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F phase

검색결과 767건 처리시간 0.025초

전기광학폴리머 변조기틀 이용한 집적광학적 RF 위상변환기 (Integrated Photonic RF Phase Shifter Using an Electrooptic Polymer Modulator)

  • 이상신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4-27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중첩된 Mach-Zehnder 구조의 변조기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RF 위상변환기를 제안하고, 새로운 전기광학폴리머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구현된 소자는 RF신호의 위상을 전압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16 GHz RF신호의 경우에 대해, 7.8 $V_{pp}$ 제어 전압을 인가하여 약 108$^{\circ}$범위에서 RF신호의 위상을 거의 선형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었다.다.

직접 변환 수신기에서 Early-Late 위상 보상기를 사용한 위상 오차 보정 (Phase Offset Correction using Early-Late Phase Compensation in Direct Conversion Receiver)

  • 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638-646
    • /
    • 2005
  • 최근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접변환 트랜시버 또는 IF 샘플링 SDR 기반 수신기가 일반적인 트랜시버 구조에 상응하여 설계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AFC/APC 보상 회로가 기저 대역에서 RF 입력 신호와 국부발진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 오차를 보정할지라도 직접변환 수신 구조에서는 주요한 열화요소로 작용한다. 일반적인 보상 회로의 제한적인 동작 영역과 기저 대역에서의 1/Q 채널의 불평형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RF 입력 신호단에서 주파수 및 위상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본 논문에서 제안한다. RF 입력단에서 고정된 주파수 및 위상 오차 이외에 변화하는 주파수 및 위상 오차를 제안된 early-late 보상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RF 입력단에서의 주파수 및 위상 오차의 보정으로 직접변환 수신기의 기저 대역에서의 기존 주파수 및 위상 오차 보정 회로는 간단히 설계할 수 있으며 미세한 오차 보정 구조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Phase Dependent Image Contrast Enhancement in MRI

  • Y.M Ro;C. W. Mun;I. K. Hong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5-17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MRI 영상에서 위상을 조절하여 영상 대조를 증가 시키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영상하고자 하는 물체 자체가 갖는 위상에 따라 영상의 대조가 변하기 때문에 본 방법은 자화율 영상이나 유속 영상에 유용하게 쓰일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상 분포에 따른 영상의 대조를 증가 시키기 위하여 RF 펄스를 복셀 내에서 위상을 갖도록 디자인 하였다. 따라서 복셀에서의 신호의 크기는 물체자체의 위상과 RF 펄스에의하여 가해준 위상이 결합에 의하여 결정된다. 외부위상 변화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그때 디자인된 RF 펄스를 이용하여 자화율만의 영상과 유속만의 영상을 얻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복셀내에 위상을 갖는 물체의 영상에 유용하고 그런 물체만을 영상하는데 유용함을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Liquid Stub and Phase Shifter

  • Wang, Son-Jong;Yoon, Jae-Sung;Hong, Bong-Gue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201-208
    • /
    • 2001
  • The high power RF transmission line components are required for transmitting MW level RF power continuously in RF heating and current drive system which heat the plasma and produce plasma current in fusion reactor The liquid stub and phase shifter is proposed as th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stub and phase shift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y are reliable and easy to operat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ub and phase shifter. There is no distortion of reflected power during the raising of the liquid level. RF breakdown voltage is over 40kV. Temperature increment of the liquid is expected not to be severe. These results verify that the liquid stub and phase shifter can be used reliably in the high power continuous RF facilities.

  • PDF

W-CDMA 사용자장치 RF 구현을 위한 I/Q 열화성능요구규격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Requirement of I/Q Impairments for RF Implementation in W-CDMA User Equipment)

  • 이일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48-154
    • /
    • 2005
  • 본 논문은 QPSK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W-CDMA 사용자 설비 시스템에서 진폭 불균형 및 위상 불균형과 같은 RF I/Q 성능열화 요인들에 의한 시스템 성능열화 현상을 다루었다. I/Q 진폭 및 위상 에러에 의한 인접 심볼 간 거리변화를 이용하여 BER 성능 열화를 분석하였고, Matlab 시뮬레이션을 통해 I/Q 진폭 및 위상 에러에 의한 BER 성능열화를 검토하였다. 테스트를 고려하여 구현된 RF 트랜시버와 변복조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성능열화를 에러 벡터 크기 값으로 측정함으로써 하드웨어 구현관점에서 W-CDMA사용자 설비 시스템의 I/Q 진폭 및 위상 에러에 관한 최소 성능요구 사항과 성능열화 요인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RF 통신을 이용한 무선 Lock-in Amplifier 제작 (Design of Wireless Lock-in Amplifier using RF Transmission System)

  • 박현수;이향범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131-136
    • /
    • 2008
  • System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할 때 정확한 측정을 방해하는 요소로 잡음이 있다. 이런 신호 측정의 방해 요소인 잡음을 제거 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Lock-in Amp(LIA)가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 신호의 제거를 위해 사용 하는 LIA를 제작 하고 특성을 파악 하였으며 RF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형태로 제작 하였다. 현재 상용화된 LIA는 프로브를 통한 유선으로 측정신호의 입력을 받게 되지만 본 논문에서 제작된 LIA는 무선신호 형태로 입력 하게 된다. RF통신의 케리어 주파수는 447.9[MHz]로 Digital GMSK 변복조방식을 이용하였다. LIA의 제작은 Dual Phase Sensitive Detecter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구성 요소인 Phase Locked Loop, Phase Shifter, Phase Sensitive Detector, Low Pass Filter등의 구조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A Low Close-in Phase Noise 2.4 GHz RF Hybrid Oscillator using a Frequency Multiplier

  • 문현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9-55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 2.4 GHz RF oscillator with a very low close-in phase noise performance. This is composed of a low frequency crystal oscillator and three frequency multipliers such as two doubler (X2) and one tripler (X3). The proposed oscillator is implemented as a hybrid type circuit design using a discrete silicon bipolar transistor.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roposed oscillator structure show -115 dBc/Hz close-in phase noise at 10 kHz offset frequency, while only dissipating 5 mW from a 1-V supply. Its close-in phase noise level is very close to that of a low frequency crystal oscillator with little degradation of noise performance. The proposed structure which is consisted of a low frequency crystal oscillator and a frequency multiplier provides new method to implement a low power low close-in phase noise RF local oscillator.

Design of RF Pre-Distortion Linearizer for Variou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ower Amplifiers

  • Jang, Dong-Hee;Cho, Kyoung-Joon;Kim, Sang-Hee;Kim, Jong-Heon;Shawn P. Stapleto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11-117
    • /
    • 2003
  • We propose a diode-based RF pre-distorter with various gain and phase characteristics, for non-linearity compensation of RF power amplifiers. This pre-distorter results in the removal of the diode- and configuration-dependent characteristics in the conventional diode-based RF pre-distorters. We have analyzed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oposed pre-distorter. The results show that gain and phase characteristics of the pre-distorter in all four quadrants are achieved. Several power amplifiers and test signals are used for verify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iode-based RF pre-distorter.

Widely-Linear Beamforming and RF Impairment Suppression in Massive Antenna Arrays

  • Hakkarainen, Aki;Werner, Janis;Dandekar, Kapil R.;Valkama, Mikk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5권4호
    • /
    • pp.383-397
    • /
    • 2013
  • In this paper, the sensitivity of massive antenna arrays and digital beamforming to radio frequency (RF) chain in-phase quadrature-phase (I/Q) imbalance is studied and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at massive antenna arrays are increasingly sensitive to such RF chain imperfections, corrupting heavily the radiation pattern and beamforming capabilities. Motivated by this, novel RF-aware digital beamforming methods are then developed for automatically suppressing the unwanted effects of the RF I/Q imbalance without separate calibration loops in all individual receiver branches. More specifically, the paper covers closed-form analysis for signal processing properties as well as the associated radiation and beamforming properties of massive antenna arrays under both systematic and random RF I/Q imbalances. All analysis and derivations in this paper assume ideal signals to be circular. The well-known minimum variance distortionless response (MVDR) beamformer and a widely-linear (WL) extension of it, called WL-MVDR, are analyzed in detail from the RF imperfection perspective, in terms of interference attenuation and beamsteering. The optimum RF-aware WL-MVDR beamforming solution is formulated and shown to efficiently suppress the RF imperfections.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the developed solutions and in particular the RF-aware WL-MVDR method can provide efficient beamsteering and interference suppressing characteristics, despite of the imperfections in the RF circuits. This is seen critical especially in the massive antenna array context where the cost-efficiency of individual RF chains is emphasized.

공액 위상변위기용 LS 밴드 HEMT 혼합기 (HEMT Mixer for Phase Conjugator Applications in the LS Band)

  • 전중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39-24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LS 밴드에서 동작하는 공액 위상변위기(phase conjugator)용 HEMT 혼합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역지향성 안테나(retrodirective antenna) 시스템의 공액위상변위기로 사용되는 혼합기의 특징은 RF 및 IF 신호의 주파수가 비슷하며, 모두 고주파 신호라는 점이다. 따라서 LO 신호의 주파수는 RF 주파수의 약 2배가 되며, 두 입력신호의 합성 및 임피던스 정합이 쉽지 않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p-HEMT 소자를 사용하여, LO4.00 GHz, RF 2.01 GHz, IF 1.99 GHz에서 동작하는 게이트 혼합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혼합기는 -7 dBm의 LO 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변환이득이 12.5 dB이며, 1-dB cmpression point는 -34 dBm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혼합기는 single-ended 구조로서, RF 및 IF 주파수가 비슷하므로 RF 누설신호가 관찰되었으며, 평형구조(balanced type)의 혼합기 및 공액 위상변위기의 설계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