으로 RGB 값을 변경 하여 제어기의 LED 조명색상이 변화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64x64형 옥내외 LED 전광판 사이니지에 접목 가능한 무선광통신용 RGB LED 제어 및 소재분석 연구 (A Study on RGB LED Control and material analysis for transmit wireless optical information using 64#x0078;64 Matrix based indoor and outdoor LED signage)

  • 이민우;이범희;차재상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2-93
    • /
    • 2017
  • 최근 IT 및 사이니지 기술을 포함한 여러 기술의 발전 형태가 융복합적 기술의 방향으로 전환됨으로서, 기술 간 장벽이 허물어지고, 상호 연관성을 갖게 됨에 따라 사이니지 및 IT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융복합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LED 광원의 일종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학계, 연구소 및 관련 산업체 등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ED 전광판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무선광통신이 용이한 LED 소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LED 전광판 사이니지를 이용한 무선광통신 기술은 LED 광원이 지닌 특성을 토대로 RF방식 대비 높은 주파수 대역과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잠재력과 파급력을 통하여 무선통신 분야에서의 새로운 통신 척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다양한 콘텐츠 제공을 위한 17×17 LED 도트 매트릭스 제작 및 연구 (A Study of 17×17 LED Dot Matrix for offring Various Contents)

  • 배예정;권종만;정순호;박구만;차재상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7-198
    • /
    • 2016
  • 최근 RGB LED 조명은 다양한 장점으로 이를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단순 조명이 아닌 정보전달 및 공간연출의 디자인적 요소의 역할을 이행하기도 한다. RGB의 혼합으로 다양한 색상이 표현 가능한 LED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LED를 제어해 여러 가지 색상 및 모양이 표현 가능한 LED 도트 매트릭스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활용해 다양한 콘텐츠를 출력하고자 한다. 다양한 모양의 콘텐츠에선 개별적으로 LED를 제어하고, 그 외의 콘텐츠에선 원하는 LED를 그룹지어 제어한다. 본 논문에서 제작한 LED 도트 매트릭스는 많은 정보를 전달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 제공으로 인한 상업화 및 효율성의 확대를 꾀할 수 있다.

  • PDF

RGB-D 센서 기반의 로봇 위치추정 기법 연구 (A Robot Localization based on RGB-D Sensor)

  • 서유현;이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72-875
    • /
    • 2014
  • 재난방지 및 구호에 사용되는 로봇의 주된 목적은 인간이 직접적인 접근을 할 수 없는 지역을 사전에 탐사하여 인간으로 하여금 올바른 판단을 돕기 위함에 있다. 하지만, 재난 지역에서는 통신장애 문제나,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 상황, 원격조정을 통하여 로봇이 업무 수행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ED-RGB 칼라센서를 이용한 상호위치 인식 방법연구"[1]을 수행하였으나, RGB의 인식거리가 상당히 짧고, 판단이 모호한 단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한 RGB-D센서를 이용하여 RGB의 인식거리를 증가시켰다. 또한 더욱 높은 정확성을 이용하기 위해, Depth를 사용하여 사물들의 특징점들을 랜드마크로 하고 랜드마크로부터의 상대위치를 파악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상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전 방식과 비교하고자 한다.

광파이버 일루미네이터의 2층구조형 LED 집광판 설계 (Design of a Light Collector with Two-story LED Mounting Holder for a Fiber-optic Illuminator)

  • 김완호;박준석;여인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255-258
    • /
    • 2001
  • This paper proposes a new structure of a fiber-optic illuminator using high Lux RGB LEDs. A simulation program, LightTools, is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model. An LED mounting holder containing 74 RGB LEDs is used as a basic part of its light collector. Since the light output level of current LED lamps is still far below that of conventional lamps, it is required to double the right output in order to replace a conventional illuminator with a halogen lamp. An additional cone-type reflector is installed hemispherically and the resulting structure comprises a basic collector unit. To further increase the output two collector units are connected together in series. As the result, the light output increases nearly 70% with compared to a collector with a basic structure. The system efficiency can be increased more than 8 times with compared to conventional one.

  • PDF

고출력 RGB-LED를 사용한 Backlight 개발 (Backlight Unit adopting high power RGB-LEDs)

  • 이한진;박두성;한정민;박정국;배경운;김서윤;김연호;임영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2
    • /
    • pp.1038-1042
    • /
    • 2003
  • LED(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한 LCD 백라이트는 현재까지 모바일용의 $2{\sim}3$ 인치정도의 소형모델에서 상용화되고있다. 현재 동종분야에서 $5{\sim}7$ 인치 이상의 중대형에서는 아직 검토나 개발단계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LED의 특징인 장수명, 고색순도, Robustness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광효율이나 경제적측면에서 아직 형광램프 Type 에 비해 개선점이 남아있는 것도 개발지연 이유중의 하나다. 최근에 일부 광원업체에서 소비전력 5W로 높은 출광효율을 갖는 고휘도를 가진 LED가 개발되고있다. 고색재현성을 요구하는 TV등의 민수용 디스플레이시장이 커지는 현 추세에 한 방법으로 3색의 고휘도 LED광원을 사용한 백 라이트를 개발했다. R(Red), G(Green), B(Blue)의 3색 점광원 다수를 이중도광판 구조의 장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최종 출사면에서 백색이 되도록 소정의 구성비로 설계하였다. 점광원간의 간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혼색도를 보완하기위해 광원과 출사면까지의 광경로를 점광원이 아닌 튜브형의 형광광원 사용시보다 일정량 길게 설계해야 되는데, 이것으로 인해 출광효율이 형광램프구조에 비해 떨어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17인치 모니터구조의 백라이트에서 색재현성 105%와 소비전력 67W에서 표면휘도 $2000cd/m^2$ 정도를 달성하였다.

  • PDF

포토닉 의류를 위한 광원 색채 연구 (A Study on Light source Color For Photonic Clothing)

  • 김남희;채지원;박수진;이영진;이주현;김민구;김용준;조운정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5-138
    • /
    • 2009
  • 포토닉 의류는 의류에 다양한 광원과 광전달 소재를 적용하여 빛을 발현하는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의류의 색채를 제어함으로써 착용자의 감성을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의류의 일종이다. 앞서 개발한 포토닉 의류의 중 LED램프와 광섬유의 조합으로 색광을 발현하는 기능은 특별히 RGB 색조합을 통해 의도하는 색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 색채 발현 방법은 Red, Green, Blue의 3가지 색상의 LED의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색채를 발현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으나 색체계 상의 기준 색상과 실제 발현되어 육안으로 확인되는 색채의 차이가 있어 의도와는 다른 색채가 나타나 디자이너의 색채 기획의도를 포토닉 의류에 적용하기 힘들며, 기존의 색체계에 의해 생산된 다른 텍스타일 색채와의 컬러 조합에 있어서 필요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포토닉 의류에 의도하는 색채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색상과의 차이점 보정과 효과적인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포토닉 의류의 색채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웹 컬러와 광섬유를 이용한 포토닉 컬러에서의 색채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고 RGB값과 색차값을 통한 차이점 보정을 참고하여 광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스마트 포토닉 의류의 제작 시 색채선정 기획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GB-LED-based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using Multilevel Variable Pulse Position Modulation for Healthcare Applications

  • Rachim, Vega Pradana;An, Jinyoung;Pham, Quan Ngoc;Chung, Wan-Young
    • 센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2
    • /
    • 2018
  • In this paper, a 32-variable pulse position modulation (32-VPPM) scheme is proposed to support a red-green-blue light-emitting-diode (RGB-LED)-based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system. Our proposed modulation scheme is designed to enhance the OCC data transmission rate, which is targeted for the wearable biomedical data monitoring system. The OCC technology has been utiliz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radio frequency (RF) wireless system for long-term self-healthcare monitoring. Different biomedical signals, such as electrocardiograms, photoplethysmograms, and respiration signals are being monitored and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wearable biomedical device to the smartphone receiver. A common 30 frames per second (fps) smartphone camera with a CMOS image sensor is used to record a transmitted optical signal. Moreover, the overall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modulation scheme, and data demodulation are discussed in this paper.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achieve > 9 kbps using only a common smartphone camera rece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