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NANT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25초

Tumor Location Causes Different Recurrence Patterns in Remnant Gastric Cancer

  • Sun, Bo;Zhang, Haixian;Wang, Jiangli;Cai, Hong;Xuan, Yi;Xu, Dazhi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4호
    • /
    • pp.369-380
    • /
    • 2022
  • Purpose: Tumor recurrence is the principal cause of poor outcomes in remnant gastric cancer (RGC) after resection. We sought to elucidate the recurrent patterns according to tumor locations in RGC. Materials an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hanghai Cancer Center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20. A total of 129 patients with RGC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f whom 62 had carcinomas at the anastomotic site (group A) and 67 at the non-anastomotic site (group N).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surgical results, recurrent diseases, and survival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umor location. Results: The time interval from the previous gastrectomy to the current diagnosis was 32.0±13.0 and 21.0±13.4 years in groups A and N, respectively. The previous disease was benign in 51/62 cases (82.3%) in group A and 37/67 cases (55.2%) in group N (P=0.002). Thirty-three patients had documented sites of tumor recurrence through imaging or pathological examinations. The median time to recurrence was 11.0 months (range, 1.0-35.1 months). Peritoneal recurrence occurred in 11.3% (7/62) of the patients in group A versus 1.5% (1/67) of the patients in group N (P=0.006). Hepatic recurrence occurred in 3.2% (2/62) of the patients in group A versus 13.4% (9/67) of the patients in group N (P=0.038). Patients in group A had significantly better overall survival than those in group N (P=0.046). Conclusions: The tumor location of RGC is an essential factor for predicting recurrence patterns and overall survival. When selecting an optimal postoperative follow-up program for RGC, physicians should consider recurrent features according to the tumor location.

Long-term Outcomes of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Who Had Lateral Resection Margin-Positive Tumors Based on Pathology Following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 Jun Hee Lee;Sang Gyun Kim;Soo-Jeong Ch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4권2호
    • /
    • pp.199-209
    • /
    • 2024
  • Purpose: Long-term outcomes of patients with positive lateral margins (pLMs)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mnant cancer and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pLMs compared with those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consecutive patients with pLMs as the only non-curative factor of expanded indication who underwent ESD for EGC with a follow-up duration of 5 years or more. The rates of remnant cancer, recurrence, and survival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by propensity score matching. Results: Among 3,515 patients treated with ESD between 2005 and 2018, 123 non-curative EGC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 total of 108 patients were followed up without endoscopic or surgical resection for 8.2 years. The control group was matched in a 1:1 ratio with patients with EGC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fter ESD. The observation group with pLMs had a higher incidence of remnant cancer (25.9%; 28/108) compared to that in the curative resection group (0/108; P=0.000). The remaining tumors were treated with surgical or endoscopic resection, and no additional recurrences were observed. The overall survival analysi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ation and curative resection groups (P=0.577). Conclusion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observation and curative resection groups. Therefore, observation may be a possible option for incomplete ESD with pLMs if continuous follow-up is performed.

분화성 갑상선암에서 수술 후 I-131을 이용한 잔여 갑상선 조직의 제거 성적 (Ablation of Remnant Thyroid Tissue with I-131 in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fter Surgery)

  • 김유경;이동수;조보연;정재민;이명철;고창순;정준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9-345
    • /
    • 1997
  • 저자들은 1984년부터 1996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분화성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시행한 후 I-131을 이용하여 수술 후 잔여 갑상선 제거를 받은 350명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분화성 갑상선암 수술 후 30mCi I-131을 평균 $2.6{\pm}1.7$회 투여하며 51%에서, 75mCi 이상 I-131을 평균 $1.6{\pm}1.1$회 투여하여 72%에서 성공적으로 잔여갑상선 조직을 제거하였다. 2) 30mCi 저용량 사용 시 1회 치료의 24%, 2회 치료 22%, 2회 치료 25%, 4회 치료 8%, 5회 치료19%, 6회 이상의 치료로 19%의 환자에서 성공적으로 잔여 갑상선 조직을 제거하였다. 3) 입원 치료가 필요한 75mCi 이상의 고용량 I-131 치료에서는 1회 치료군의 53%, 2회 58%, 3회 0%, 4회 이상 치료군에서 44%의 환자에서 잔여 갑상선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4) 갑상선 전절제 후 78%, 아절제 후 62%, 한엽 및 협부 절제 후 54%, 한엽이하 절제 시 33%에서 수술 후 잔여 갑상선을 제거하여 수술 후 잔여 갑상선 조직이 적을수록 I-131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수술 후 30mCi I-131을 이용한 경우의 일부에서는 잔여 갑상선의 제거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재발의 위험도가 높은 군에서 분화성 갑상선 암 환자의 치료시 적극적인 수술로 갑상선 전절제 후 고용량의 방사성 옥소 치료가 바람직하리라 여겨진다.

  • PDF

남아 있는 인대를 보존하고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tendon allograft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 김영진;채수욱;김종윤;김병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4-60
    • /
    • 2011
  • 목적: 슬관절의 후방십자인대 파열시 잔존하는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10년 3월까지 후방십자인대 완전 파열로 진단되어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는 3년 7개월(1년~6년 4개월)이었다. 수술시 연령은 평균 31.5세 이었으며, 성별은 남자가 14례, 여자가 8례였다. 운동 가능 범위, 후방 전위 검사, Telos stress 방사선 검사,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ittee (IKDC)의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서 술 후 기능 평가, 2차적 관절경 검사 등을 시행하여 주관적 및 객관적 지표로 삼았다. 결과: 슬관절 안정성에 대한 이학적 검사인 후방 전위 검사, 최종 추시 시에 후방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score 등은 통계학적 의의가 있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파열시 잔존하는 인대의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은 양호한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 회복을 얻을수 있는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하지 정맥류의 고식적 수술 방법과 광투시 전동형 정맥제거술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Conventional Phlebectomy and Transiliuminated Powered Phlebectomy in Varicose Veins)

  • 이충원;정성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15-420
    • /
    • 2005
  • 하지 정맥류의 수술적 치료방법 중에서 고식적 수술 방법과 최근 도입된 광투시전동형 정맥제거술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 및 개선점을 파악하고 두 방법 간의 장단점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3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46개월 간 부산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하지 정맥류 수술을 받은 114명(167하지)을 대상으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유병기간, 초음파 검사 결과, 수술절개창의 수, 수술시간, 재원일수, 합병증 등을 관찰 분석하였다. 결과: 고식적 수술을 받은 환자군과 광투시 전동형 정맥제거술을 받은 환자 군간에 연령, 증상, 유병기간, 초음파 검사 소견은 유의한 차이가 얼었으나 수술 절개창의 수, 수술시간, 재원일수는 광투시전동형 정맥제거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적었다. 끌론: 하지 정맥류의 수술방법으로 광투시 전동형 정맥제거술은 수술시간과 수술 절개창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었다. 수술 후 반상출혈 등의 합병증이 있었으나 2개월 이내에 모두 소실되고, 환자의 만족도 도 높았다. 따라서 광투시전동형 정맥 제거술은 하지 정맥류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