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 264.7 murine macrophage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7초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maysin isolated from corn silk in murine RAW 264.7 macrophages

  • Lee, Jisun;Kim, Sun-Lim;Lee, Seul;Chung, Mi Ja;Park, Yong Il
    • BMB Reports
    • /
    • 제47권7호
    • /
    • pp.382-387
    • /
    • 2014
  • Corn silk (CS) has long been consumed as a traditional herb in Korea. Maysin is a major flavonoid of CS. The effects of maysin on macrophage activation were evaluated, using the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Maysin was isolated from CS by methanol extraction, and preparative $C_{18}$ reverse phase column chromatography. Maysin was nontoxic up to $100{\mu}g/ml$, and dose-dependently increased TNF-${\alpha}$ secretion and iNOS production by 11.2- and 4.2-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The activation and subsequent nuclear translocation of NF-${\kappa}B$ was substantially enhanced upon treatment with maysin ($1-100{\mu}g/ml$). Maysin also stimulated the phosphorylation of Akt and MAPKs (ERK, JNK).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ysin activates macrophages to secrete TNF-${\alpha}$ and induce iNOS expression, via the activation of the Akt, NF-${\kappa}B$ and MAPKs signaling pathways. These results suggest for the first time that maysin can be a new immunomodulator, enhancing the early innate immunity.

상황버섯과 발아현미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의 Murin Macrophage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반응 비교 (Comparative Effect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Phellinus linteus and Phellinus linteus Grown in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정용준;최세영;안치선;전윤희;박동기;임병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7-101
    • /
    • 2009
  •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hellinus linteus (PL) and Phellinus linteus Grow in Germinated Brown Rice (BRPL). In order to effectively screen for anti-inflammatory agents, we first examined the extracts' inhibitory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ctivated with lipopolysaccharide. Moreover,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PL and BRPL extracts on pro-inflammatory factors such as NO, iNOS, $TNF-{\alpha}$ and $IFN-{\gamma}$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NO production and iNOS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ugmented in LPS treated cell, the production of NO and iNOS was greater in the BRPL than in the PL group. In addition, protein and mRNA levels of $TNF-{\alpha}$ and $IFN-{\gamma}$ in BRPL showed relatively more potent pro-inflammatory-activity inhibition compared to that of PL.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PL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flammatory factors, and may be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materials.

실크 피브로인 유래 펩타이드에 의한 RAW 264.7 Macrophage의 Nitric Oxide 생성 촉진 (Stimula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by the Peptides Derived from Silk Fibroin.)

  • 박금주;현창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5
    • /
    • 2002
  • 실크 피브로인의 가수분해를 통해 생산된 펩타이드 성분에 의해 murin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이 촉진됨을 발견하였다. 산 및 효소적 가수분해물의 가수분해도를 비교한 결과 실크 피브로인 단백질은 산 가수분해에 의해 가장 효과적으로 분해되었으며 효소적 가수분해의 경우에는 pepsin, trypsin, Alcalase의 순으로 가수분해도가 높았다. 산 가수분해물을 단독으로 macrophage에 처리하였을 때 처리농도에 따라 NO 생성촉진활성이 높아졌으나 이 활성은 가수분해물 내의 펩타이드 성분들과 오염되어 혼재하는 LPS 성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함유된 LPS 성분들을 한외여과에 의해 제거한 효소적 가수분해물들의 NO 생성촉진활성은 peptic hydrolysate가 가장 높았고 tryptic-, Alcalase hydrolysate 순이었다. 이러한 활성의 차이는 가수분해물 내의 고분자량 펩타이드 분포가 많을수록 활성이 높다는 관계에 기인하였으나 산 가수분해물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나타났다. 각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arginine, lysine의 함량이 높을수록 활성이 높으며 alanine의 glycine에 대한 비율이 커질수록 활성이 높아졌다. 산 가수분해물의 경우에는 낮은 분자량의 펩타이드들이 많이 분포하지만 arginine 및 alanine의 함량이 높아 비교적 높은 NO 생성 촉진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nti-inflammatory Effect of Mangosteen (Garcinia mangostana L.) Peel Extract and its Compounds in LPS-induced RAW264.7 Cells

  • Widowati, Wahyu;Darsono, Lusiana;Suherman, Jo;Fauziah, Nurul;Maesaroh, Maesaroh;Erawijantari, Pande Putu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147-153
    • /
    • 2016
  • Inflamm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host defense against external stimuli such as infection by pathogen, endotoxin or chemical exposure by the production of the inflammatory mediators that produced by macrophage. Anti-inflammatory factor is important to treat the dangers of chronic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arcinia mangostana L. peel extract (GMPE), ${\alpha}$-mangostin, and ${\gamma}$-mangostin in LPS-induced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The cytotoxic assay of G. mangostana L. extract, ${\alpha}$-mangostin, and ${\gamma}$-mangostin were performed by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to determine the safe and non-toxic concentration in RAW 264.7 for the further assay. The concentr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COX-2, IL-6, and IL-$1{\beta}$) were measured by the ELISA-based assay and NO by the nitrate/nitrite colorimetric assay in treated LPS-induced RAW 264.7 cells. The inhibitory activity was determined by the reducing concentr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treated LPS-induced RAW 264.7 over the untreated cells. This research revealed that GMPE, ${\alpha}$-mangostin, and ${\gamma}$-mangostin posses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by reducing COX-2, IL-6, IL-$1{\beta}$, and NO production in LPS-induces RAW 264.7 cells.

RAW 264.7 대식세포에서 환원형 glutathione인 luthione의 면역 증강 활성 평가 (Evaluation of Immune Enhancing Activity of Luthione, a Reduced Glutathione, in RAW 264.7 Macrophages)

  • 지선영;권다혜;황혜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7-405
    • /
    • 2023
  • 항산화제로서 산화적 손상의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glutathione (GSH)의 면역 조절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환원형 GSH인 luthione®이 RAW 264.7 세포에서 면역 강화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유세포 분석 및 면역 형광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luthione은 대조군 세포에 비해 대식세포의 대표적인 기능인 식세포 활성을 luthione 처리 농도 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ytokine array의 결과에 의하면, IL-5, IL-1β와 IL-27의 발현이 luthione이 처리된 세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아울러 luthione에 의한 TNF-α 및 IL-1β의 생성 증가는 그들의 단백질 발현 증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NO 및 PGE2와 같은 면역 매개체 유리의 증가는 iNOS 및 COX-2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M1 대식세포 분화 마커인 CD86 발현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그리고 heatmap 분석을 통하여 SOCS1/3 매개 STAT/JAK 신호 전달 경로가 luthione에 의한 면역 조절 증가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결과는 luthione이 M1 macrophage polarization의 분자 조절자로 작용하여 면역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질다당류-자극된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에서 황금찰수수 종자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orghum bicolor (L.) Moench var. Hwanggeumchal Grain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Murine Macrophage Cell Line)

  • 전도연;우현주;고지연;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29-937
    • /
    • 2022
  • 황금찰수수 종자의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3가지 수수 품종(황금찰, 현찰, 찰)의 종자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확보하여, 지질다당류(LPS)에 의해 자극된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를 이용하여 염증반응 관련 일산화질소(NO) 생성에 대한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세가지 품종 중에서 황금찰수수 종자의 억제활성이 가장 강하게 확인되었다. 황금찰수수 종자의 EtOH 추출물은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MC), 에틸아세테이트(EtOAc), 및 n-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이후 활성이 강하게 확인된 MC 분획을 이용하여, LPS-자극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효능을 구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LPS-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관련 iNOS, COX-2 및 친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IL-6, TNF-α)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MC 분획은 LPS-자극에 의해 염증관련 현상으로 유도되는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PAK), c-Jun N-말단 키네이스(JNK) 및 세포외 신호조절 키네이스(ERK)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LC 분석으로 MC분획을 더 조사한 결과, 주요 구성 페놀화합물로서 gentisic acid와 naringenin을 확인하였다. Gentisic acid와 naringenin은 유사한 수준으로 LPS처리애 의해 RAW264.7 세포에서 유도되는 NO 생성에 대한 강력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황금찰수수 종자의 항염증 활성과 관련된 gentisic acid 및 naringenin의 작용을 잘 보여주며, 아울러 황금찰수수 종자가 곡물 기반 기능성 식품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유익한 건강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쥐 대식세포에 대한 고추나무(Staphylea bumalda) 잎의 항염증 효과 검증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taphylea bumalda Leaves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s)

  • 김정화;이재권
    • 약학회지
    • /
    • 제59권6호
    • /
    • pp.251-258
    • /
    • 2015
  •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ethanol extract from the leaves of Staphylea bumalda could be used to suppress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s, Raw 264.7 cells. The extract reduced nitric oxide (NO), cyclooxigenase-2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from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hese inhibitory effects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s in the phosphorylation of MAP kinases and the activity of $NF{\kappa}B$ signal pathways. Our results indicate that Staphylea bumalda significantly inhibits the inflammatory activity of activated macrophages, suggesting that Staphylea bumalda could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