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CD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2초

듀얼 영 벡터 모드를 갖는 2상 RCD-PWM기법에 의한 유도 모터의 스위칭 소음저감 (Switching Noise Reduction of Induction Motor by a Two-Phase RCD-PWM Technique with Dual Zero Vector Modes)

  • 오승열;위석오;정영국;임영철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525-53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높은 변조지수 M 영역에서는 소음 및 고조파 스펙트럼의 광대역화 효과가 저하되는 2상 RCD-PWM(Random Centered Distribution PWM)기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듀얼 영 벡터 모드를 갖는 2상 RCD(Dual Zero Vector Modes RCD : DZRCD)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2상 DZRCD기법은 변조지수 M=0.8을 기준으로 하여 M이 0.8보다 큰 영역에서는 영 벡터로 $V_0$(111)를 선택하고, 0.8보다 작은 영역에서는 $V_0$(000)를 선택한다. 제안된 방법을 16비트 마이크로 콘트롤러인 C-167기반의 유도 모터 구동 시스템에 적용해 본 결과, M이 0.8이상인 영역에서 모터의 전압 / 전류 및 스위칭 소음 스펙트럼의 광대역화 특성이 종전의 방법과 비하여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고속 고정밀의 전기화재 방재장치 (A Electrical Fire Disaster Prevention Device of High Speed and High Precision by using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s)

  • 곽동걸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23-430
    • /
    • 2009
  • 최근 저압 배전계통에서 사용되고 있는 과부하겸용 누전차단기 즉, RCD의 저조한 응답특성으로 인한 전기화재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락사고 및 과부하사고에 대한 대응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RCD에 대한 모의 사고실험을 통하여 그 비신뢰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RCD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내구성과 속응성이 우수한 반도체 스위칭 소자들과 고정밀 전류센서를 이용한 "전기화재 방재장치(EFDPD : Electrical Fire Disaster Prevention Device)"를 제안하여 저압 배전계통에서의 단락 및 과부하사고로 인한 전기재해를 방지하고자 한다. 제안한 장치의 고정밀 전류센서로 사용된 리드스위치는 각종 전기사고에서 수반되는 단락전류 및 과전류에 의한 배전선로의 상승된 자속을 정밀 감지한 후, 자체 차단장치를 동작시키는 원리를 가진다. 다양한 동작특성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차단기와 비교하여 차단동작 응답속도와 그 신뢰성이 입증된다. 이로써 제안한 전기안전 제어장치는 기존 RCD들의 빈번한 오동작과 비신뢰성, 저조한 응답특성으로 인한 각종 전기사고 및 전기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저압 수용가 설비에서 누전차단기와 서지방호장치 사이의 보호협조 (Protection coordination between residual current device and surge protective devices in low-voltage consumer's installations)

  • 이복희;김회구;박희열;안창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75-81
    • /
    • 2013
  • In this paper, protection coordination between residual current devices and surge protective devices in low-voltage consumer's distribution systems are presented. In the case that a surge protrctive device(SPD) is located on the load side of an residual current device(RCD), when the surge is injected from the source side of the RCD, most of injected surge currents are split into the RCD and the protection coordination between the SPD and RCD is improper, three of 6 specimens experience unintended operation due to test impulse currents. Also when the surges is injected from the load side, a lot of the surge currents is split into the SPD, but a half of test specimens causes nuisance trip. Coordination between SPD and RCD is not valid. When installing SPD, it is important to select SPD after due consideration of the protection voltage level of metal oxide varistor embedded in RC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work could be useful to improve the protection effects of SPD in low-voltage distribution systems.

중형카메라의 항공삼각측량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Aerial Triangulation Using Medium Format CCD Camera RCD105)

  • 강준묵;원재호;소재경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1-252
    • /
    • 2010
  • 최근 항공측량분야에서 항공디지털카메라 및 항공레이저측량시스템은 DEM제작 및 지형분석 등의 지리정보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S50II에 포함된 중형CCD카메라인 RCD105에 대한 3차원 위치정확도를 고해상도 항공디지털카메라인 DMC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촬영지역을 선정 및 항공사진촬영을 실시하였으며 1/1,000 수치지형도에서 지상기준점을 선점하였다. RCD105와 DMC에 대해 항공삼각측량 후 최소제곱오차(RMSE)를 비교하였다.

  • PDF

RCD success criteria estimation based on allowable coping time

  • Ham, Jaehyun;Cho, Jaehyun;Kim, Jaewhan;Kang, Hyun Go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402-409
    • /
    • 2019
  • When a loss of coolant accident (LOCA) occurs in 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scenarios which can prevent core damage are defined based on break size. Current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evaluates that core damage can be prevented under small-break LOCA (SBLOCA) and steam generator tube rupture (SGTR) with rapid cool down (RCD) strategy when all safety injection systems are unavailable.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pointed out a limitation of RCD in terms of initiation time. Therefore, RCD success criteria estimation based on allowable coping time under a SBLOCA or SGTR when all safety injection systems are unavailable was performed based on time-line and thermal-hydraulic analyses. The time line analysis assumed a single emergency operating procedure flow, and the thermal hydraulic analysis utilized MARS-KS code with variables of break size, cooling rate, and operator allowable time. Results show while RCD is possible under SGTR, it is impossible under SBLOCA at the APR1400's current cooling rate limitation of 55 K/hr. A success criteria map for RCD under SBLOCA is suggested without cooling rate limitation.

고정밀 전류센서를 이용한 저압배전계통 이중 보호용 전기화재 방재장치 (Electrical Fire Disaster Prevention Device of Double Protection using a High Precision Current Sensor in Low Voltage Distribution System)

  • 곽동걸;정도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40-47
    • /
    • 2009
  • 오늘날 전기제품의 다양화, 대용량화와 더불어 전기화재의 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반면 저압 배전계통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과부하겸용 누전차단기 즉, RCD의 저조한 응답특성으로 인한 전기화재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락사고 및 과부하사고에 대한 대응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RCD에 대한 모의 사고실험을 통하여 그 비신뢰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RCD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고정밀 전류센서를 이용한 전기화재 방재장치를 제안하여 저압 배전계통에서의 단락 및 과부하사고로 인한 전기재해를 방지하고자 한다. 제안한 장치의 고정밀 전류센서로 사용된 리드스위치는 각종 전기사고에서 수반되는 단락전류 및 과전류에 의한 배전선로의 상승된 자속을 정밀 감지한 후, 자체 차단장치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기 설치된 RCD를 신속히 차단시키는 이중 보호용 제어 동작원리를 가진다. 다양한 동작특성 분석을 통해 기존의 차단기와 비교하여 차단동작 응답속도와 신뢰성이 입증된다. 이로써 제안한 전기화재 방재장치는 기존 RCD들의 빈번한 오동작과 비신뢰성, 저조한 응답특성으로 인한 각종 전기사고 및 전기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Characterization of an O-Methyltransferase from Streptomyces avermitilis MA-4680

  • Yoon, Young-Dae;Park, Young-Hee;Yi, Yong-Sub;Lee, Young-Shim;Jo, Geun-Hyeong;Park, Jun-Cheol;Ahn, Joong-Hoon;Lim, Yo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9호
    • /
    • pp.1359-1366
    • /
    • 2010
  • A search of the Streptomyces avermitilis genome reveals that its closest homologs are several O-methyltransferases. Among them, one gene (viz., saomt5) was cloned into the pET-15b expression vector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sequence-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with the recombinant protein showed that SaOMT5 was S-adenosyl-L-methionine-dependent Omethyltransferase. Several compounds were tested as substrates of SaOMT5. As a result, SaOMT5 catalyzed O-methylation of flavonoids such as 6,7-dihydroxyflavone, 2',3'-dihydroxyflavone, 3',4'-dihydroxyflavone, quercetin, and 7,8-dihydroxyflavone, and phenolic compounds such as caffeic acid and caffeoyl Co-A. These reaction products were analyzed by TLC, HPLC, LC/MS, and NMR spectroscopy. In addition, SaOMT5 could convert phenolic compounds containing ortho-dihydroxy groups into O-methylated compounds, and 6,7-dihydroxyflavone was known to be the best substrate. SaOMT5 converted 6,7-dihydroxyflavone into 6-hydroxy-7-methoxyflavone and 7-hydroxy-6-methoxyflavone, and caffeic acid into ferulic acid and isoferulic acid, respectively. Moreover, SaOMT5 turned out to be a $Mg^{2+}$-dependent OMT, and the effect of $Mg^{2+}$ ion on its activity was five times greater than those of $Ca^{2+}$, $Fe^{2+}$, and $Cu^{2+}$ ions, EDTA, and metal-free medium.

바이브로 해머 및 RCD 공법 적용시 기존터널에 미치는 진동영향해석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nd vibration induced by vibrohammer and RCD on adjacent subway tunnel)

  • 허영;남기천;김태형;방진호;곽창원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35-14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교량 기초를 위한 널말뚝 압입과 RCD 말뚝 시공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한 기존 지하철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한차분법에 의한 동적수치해석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진동에 의한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 기준을 국내외 사례를 토대로 제안하고 바이브로 해머의 제원과 하중제안식을 바탕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널말뚝 압입시 발생하는 최대입자속도를 산정하였다. 아울러 RCD 말뚝 시공시 비트진동에 의한 토체의 진동속도를 실측치와 경험식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그 결과를 허용진동기준과 비교하였다. 진동하중 하에서 시간에 따라 터널 천단, 어깨부 및 측벽부에서의 응답과 구조물 부재의 축응력, 전단응력 및 최대 휨압축응력이력을 제안된 기준과 비교하여 터널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 PDF

오염된 누전차단기 절연재료의 트래킹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cking Characteristics of Contaminated Insulating Materials of RCD)

  • 이춘하;옥경재;김시국;지승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7-71
    • /
    • 2008
  • 본 논문은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누전차단기 외함 절연재료의 오염에 의한 트래킹 특성을 연구하였다.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589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0.1 wt% NaCl 용액을 이용하여 KSC IEC 60112의 고체절연재료의 내트래킹 및 비교트래킹지수 측정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3개 제조사의 누전차단기를 사용하였으며, 누전차단기의 절연재료가 오염되었을 때 탄화도전로 발생시간 및 트래킹 발생형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제조사별로 탄화도전로의 발생 시간 및 트래킹 발생형태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오염된 차단기의 절연재료의 트래킹 발생 시간이 정상시료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RCD 스너버 및 준구형파를 이용한 250[W] HPS lamp용 전자석 안정기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Ballast for HPS lamp using the RCD Snubber and Quasi-Square Wave)

  • 강도형;박종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25
    • /
    • 2002
  • 본 논문은 고압 방전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전자식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Class D LCC 공진 인버터 방식을 이용하여, 램프의 초기 점등, 정상상태를 구동하게 하고, 준구형파로 ZC-ZVS Soft Switching을 구현하여 풀-브리지 스위치의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RCD 스너버 회로를 적용하여 스위치 발열 감소뿐만 아니라, 고주파 스위칭으로 인한 서지 전압의 감소를 통한 노이즈를 최소화시켜 제어부의 안정되고, 신뢰성 있는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정기의 전체적인 스위칭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