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ARE SPECIES

검색결과 852건 처리시간 0.028초

응봉산(강원, 영월)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Eungbongsan (Prov. Gangwon, Youngwol))

  • 문애라;한종원;박정미;장창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4-247
    • /
    • 2013
  • 본 조사는 강원도 영월군 응봉산의 관속식물 분포를 밝히기 위해 2011년 4월부터 10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소산 관속식물은 89과 288속 405종 3아종 43변종 7품종으로 총 4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고려엉겅퀴, 각시서덜취, 참배암차즈기, 홀아비바람꽃,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은사시나무(재), 개수양버들, 키버들, 누른괭이눈, 고광나무, 참좁쌀풀,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오동나무, 점현호색 등 1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개서어나무,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쥐방울덩굴, 도깨비부채, 참좁쌀풀, 꽃개회나무, 나도개감채, 금강애기나리, 참배암차즈기 등 총 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I 등급종이 39분류군, II 등급종이 14분류군, III 등급종이 19분류군, IV 등급종이 14분류군, V 등급종이 1분류군으로 총 8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8과 28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밝혀진 전체 소산 식물목록 중 약 6.1%를 차지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군락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 주변 식생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Southwest Chuncheon Area)

  • 이혜정;한준수;이우철;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6-395
    • /
    • 2008
  •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을 2006년 3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11과 448속 766종 2아종 119변종 27품종으로 총 914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914분류군 중 특산식물은 33분류군이며, 희귀식물과 멸종위기 식물은 각각 26분류군과 4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15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생활형 조성은 H-R5-D1-e type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914종류의 용도는 식용이 308종류(33.7%)로 가장 높았고 약용 276종류(30.2%), 목초용 148종류(16.2%), 관상용 127종류(13.9%), 목재용 36종류(3.9%), 섬유용 25종류(2.7%), 그리고 공업용이 4종류(0.4%)로 나타났다. 식생분석결과 춘천 남서부 지역의 식생은 5개의 군집, 즉 거제수나무-고로쇠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 그리고 소나무 군집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체 스크리닝으로 선별된 Nocardiopsis 균주의 대장균 접합을 통한 유전자 도입전략 최적화 (Gene Transfer Optimization via E. coli-driven Conjugation in Nocardiopsis Strain Isolated via Genome Screening)

  • 전호근;이미진;김현범;한규범;김응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4-110
    • /
    • 2011
  • 방선균은 그램양성 토양 박테리아로서 항생제, 항암제, 항구충제, 면역억제제 등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을 생산하는 유용 산업미생물이다. 비록 대부분의 방선균이 속해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는 지난 수 십 년간 분자수준에서의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에 분리된 잠재적 유용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이외의 희소방선균들은 유전자 조작시스템의 부재로 그 특성이 잘 규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적으로 분리된 180 여 방선균주들 중에서 희소방선균만을 선별하기 위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유전체 스크리닝 전략을 시도하였으며, 이 전략을 통하여 7종의 희소방선균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다. 특히 여러 생리활성 테스트를 통하여, 항진균 및 항생제 활성을 띄는 잠재적 유용성이 높은 노카이디옵시스 균주 MMBL010을 선별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방선균 유전자 조작기법이 작동하지 않는 본 MMBL010 균주를 대장균 접합을 통한 유전자 전달 시스템도 최적화시킴으로써, 유전체 스크리닝을 통한 유용희소방선균의 선별 및 유전자 조작시스템 구축은 궁극적으로 희소방선균의 잠재적 유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으로 사료된다.

화악산(경북 ${\cdot}$ 청도)의 관속식물 분포현황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Mt. Hwaak (Cheongdo-gun, Gyeongsangbuk-do))

  • 김중현;김용현;김동갑;윤창영;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8-161
    • /
    • 2008
  • 본 연구는 화악산(931m)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6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6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92과 248속 281종 1아종 47변종 9품종의 총 338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는 한반도의 관속식물 4,881종류의 6.9%에 해당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338종류의 식물자원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총 278종류의 자원식물로 분류되었으며, 식용자원(E)은 154종류(55.3%), 약용자원(M)은 163종류(58.6%), 관상자원(O)은 58종류(20.8%), 초지자원(P)은 91종류(32.7%), 공업원료자원(I)은 22종류(7.9%), 목재자원(T)은 9종류(3.2%)로 나타났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산림청 지정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1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21종류, 귀화식물이 19종류로서 귀화율은 5.6%, 도시화지수는 6.8%로 나타났다.

조봉(강원, 양양) 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s Resources in Mt. Jo-bong (Yangyang-gun, Gangwon-do))

  • 한준수;천경식;김경아;옥길환;정희진;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9-142
    • /
    • 2013
  • 강원도 양양군 조봉지역에 대한 식물자원을 2011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총 92과 296속 434종 6아종 49변종 11품종으로 총 500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한국특산식물은 13분류군, 희귀식물은 14분류군, 그리고 멸종위기야생식물은 II급의 한계령풀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1분류군, IV등급 11분류군, III등급 21분류군, II등급 12분류군, 그리고 I등급 30분류군으로 총 7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3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귀화율은 6.4%, 도시화지수는 10%로 산출되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93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약용, 목초용, 관상용의 순이었으며, 용도를 알지 못하는 종류도 14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절편위치 및 치상방법에 따른 기내증식 및 미세삽목 (Effect of explant's position and culture method on shoot proliferation and micro-cuttings for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 이나념;김지아;김용욱;최용의;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28-234
    • /
    • 2015
  • 본 실험은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인 미선나무의 효과적인 증식을 위하여 줄기 증식,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절편의 위치 효과 및 치상 방법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줄기유도는 BA를 처리한 액아절편 배양이 효과적이었으며 절편 당 2.4개의 줄기가 유도되었다. 정아 및 액아절편을 BA 1.0 mg/L를 전처리하여 수평과 수직으로 치상하였을 때 줄기유도는 액아 절편의 수직치상으로 절편 당 2.5개로 가장 좋았다. 반면 줄기의 생장, 발근 및 뿌리 발달은 정아절편의 수직치상에서 양호하였고 BA의 전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발근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내증식된 줄기의 정아 및 액아를 절편으로 기외에서 미세삽목(micro-cutting)을 실시하여정아절편에서 100% 발근되었고, 뿌리수는 개체 당 평균 6.2개로 가장 양호하였다. 미세삽목묘는 온실에서 95% 이상 순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선나무의 기내 증식은 액아를 절편으로 BA 처리 후 수직 치상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며, 줄기의 생장 및 발근은 정아를 절편으로 수직치상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아를 절편으로 미세삽목을 통해 효과적인 발근 유도 및 순화가 가능하여 미선나무의 실용적인 묘목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세종시 남부일대의 관속식물상 연구 (Vascular Plant Species in the Southern Sejong)

  • 성정원;강신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1-336
    • /
    • 2020
  • 본 연구는 세종시 식물자원의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식생관리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식물생태계 보존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종시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은 104과 315속 462종 3아종 59변종 7품종의 총 53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총 8과 8속 8종 8분류군으로 취약종(VU) 개박하 등 2분류군, 약관심종(LC) 쥐방울덩굴 등 4분류군, 자료부족종(DD) 큰개고사리 1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여 전체 식물종 중 1.5% 비율로 나타났다. 주목은 생태적으로 중요하지만 수형과 형태가 곧아 조경 식재용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특산식물은 총 8과 9속 9종 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은사시나무, 오동나무는 산림경관용 군락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자리공 등 2분류군, IV등급은 좀현호색 등 4분류군, III등급은 탱자나무 등 8분류군, II등급은 참개별꽃2분류군, I등급은 쇠고비 등 2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8과 38속 48종 1변종 4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도시화지수(UI) 15.3%, 귀화율(NI) 8.7%로 분석되었다. 산림휴양과 치유에 필요한 유용식물은 식용이 199분류군으로 가장 높았으며, 목초용 193분류군, 약용 178분류군, 관상용 82분류군, 목재용 25분류군, 섬유용 18분류군, 염료용 9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종시 남부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주로 조사된 자료는 생태적 가치에 집중된 경향이 있기 때문에 향후 이용객들이 식물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보전용, 약용, 식용, 관상용 등 구분하여 보전에 대한 중요성 제고와 실생활과 밀접한 자원 발굴 등 자료 구축이 이루어진다면 세종시 남부일대의 식물상에 대한 자원적 및 생태적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대구 앞산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of Apsan Park in Daegu, Korea)

  • 장정걸;유성태;김병도;권혜연;이명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65-397
    • /
    • 2020
  • 본 연구는 대구시 앞산공원 일대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8년 4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39회에 걸쳐 수행하였고, 확인한 관속식물은 114과 382속 619종 5아종 77변종 12품종 5교잡종 3재배품종 등 총 721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23분류군: 멸종위기종(CR) 왕벚나무 1분류군, 위기종(EN) 깽깽이풀 및 애기자운2분류군, 취약종(VU) 왜박주가리 및 멱쇠채 등 8분류군, 약관심종(LC) 가침박달 등 11분류군 및 자료부족종(DD) 옥녀꽃대 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특산식물은 진범, 외대으아리, 노랑갈퀴 등 1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구계학적특정식물 98분류군: V등급 구상난풀 1분류군, IV등급 사철고사리 등 11분류군, III등급 바위손 등 24분류군, II등급오리나무 등 18분류군 및 I등급 큰꽃으아리 등 4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은 57분류군으로 이 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및 가시상추 3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도시화지수는 17.76%, 귀화율은 7.91%로 대구 인근지역 주요 산지 및 과거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다소 높은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을 보였다. 이는 도심지와 가까워 접근성이 좋고 연간천만 이상의 시민이 이용하고 있어 수많은 산책로가 개설되는 등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지면서 귀화식물의 유입이 많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 자생식물들의 위협이 될 우려가 있어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을 우선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도솔산(강원, 양구)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Dosol and its adjacent areas (Yanggu-gun, Gangwon-do))

  • 김경아;한준수;천경식;박용호;강종수;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9-76
    • /
    • 2014
  • 강원도 양구군에 위치한 도솔산 일대의 식물상을 2012년 4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표본에 의해 확인된 관속식물은 89과 281속 438종 3아종 61변종 8품종으로 총 510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한국특산식물은 21분류군, 희귀식물은 24분류군, 그리고 멸종위기야생식물은 2등급에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16분류군, III등급 30분류군, II등급 37분류군, 그리고 I등급 35분류군으로 총 12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2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5.3%, 도시화지수는 8.4%로 산출되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201분류군(39.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목초용 186분류군(36.5%), 약용 144분류군(28.2%), 관상용 56분류군(11.0%), 목재용 16분류군(3.1%), 다용도 8분류군(1.6%), 그리고 섬유용 4분류군(0.8%)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압해도(전라남도 신안군)의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Aphaedo Island in Shinan-gun, Jeollanam-do, Korea)

  • 현진오;나혜련;김연수;한병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5-99
    • /
    • 2018
  •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압해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 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총 28일간 현지조사를 통해 확보된 표본에 근거하여 식물목록을 작성한 결과, 압해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02과 294속에 속하는 413종 6아종 30변종 2품종 등 총 45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에서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은 왕자귀나무, 병아리다리, 성주풀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6분류군, III등급 19분류군, II등급 4분류군, I등급 26분류군 등 총 5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산식물은 새끼노루귀, 좀땅비싸리, 해변싸리 등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교란식물인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등을 포함하여 총 5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압해대교 개통 전후에 수행된 선행연구 비교를 통하여 압해도의 귀화식물 변화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