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IO OF THE FLOWERING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초

고로쇠나무 개화·결실 특성 및 결실등급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Fruiting and the Factors Affecting Fruiting Degree of Acer pictum subsp. mono)

  • 김회진;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179-186
    • /
    • 2015
  • 고로쇠나무의 개화 결실 특성과 결실에 영향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각 지역의 천연활엽수림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의 개화와 결실특성 및 평창군 중왕산의 성숙한 고로쇠나무 29개체의 조사목에 대하여는 흉고직경, 수고, 수광률, 인접 30 m 이내 고로쇠나무 성목의 개체수, 결실등급을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하였다. 고로쇠나무는 웅예선숙(Protoandry: PA)과 자예선숙(Protogyny: PG)의 성형태를 가지는 이형자웅이숙(異型雌雄異熟, Heterodichogamy)하는 성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총 29개체 중 8개체는 성형태가 변화되었고, 3개체는 웅예선숙에서 자예선숙으로, 5개체는 자예선숙에서 웅예선숙으로 성이 전환되었다. 고로쇠나무는 애꽃벌류, 꽃등에류, 기생파리류 등이 수분한다. 어린 자방의 조기낙과는 7월 초순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초기에는 수분실패에 의한 작은 시과들이 많았고, 점차 피해입은 시과가 많아졌다. 연도나 지역에 따라 조기낙하하는 시과의 수에는 변이가 있고, 낙하원인별 시과의 비율도 연도나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고로쇠나무의 화서는 새 가지의 정단부에 위가 편평한 원추화서로 달리며, 결실된 새 가지에는 이듬해에 꽃눈이 발달할 수 없게 된다. 조사목 중 가장 높은 결실등급이 9.0 이고, 평균 결실등급이 3.8에 불과하였다. 2013년의 평균 결실등급이 4.55로 가장 높고, 시과가 거의 없었던 2014년에는 평균 결실등급이 0.07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개체목의 평균 결실등급은 개체목의 수광률과 고도의 상관 회귀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로쇠나무 채종림에서 수광생장간벌이 종자 생산량을 제고하는 하나의 방안이 됨을 암시한다고 사료된다.

토양수분(土壤水分) 불족(不足)이 토천궁(土川芎)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Water Stress on Growth of Ligusticum chuanxiong $H_{ORT}$)

  • 김청국;강병화;고문환;정동희;서종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01-307
    • /
    • 1996
  • 토양수분(土壤水分) 불족(不足)이 토천궁(土川芎)(Ligusticum chuanxiong Hort.)의 생육형질(生育形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 보고자 비가림 비닐하우스안의 베드에서 우리나라 기상(氣象) 여건상(與件上) 한발(旱魃)이 자주 발생(發生)되는 유식물기(幼植物期), 개화기(開花期) 및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에 토괴수분(土壞水分) 불족(不足)을 유발(誘發)시켜 시험(試驗)을 속행(速行)한 정과(精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면적(葉面積)은 수분불족처리(水分不足處理) 위료직후(緯了直後)에는 유식륜기(幼植輪期) 수분불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대조구(對照區) 24.4%로 가장 심하게 감소(減少)되 었으며, 수확기(收穫期)에는 근경비대기(根莖肥大期) 수분불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대조구(對照區)의 41.6%로 가장 감소(減少)가 심하였다. 2. 엽녹소(葉綠素) 함양(含量)은 수분불족처리(水分不足處理) 종료(終了) 직후(直後)에는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유식물기(幼植物期) 수분불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41.2%가 감소(減少)되어 감소율(減少率)이 가장 심하였고, 개화기(開花期) 수분불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감소률(減少率)이 적었으며, 수확기(收穫期)에 는 유식물기(幼植物期)와 개화기(開花期) 수아불족(水芽不足) 처리시(處理時)는 95% 이상(以上) 회복(回復)되었다. 3. 세근(細根)의 뿌리분포(分布)는 유핵물기(幼核物期) 수분불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지표면(地表面)에서 l0cm부근의 분포률(分布率)이 90%로 가장 높았으며, 토양(土壤) 20cm 이상(以上)의 깊이에서는 근잔비대기(根盞肥大期) 수분불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6.4%로 가장 높았고, 세근(細根)의 건물중(乾物重)은 수맥불족(水麥不足) 장득(障得)를 받을 경우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19.3{\sim}40.3%$가 감소(減少) 되었다. 4.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 건물중(乾物重)은 유식물기(幼植物期), 개화기(開花期), 근동범대기(根童犯大期), 대조구(對照區)의 순으로 감소(減少)되었으며, 수분불족(水分不足) 처리시(處理時) 지하부(地下部) 건물중(乾物重) 보다는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의 감소(減少)가 더 심하였다.

  • PDF

환상박피 처리에 의한 일본잎갈나무의 착과유도 효과와 질소 화합물 함량의 증가 (Stem Girding Increases Seed Production and Nitrogenous Compounds in Larix leptolepis)

  • 이위영;박응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129-135
    • /
    • 2013
  • 낙엽송(Larix kaempferi) 채종원의 종자생산을 증진하기 위하여 접목 32년생의 채종목에 환상박피 처리를 하였다. 환상박피처리에 의하여 무처리보다 4배에 이르는 착과량 증가 효과가 있어 환상박피 처리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환상박피 처리에 의한 낙엽송 주간 수피조직내의 대사물질의 변화를 IR-MS, GC-MS 및 HPLC로 분석하여 무처리와 비교한 결과 전질소 함량, sucrose 함량 및 전체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되었다. 또한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화아원기가 형성되는 8월의 aspartic acid, glutamic acd, glycine, serine, cysteine, threonine 및 alanine이 환상박피 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물질과 착과량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착과량과 수피조직내의 전질소 함량(r=0.765, p<0.01)과 전체 유리 아미노산 함량(r=0.802, p<0.01)간에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화아원기 형성기인 7월 및 8월의 수피조직내의 aspartic acid, glutamic acd, glycine, serine 및 cysteine이 착과량과 정의 상관관계(p<0.05)가 있어, 아미노산의 질소화합물 인자가 낙엽송 화아원기 유도에 직,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잔디밭 잡초의 분류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Chracteristic of Lawn Weeds)

  • 이명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9-64
    • /
    • 198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lassification and the growing charicteristics of weed species in a newly formed lawngrass l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Weed population in a newly formed lawn field consisted of 30% of Gramineae, 15% of Compositae, and 12% of Leguminosae family. 2)Percentage of weed emergence between April and May was 39.4%. The same amount of weed emergence was observed at the period of September and October, where as the percentage was 21.2% at the period of March and April. 3)The population ratio of flowering date of weed species was in order of 48.5% July and August, 30.3% in May and July, 12.1% in March and April, and 9.1% in September and October. 4)Weed classification by life cycle showed 39.4% of biennials, 33.3% of annuals, and 27.3% of perennials. 5)Weed specie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plant height. The ratios of each group were 33.3% of 20~40cm group, 27.3% of 40~60cm group, 24.2% of shorter than 20cm group, and 15.2% of taller than 60cm group.

  • PDF

야간조명이 참깨와 들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ght Illumination on Growth and Yield of Sesame and Perilla)

  • 김충국;서종호;조현숙;김시주;변종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0-85
    • /
    • 2002
  • 야간조명 광도의 변화가 참깨와 들깨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참깨는 안산깨와 서둔깨, 들깨는 종실용인 옥동들깨와 엽실겸용인 아름들깨를 사용하여 1.0~10.0Lx(5~28 ㎽ m$^{-2}$ , 0.01~0.14 $\mu$㏖ s$^{-1}$ m$^{-2}$ )의 광도로 전 생육기간 동안 밤새조명을 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깨 생육은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경장과 초삭고는 증가되었으며, 분지수는 감소되었고, 개화 및 성숙기가 지연되었다. 2. 참깨 수량은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주당삭수와 등숙율이 감소되어 수량이 감소되었으며, 서둔깨보다 안산개의 감소정도가 컸다. 3. 들깨의 생육은 야간조명시 절수가 증가되었으며, 분지수는 감소하였다. 4. 들깨의 개화와 성숙기는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현저하게 지연되었으며, 야간조명 광도 2Lx 이하에 비하여 6~10Lx에서는 개화가 21~28일이 지연되었다. 5. 들깨의 수량은 야간광도가 높을수록 화방군수와 화방당 삭수 및 천립중이 감소되어 야간조명 광도 2Lx이하에 비하여 6~10Lx에서는 89~98%가 감소되어 수량을 기대할 수 없었다. 6. 수량과 생육특성과의 상호관계는 참깨와 들깨에서 모두 개화까지의 소요일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참깨의 주당삭수, 등숙율과 들깨의 화방군수, 화방당 립수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녹비작물 재배가 토양화학성 및 인삼뿌리썩음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Manure Crop Cultiv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oot Rot Disease in Continuous Cropping Field of Ginseng)

  • 이성우;박경훈;이승호;장인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
    • /
    • 2017
  • Background: Some plants have harmful effects on fungi and bacteria as well as other plants. Incorporating such plant into soil as green manure is effective in reducing population densities of soil pathogens. Methods and Results: Twenty-three species of green manure crops were cultivated after the harvest of 6-year-old ginseng and then incorporated into the soil at the flowering stage. The following year, the root rot ratio of 2-year-old ginseng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absence of green manure addition, the $NO_3$ content, electric conductivity (EC), and K content decreased by 95%, 79% and 65%,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green manure addition, $P_2O_5$ and $NO_3$ contents reduced by 41% and 25%, respectively. The "survived root ratio" of 2-year-old ginseng significantly increased by 56.2%, 47.5%, and 47.3%, in the Sorghum sudanense, Ricinus communis and Helianthus tuberosus treat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urvived root ratio" in the Secale cereale, Chrysanthemum morifolium, Atractylodes macrocephala, and Smallanthus sonchifolius treatments. The "survived root ratio" of ginse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oil pH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O_3$ contents, and EC. Conclusions: Cultivation of plant form the Chrysanthemum family as green manure, using mainly the rhizomes was effective for the control of root rot disease of ginseng.

조기낙엽에 따른 참다래(골드러쉬) 무착과 유목 액아의 발아와 착화 (Regrowth of Buds and Flower Bud Formation in Kiwifruit as Affected by Early Defoliation)

  • 곽용범;김홍림;채원병;이재한;이응호;김진국;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1-206
    • /
    • 2013
  • 본 연구는 태풍에 의한 참다래 (골드러쉬) 조기 낙엽이 무착과 유목의 액아 발아와 착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7, 8, 9, 및 10월에 인위적인 적엽처리를 하였다. 먼저 당해연도 액아의 재발아는 7월 적엽처리에서는 무처리의 23.2%와 마찬가지로 높은 재발아율을 나타냈다. 또한 8월의 경우 무처리의 재발아율은 5.8%로 낮았지만 적엽처리구는 17.23%의 높은 재발아율을 나타냈다. 하지만, 9월 적엽처리는 무처리의4.2%와 비슷한 낮은 재발아율을 나타냈으며, 10월 적엽처리에서는 재발아가 전혀 되지 않아 액아가 완전히 휴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엽처리에 의한 익년 착화율은 적엽시기와 적엽률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다. 적엽 시기 중 7, 8, 9월에 75% 및 100% 적엽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해 유의성 있는 착화율 감소를 보인 반면, 10월 적엽처리는 적엽률에 관계없이 착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착화 신초 한 개에 맺히는 꽃봉오리 수의 경우 75% 이상 적엽이 될 경우 무처리에 비해 절반 이하로 감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7월과 8월의 경우 적엽에 의해 꽃눈의 원기형성이 진행되어야할 액아의 재발아율이 높아 원기 형성이 감소했기 때문이며, 9월과 10월은 액아의 꽃눈 원기 형성은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광합성 산물 생산을 위한 잎의 부족 또는 부재로 저장양분 축적이 부족하여 이듬해 봄 꽃눈의 형태적 분화가 감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재배 지대에 따른 참당귀의 추대 변이와 FLC 유전자 특성 (Variation of Bolting at Cultivation of Different Regions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LC homologs in Angelica gigas Nakai)

  • 김영국;여준환;안태진;한신희;안영섭;박충범;장윤희;김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59-364
    • /
    • 2012
  •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find bolting response of cultivation in different regions and to isolate FLC (FLOWERING LOCUS C) homologs in Angelica gigas Nakai. The mean temperature of different regions, ordering in altitude, were as follows: 100 m > 350 m > 530 m > 700 m. The largest amount of rainfall was occurred in the region of 350 m while the longest time of sunshine was occurred in the region of 100 m. The cont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regions showed pH 6.2 ~ 7.4, T-N 0.17 ~ 26, organic mater $1{\sim}32gkg^{-1}$, $P_2O_5$ ${151{\sim}664_{mgkg}}^{-1}$, exchangeable potassium and calcium and magnesium were 0.78 ~ 1.15, 3.9 ~ 10.0, ${0.7{\sim}3.2_{cmol}}^{+kg-1}$. L5 line of A. gigas was occurred in bolting at all regions, but the bolting ratio was 60.0% in 700 m region with non-mulching treatment. Manchu of A. gigas was not occurred in bolting at all regions. The accumulation bolting ratio of L5 line by non-mulching was higher than that of mulching as 90.4% and 72.8% in 100 m region. The MADS-box transcription factor FLC is one of the well-known examples as a strong floral repressor. We decided to isolate FLC homologs from A. gigas as a starting point of flowering mechanism research of this plant. We have isolated two RT-PCR products which showed very high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to Arabidopsis FLC.

국화 '백마'의 겨울철 재배시 야간최저온도가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ght Minimum Temperature During Winter Season on Growth and Flowerng in Chrysanthemum 'Baekma')

  • 최성열;허은주;권오근;임진희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6-230
    • /
    • 2009
  • '백마'의 겨울철 재배시 야간최저온도가 생장 및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야간최저 온도를 각각 $14^{\circ}C$, $16^{\circ}C$, $18^{\circ}C$로 처리한 후 온도별 생육 및 개회특성, 생리장해 발생 등을 '신마'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발뢰소요일수는 모든 처리 온도에서 '백마'가 '신마'보다 2-11일 정도 길었으나, 개회소요일수는 두 품종 모두 54-59일 정도로 품종간에 유의차가 없었고, 야간 최저온도가 높아짐에 띠라 개화소요일수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절화장 및 절회중은 두 품종 모두 야간최저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고, 꽃잎수는 '백마'의 경우 $16^{\circ}C$에서 300개 이었으나, $14^{\circ}C$$18^{\circ}C$에서는 각각 210개, 233개로 적어져 온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지만, '신마'의 경우에는 온도간 차이가 없었다. 동계 저온에 의한 생리장해 중 로젯트는 '백마'에서만 발생하였으며 $14^{\circ}C$에서 11.1%, $16^{\circ}C$에서 55.6%, $18^{\circ}C$에서 56.1% 발생하였다. 단일처리 후 미발뢰율은 야간최저온도 $14^{\circ}C$에서 '백마' 17.3%, '신마' 4% 이었다.

재배종 시호의 생육특성 및 생육시기별 변화 (Growth Characters and Their Seasonal Changes in Bupleurum falcatum L. Cultivars, 'Jeongsun' and 'Mishima')

  • 김관수;채영암;이봉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34-242
    • /
    • 2000
  • 국내에서 재배되는 약용식물인 정선시호와 삼도시호 두 재배종의 생육특성을 비교한 결과 , 정선시호가 삼도시호보다 경장이 크고 주당근중이 높았으며 숙기가 빠른 반면, 삼도시호는 정선시호보다 경엽중이 크고 지경수가 많았으며 근피율이 높았다. 주요 생육형질들의 개체간 변이는 삼도시호가 정선시호보다 대체로 높았다. 생육형질들간의 상관분석에서 근중, 근경 등 지하부형질과 경태, 경엽중, 지경수 등 지상부형질과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생육시기별 두 재배종 시호의 생육량 변화를 비교한 결과, 두 재배종 모두에서 경장, 마디수는 9월 이후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근장, 지경수는 11월까지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 였다. 경엽중과 근중은 두 재배종 모두 9월 이후에 계속 증가하였다. 삼도시호는 경엽중 증가율이, 정선시호는 근중 증가율이 높았다. 그리고 근중비율은 정선시호에서, 근피율은 삼도시호에서 생육기간중 계속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삼도시호의 경우 10월 이후까지 두 형질이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개화기의 경우 정선시호 (8월 17일) 가 삼도시호 (9월 16일) 보다 1개월 빨랐으며 정선시호는 8월 30일에, 삼도시호는 9월 30일경에 전부 개화하였다. 두 재배종 시호의 기본적 생육특성의 차이는 숙기에 있었으며, 정선시호는 10월 정도에 지상부 생육이 거의 정지하였고 개화기가 늦은 삼도시호는 11월까지 계속 생육이 진행되었다. 개화가 빠른 정선시호는 근중이 높았는데 뿌리 생육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