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BD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6초

기면병과 렘수면행동장애에서의 렘수면 뇌파 스펙트럼 분석 (Spectral Analysis of REM Sleep EEG in Narcolepsy and REM Sleep Behavior Disorder)

  • 김형일;정도언;박광석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1호
    • /
    • pp.33-38
    • /
    • 2008
  • 목 적 : 기면병과 렘수면 행동장애(RBD)에서 모두 신경 퇴행적 과정이 존재할 가능성과 함께 두 질환의 증상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는 제안이 많이 있었다. 이 연구는 두 렘수면 관련 질환에서 스펙트럼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렘수면 뇌파의 미세 차이에 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기면병과 RBD 각 군에서 9명씩 성비를 맞추어 분석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각각의 분석대상자의 세 개의 렘수면 주기에서 각각 연속된 세 수면단위를 골라 한 사람당 9개의 수면단위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델타파 영역에서는 그 비율이 기면병군에서 RB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알파파(p=0.02)와 베타 2영역($20{\sim}50\;Hz$)에서는 RBD군에서 기면병보다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서파수면은 기면병에서 많았으나 양군간에 렘수면 분율의 차이는 없었다(p=0.93). 결 론 : 기면병의 렘수면에서 RBD에 비해 델타파의 비율이 높은 양상은 수면촉진기전이 기면병에서 좀 더 우세하게 작용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 PDF

중추신경계질환 동반 여부에 따른 렘수면 행동장애의 임상 특성과 수면다원기록소견 소견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between REM Sleep Behavior Disorder with and without Associated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 이유진;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1호
    • /
    • pp.58-63
    • /
    • 2005
  • 목 적:중추신경계 질환의 병발 여부에 따라 렘수면 행동 장애 환자들을 두 군으로 나눈 후, 인구학적 특성, 임상양상, 수면 변인들을 비교하여 차이점과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서울대학교병원에서 야간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렘수면 행동장애로 확진받은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과 수면다원검사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필요한 경우 전화문진을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중추신경계 질환력과 뇌 자기공명검사 소견을 근거로 전체 대상을 중추신경계 질환을 동반한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과 그렇지 않은 특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으로 이분하였다. 그 후 두 군 사이의 인구학적 특성, 임상양상, 수면 변인을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전체 대상군 81명 중 남자는 64명, 여자는 17명이었다. 그리고 전체 대상중에 21명(25.9%)에서 중추신경계 질환이 동반되어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으로, 나머지 60명(74.1%)에서 그렇지 않아 특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으로 분류하였다. 동반된 중추신경계 질환은 파킨슨병(11명), 올리브뇌교소뇌위축(olivopontocerebellar atrophy)(3명), 다발신경계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2명), 파킨슨병을 동반하지 않은 치매(2명), 뇌경색(1명), 뇌교부종(1명), 뇌종양(1명)이었다. 전체 대상에서 수면장애가 병발된 경우는 74.1%로서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폐쇄성무호흡증이었다. 주기성 사지운동증(사지운동 지수>5)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호흡장애지수>5)의 유병율이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p=0.0042, Fisher 검증). 심한 정도를 나타내는 주기성 사지운동지수와 호흡장애지수도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p=0.017, 독립 t-test). 수면변인 중 서파수면분율과 수면효율은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각각 p<0.001, p=0.017, 독립 t-test). 고 찰:렘수면 행동장애 환자의 25%에서 중추신경계 질환이 동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추신경계 질환이 동반된 렘수면 행동장애에서는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같은 다른 수면장애가 더 흔하게 병발하였고 그 정도 역시 더 심하게 나타났다. 수면구조에서도 특발성 렘수면 행동장애에 비해 서파수면과 수면효율이 모두 더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 PDF

Applic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 LL-37 as an Adjuvant for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Antigen Induces an Efficient Protective Immune Response Against Viral Infection After Intranasal Immunization

  • Ju Kim;Ye Lin Yang;Yongsu Jeong;Yong-Suk Jang
    • IMMUNE NETWORK
    • /
    • 제22권5호
    • /
    • pp.41.1-41.16
    • /
    • 2022
  • The human antimicrobial peptide LL-37 has chemotactic and modulatory activities in various immune cells, including dendritic cells.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LL-37 can be considered an adjuvant for vaccine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possible adjuvant activity of LL-37 in mucosal vaccine development against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MERS-CoV) by means of intranasal immunization in C57BL/6 and human dipeptidyl peptidase 4 (hDPP4)-transgenic (hDPP4-Tg) mice. Intranasal immunization using the receptor-binding domain (RBD) of MERS-CoV spike protein (S-RBD) recombined with LL-37 (S-RBD-LL-37) induced an efficient mucosal IgA and systemic IgG response with virus-neutralizing activity, compared with S-RBD. Ag-specific CTL stimulation was also efficiently induced in the lungs of mice that had been intranasally immunized with S-RBD-LL-37, compared with S-RBD. Importantly, intranasal immunization of hDPP4-Tg mice with S-RBD-LL-37 led to reduced immune cell infiltration into the lungs after infection with MERS-CoV. Finally, intranasal immunization of hDPP4-Tg mice with S-RBD-LL-37 led to enhanced protective efficacy, with increased survival and reduced body weight loss after challenge infection with MERS-CoV.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RBD-LL-37 is an effective intranasal vaccine candidate molecule against MERS-CoV infection.

농업실험에서 임의화블록설계에 대한 대안 - 농촌진흥청 사례들을 중심으로 - (Alternation to the Randomized Block Design for Agricultural Experiments in Korea)

  • 허명회;한원식;신한풍
    • 응용통계연구
    • /
    • 제10권1호
    • /
    • pp.15-27
    • /
    • 1997
  • Randomized block design (RBD) with three replication is very frequently adopted in agricultural experiments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f Korea. Even though it works well in field trials of traditional crops, it may not accomodate trial site conditions and/or experimental environment. In this research report, we deal with two such cases. The first case is for a crop experiment in green houses. In house conditions, RBD may not be appropriate since it cannot reflect two directions of the yield gradient. So, a Latin square design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he second case is for local field experiments of the newly-inbred rice. RBD with three replications is used without doubt for decades, even though the site layout is not appropriately shaped for the design. In this case, we suggest the RBD in two blocks with multiple replicates for control varieties as an alternat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s in over one-thousand agricultural trials performed annually in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e need to re-train agricultural researchers on the design and analysis of experiments and call for concerns of Korean statisticians.

  • PDF

제어봉 제어 시스템의 제어함에 대한 RBD 분석 (THE RELIABILITY PREDICTION OF CONTROL CABINET OF CONTROL ROD CONTROL SYSTEM)

  • 정해원;서중석;육심균;남정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055-2057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RBD(Reliability Block Diagram) analysis of control rod control system, which is being developed as part of KNICS project. The results of RBD indicate unavailability of control cabinet for control rod control system. A purpose of RBB is to evaluate unavailability of control cabinet, identify the design drawbacks of control cabinet, and propose design improvement to a designer to help design the more reliable control rod control system. This RBD defines the logical interaction of failure within a system.

  • PDF

REM 수면 행동 장애의 치료에 대한 중의학 및 Kampo의 연구 경향 (Recent Reports in Treatment for REM Sleep Behavior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Kampo in Japan)

  • 최윤희;정진형;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3-352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treatment for REM sleep behavior disorder (RB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and Kampo in Japan.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in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under the key words, "RBD", and Chinese words related with it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s and Combin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With Western Medicine' field, and also in CiNii (Citation Information by NII); we also searched articles in Kampo Square in Japan under the key words, "RBD" and Japanese words related with it. We found 10 papers, and then selected 6 of them except the non-clinical and unrelated studies. We then analyzed their way of diagnosis, treatments, study type and etc.. Results: 6 studies were divided into 4 case reports, one control study, and one literature review study. All of the studies reported that Herbal medicine for RBD was effective as much as Western medicine like clonazepam and paroxetine. However,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these clinical studies were not enough. Conclusions: It seems that the researches for RBD have gradually been performed in TCM and Kampo. We hope that our study can activate/push forward clinical research for this disorder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국산 낙엽송 부재에 대한 ASD에서 RBD로의 코드 전환에 관한 연구 (Study on Soft Conversion from ASD to RBD Code in Larch)

  • 박천영;김호기;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45-50
    • /
    • 2004
  • 현재 국내의 목구조 설계는 ASD (Allowable Structural Design)에 기초하여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 설계 방법은 재료의 변이와 설계에 따른 다양한 조건물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못하고 있어 과설계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의 경우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1990년 초반부터 확률론적인 접근을 통한 설계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는 이에 기초한 설계 기준을 마련,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산재에 이러한 설계법을 도입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제재목과 집성재의 강도적 성능에 대한 분포 특성을 충분히 고찰하여 평균, 표준 편차, 분산, 변이 계수 동의 인자를 얻었고, 이를 통해서 국산낙엽송부재에 대해서 기존의 ASD 코드를 RBD (Reliability Based Design) 코드로 전환하여 기본적인 코드 전환 체계를 갖추고자 하였으며. RBD 코드로의 전환 시 따르게 되는 중요 변수 즉 시편 수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또한, 적어도 각 시편에 대해서 적어도 500개 이상의 반복수가 있어야만 어느 정도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 유병률과 임상 양상-오산시 역학 연구 (Preval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Probable REM Sleep Behavior Disorder-An Epidemiological Study in Osan City)

  • 최영민;윤인영;김기웅;이상돈;주가원;박준혁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23-28
    • /
    • 2011
  • 목 적: 렘수면 행동장애는 기존 역학 연구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의 유병률과 임상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오산시에 거주중인 60세 이상 노인 14,050명 중 1,588명이 임의추출을 통해 표본 집단으로 선정되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렘수면 행동장애 선별 설문지로 선별검사를 시행했다. 선별 설문지 점수가 5 이상인 집단은 수면의학 전문가가 직접 개별 면담평가를 시행했다. 결 과: 14,050명의 모집단 중 886명이 1차 선별평가를 마쳤다. 선별검사 설문지 점수가 5 이상인 145명 중 123명이 2차 진단평가를 받았다. 이중 11명이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로 진단되었고 유병률은 1.5%(95% CI=0.70-2.30%)로 나왔다. 우울과 인지기능 저하의 빈도가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 진단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는 노년층에서 드물지 않은 질환이지만 이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실정이다.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의 평가와 치료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된다.

신뢰도모델링에 의한 이중계제어기 전원공급방식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wer Supply Method Design for Hot Standby Sparing System via Reliability Modeling)

  • 신덕호;이강미;이재호;김용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527-532
    • /
    • 2007
  • 본 논문은 철도신호에서 사용되는 이중계제어장치의 전원공급방식에 대하여 상수고장률을 기반으로 하는 평균고장률에 의한 설계와 신뢰도함수에 의한 설계방안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운명이전에 신뢰도 요구사항 만족을 위한 시스템의 신뢰도 예측은 RBD모델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중계제어장치와 같이 여분을 갖는 시스템의 신뢰도를 RBD와 같은 조합모델에 의해 정확한 신뢰도를 모델링하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계구조 제어기의 설계과정에서 단순조합모델에 의한 설계방식 선정보다는 결함발생에 대한 여분구조의 모델링을 통한 설계방식 선정이 보다 정확한 신뢰도를 갖는 시스템구축을 가능하게 하며, 운영중에 발생되는 유지보수비용 및 고장으로 인한 손실비용의 효율화를 위해 필요함을 입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