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Search Result 34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conomic Assessment for Flood Control Infrastructure under Climate Change : A Case Study of Imjin River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방재시설물의 경제성분석 : 임진강 유역사례)

  • Kim, Kyeongseok;Oh, Seungi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8 no.2
    • /
    • pp.81-90
    • /
    • 2017
  • In Imjin River basin, three floods occurred between 1996 and 1999, causing many casualties and economic losses of 900 billion won. In Korea, flood damage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used the climate scenarios to estimate future flood damage costs and suggested a real options-based economic assessment method. Using proposed method, the flood control infrastructures in Imjin River basin were selected as a case study site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investment. Using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climate scenarios, the future flood damage costs were estimated through simulated rainfall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flood reduction benefits through investment in the flood control infrastructures. The volatility of flood damage reduction benefits were estimated assuming that the RCP8.5 and RCP4.5 climate scenarios would be realized in the future. In 2071, the project option value would be determined by applying an extension option to invest in an upgrading that would allow the project to adapt to the flood of the 200-year return period. The results of the option values show that the two investment scenarios are economically feasible and the project under RCP8.5 climate scenario has more flood damage reduction benefits than RCP4.5. This study will help government decision makers to consider the uncertainty of climate change in the economic assessment of flood control infrastructures using real options analysis. We also proposed a method to quantify climate risk factors into economic values by using rainfall data provided by climate scenarios.

Estimation of groundwater content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추정)

  • Choi, Gwang Bok;Park, Ki Bum;Ahn, Se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3-273
    • /
    • 2021
  • 기후변화는 미래세대의 문제뿐만 아니라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매우 심각한 화두가 되고 있다. 또한 OECD 환경전망 2050 보고서를 비롯한 많은 연구에서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경고하고 있다. 평균기온 상승은 강우패턴의 변화를 일으켜 극한기후상황인 가뭄, 폭염, 홍수 등의 증가로 이어지며, 많은 피해가 예상된다. 우리나라 연평균기온은 1981년~2010년 1.2℃ 상승 했으며, RCP8.5 시나리오에서는 2100년경 4.7℃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해 열대야일수, 폭염일수, 여름일수와 같은 극한지수가 증가하고 강수량 변동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며, 가뭄관련 최대무강수 지속기간도 길어지며, 극심한 물부족이 예상된다. 따라서 가뭄 재해를 대비하고, 지하수의 활용에 대한 계획 수립에 바탕이 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기간 동안의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기후변화 예측은 IPCC 대표농도경로 RCP2.6, RCP4.5, RCP6.0, RCP8.5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청의 미래 기후전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주지역의 2021년~2100년 까지의 평균기온, 강수량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유역의 도시개발계획을 조사하고 장래 토지피복도를 추정하여 SWAT모형에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보정 및 모델링을 실시하여 장래 기후변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 PDF

Precipitation-Streamflow Elasticity analysis of Nakdong River Based on RCP 4.5 Climate Change Scenario (RCP 4.5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낙동강 유역의 강우-유출 탄성도 분석)

  • Jang, Young-su;Park, Jae-Rock;Shin, Hyun-s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605-612
    • /
    • 2017
  • Climate change affects the natural ecosystem and human socioeconomic activities by acting on various constituents such as the atmospheric, oceanic, biological, and land constituents of the climate. Predicting the impacts of ongoing climate change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adapting to the climate of the future. In this study, precipitation-streamflow elasticity analysis of the Nakdong River area was conducted using the RCP 4.5 scenario developed by the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recipitation and streamflow in the Nakdong River area was analyzed using monthly, seasonal, and yearly data. Results found that the climate would become very humid climate by 2100.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hydraulic structures.

Determination of water supply quantity for instreamflow requirement of the Cheongmicheon watershed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청미천 유역의 유지유량 공급량 결정)

  • Song, Young-Hoon;Chung, Eun-Sung;Kim, So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16-416
    • /
    • 2018
  • 본 연구는 과거자료와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강수자료를 고려하여 유역 간 도수 사업의 용수공급량을 효과적으로 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1985년 1월 ~ 2017년 6월까지 과거자료와 2011년부터 2100년까지의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4.5 및 8.5 시나리오에 대해 각각 적용하였다. 청미천의 유량은 SWAT 모형을 이용하였는데 SUFI-2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농촌 복합유역인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토교통부가 고시한 원부교 지점의 하천 유지유량($0.96m^3/s$)의 연간 불만족일수를 분석하였다.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현재 설치하고 있는 약 $30,000m^3$/일 규모의 용수 공급시설의 적용에 따른 불만족일수에 대하여 과거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시설 적용 전 불만족 일수는 평균 54.94일/년이었고 적용 후에는 불만족일수가 평균 45.33일/년으로 10.61일/년이 감소하였다.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해 분석하면 적용 전의 RCP 4.5의 평균 불만족일수는 65.99일/년이며 적용 후에는 11.82일/년이 감소한 54.17일/년으로 나타났다. RCP 8.5에서는 평균 불만족일수는 49.16일/년에서 39.16/년일 으로 10.0일/년이 감소하였다. 즉 현재 사업규모로는 하천유지유량 만족일수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최소최대후회도 접근법을 토대로 효과적인 유지 용수공급량을 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단위 용수공급량이 증가할 때마다 늘어나는 불만족일수 감소량에 대해 연도별로 다른 값 중에 최댓값과의 차이를 후회도로 정의하고 용수공급량 별로 최대 후회도를 산정하였다. 이 중 최솟값을 나타내는 용량을 선택한 결과 RCP4.5는 $110,000m^3$/일, RCP8.5는 $90,000m^3$/일로 도출되었다.

  • PDF

Assessment of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s on Watershed Hydrology for an Urbanizing Watershed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가 도시화 진행 유역수문에 미치는 영향 평가)

  • Ahn, So Ra;Jang, Cheol Hee;Lee, Jun Woo;Kim, Seong 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3
    • /
    • pp.567-577
    • /
    • 2015
  •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have impact on availability water resource by hydrologic cycl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ydrologic behavior by the futur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n Anseongcheon watershed ($371.1km^2$) using SWAT model. For climate change scenario, the HadGEM-RA (the Hadley Centre Global Environment Model version 3-Regional Atmosphere model)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4.5 and 8.5 emission scenarios from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were used. The mean temperature increased up to $4.2^{\circ}C$ and the precipitation showed maximum 21.2% increase for 2080s RCP 8.5 scenario comparing with the baseline (1990-2010). For the land use change scenario, the Conservation of Land Use its Effects at Small regional extent (CLUE-s) model was applied for 3 scenarios (logarithmic, linear, exponential) according to urban growth. The 2100 urban area of the watershed was predicted by 9.4%, 20.7%, and 35% respectively for each scenario. As the climate change impact, the evapotranspiration (ET) and streamflow (ST) showed maximum change of 20.6% in 2080s RCP 8.5 and 25.7% in 2080s RCP 4.5 respectively. As the land use change impact, the ET and ST showed maximum change of 3.7% in 2080s logarithmic and 2.9% in 2080s linear urban growth respectively. By the both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s, the ET and ST changed 19.2% in 2040s RCP 8.5 and exponential scenarios and 36.1% in 2080s RCP 4.5 and linear scenario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changing water resources of watershed quantitatively by hydrological environment condition change in the future.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Water-film Thickness on Airport Runway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공항 활주로의 수막두께 산정 및 평가)

  • Park, Se-Min;Kim, Jeong-Bae;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6-166
    • /
    • 2016
  • 국내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및 태풍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자연재해의 발생뿐만 아니라 차량 및 항공 운항의 어려움을 야기한다. 차량 및 항공 운항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노면의 마찰저항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강수로 인해 형성되는 수막두께는 노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므로 포장설계시 고려해야 할 주요소이다. 특히, 물적/인적 이동이 많은 공항은 기상조건에 더욱 취약하며,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특성 변화로 활주로의 수막두께 증가 및 운항의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및 미래 강우조건에 따라 활주로 노면의 수막두께를 산정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수막두께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한다. 과거 관측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강우자료를 생산하였고, 이를 강우-유출 모형의 강우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다. 과거 강우자료는 인천지점의 기상청 관측자료를 수집하였으며, AR5 RCP 시나리오(RCP4.5, RCP8.5) 기반의 적정 GCMs 결과를 활용하여 미래 강우시나리오를 산정하였다. 강우의 재현기간 및 지속시간에 따른 수막두께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인천지역의 과거 및 미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수막두께를 산정하기 위해 활주로 폭, 경사 등 활주로 제원을 수집하고, 유출 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과거 및 미래 확률강우량을 SWMM 모형에 적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유속과 흐름폭으로 나누어 활주로의 수막두께를 산정하였다. 산정결과,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막두께는 증가하고, 강우의 지속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래의 경우, 기후변화의 영향에 따라 강수량이 증가하여 수막두께가 과거에 비해 증가하였다.

  • PDF

Analysis of Topography and Water Quality Change in Lower Hapcheon Weir Using HadGEM3-RA Climate Change Scenarios (HadGEM3-RA 기후시나리오를 적용한 합천보 하류에서의 지형과 수질변화 분석)

  • Lee, Jong Mun;Jung, Woo Suk;Ahn, Jungkyu;Kim, Young Do;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2-32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가뭄과 홍수의 영향으로 하천의 수문과 수리적 요소가 변화되고 그로인해 발생하는 지형변화와 그에 따른 수질변화 분석이 필요하다. 낙동강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수질과 더불어 유역관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이나 홍수 등 극한 사상이 보 같은 인공구조물이 설치되어 정체성 수역이 된 낙동강 수계에 어떠한 수질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고려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수질관리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합천창녕보와 창녕함안보 구간에서 HadGEM3-RA RCP 4.5와 8.5를 적용하여 미래기후시나리오를 예측하여 수문분석을 수행하였다. 수문분석 결과인 유출량을 하상변동모형의 입력자료로 적용하여 상?하류 구간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지형변화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QUAL-MEV 수질모형을 적용하여 지형변화에 따른 수질분석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기후변화와 지형변화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후시나리오의 경우 HadGEM3-RA RCP 4.5 보다 8.5에서 강수가 6%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그에 따라 유출량도 증가하고 있다. 하상변동 분석결과, 유량이 많은 풍수년에 침식과 퇴적양상이 크게 나타나고 RCP 8.5에서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났다. 하천지형변화를 고려한 수질분석결과, 유량의 증가에 따라 수질도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 PDF

Studies on Changes and Future Projections of Subtropical Climate Zones and Extreme Temperature Events over South Korea Using High 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on PRIDE Model (남한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아열대 기후대 및 극한기온사상의 변화에 대한 연구)

  • Park, Chang Yong;Choi, Young Eun;Kwon, Young A;Kwon, Jae Il;Lee, Han 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4
    • /
    • pp.600-614
    • /
    • 2013
  • This study aims to examine spatially-detailed changes and projection of subtropical climate zones based on the modified K$\ddot{o}$ppen-Trewartha's climate classification and extreme temperature indices using $1km{\times}1km$ high resolution RCP 4.5 and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s based on PRIDE model over the Republic of Korea. Subtropical climate zones currently located along the southern coastal region. Future subtropical climate zones would be pushed northwards expanding to the western and the eastern coastal regions as well as some metropolitan areas. For both scenarios, the frequency of cold-related extreme temperatures projects to be reduced while the frequency of hot-related ones projects to be increased. Especially, hot days with $33^{\circ}C$ or higher temperature projects to occur more than 30 days over the most of regions except for some mountain areas with high altitudes during the period of 2070~2100. This study might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to make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cesses be enhanced.

  • PDF

Prospects of future extreme precipitation in South-North Korea shared river basin according to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남북공유하천유역 미래 극한강수량 변화 전망)

  • Yeom, Woongsun;Park, Dong-Hyeok;Kown, Minsung;Ahn, Jae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9
    • /
    • pp.647-655
    • /
    • 2019
  • Although problems such as river management and flood control have occurred continuously in the Imjin and Bukhan river basin, which are shared by South and North Korea, efforts to manage the basin have not been carried out consistently due to limited cooperation. As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hydrologic phenomena are changing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the rainfall variation in the shared river basin area.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project future changes in extreme precipitation in South-North Korea shared river basin by applying 13 Global Climate Models (GCM). Result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rainfall compared to the reference period (1981-2005) of the shared river basin increased in the future periods of 2011-2040, 2041-2070 and 2071-2100 under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4.5 and RCP8.5 scenarios. In addition, the rainfall frequency over the 20-year return period was increased in all periods except for the future periods of 2041-2070 and 2071-2100 under the RCP4.5 scenario. The extreme precipitation in the shared river basin has increased both in magnitude and frequenc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gion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from climate change.

Assessment of Extreme Cases of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Balance and Water Quality Behavior in Geum River Basin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극한 기후변화 사상에 따른 금강유역의 수문·수질 거동 평가)

  • Kim, Yong Won;Lee, Ji Wan;Kim, Won Jin;Woo, So Young;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5-105
    • /
    • 2018
  • 2017년 이상기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장마기간(6월 24일~7월 29일) 동안 전국 평균 강수량은 291.7mm로 평년(356.1mm)의 81%에 그쳤고,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6.4^{\circ}C$로 평년($24.5^{\circ}C$) 보다 $1.9^{\circ}C$ 높았으며, 폭염일수는 평년대비 1.5배 많았음을 보고했다. 이러한 극심한 기후변화는 유역환경에 영향을 미쳐 미래 수자원 계획과 관리에 어려움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9,865km^2$)을 대상으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모형과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극한 기후변화 사상에 따른 수문 수질 거동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금강 유역을 표준단위유역으로 구분 하였고, 기상자료와 다목적댐 2개(대청댐, 용담댐)과 다기능 보 3개(공주보, 백제보, 세종보)의 운영 자료와 국가 수자원관리 종합 정보 시스템(WAMIS)에서 관측 및 관리하고 있는 수문, 기상 자료를 수집하였다. SWAT 모형의 신뢰성 있는 수문 및 수질 보정을 위해 금강 소유역 내 위치하는 다목적 댐 2개 및 다기능 보 3개의 실측 방류랑을 이용하여 댐 운영모의를 하였으며, 댐 운영 자료와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검정 및 보정(2000~2015)을 실시하였다. 미래 극한 기후변화 사상을 모의하기 위해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APCC의 26개 CMIP5 GCM 자료 중 RCP 8.5 시나리오를 활용했으며, 극한 기후 시나리오 선정을 위해 STARDEX에서 제시한 강우관련 극한지수를 이용했다. 선정된 홍수 및 가뭄 시나리오에 대해 Historical기간(1976~2005)과 미래기간(2006~2099)을 설정하여 미래 극한 기후변화 사상에 따른 금강유역의 수문 및 수질의 거동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