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D-PCR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38초

리스테리아균의 특성분석을 위한 Molecular Typing 방법의 상호보완 (Enhanced Discrimination of Listeria spp. Using RAPD Fingerprinting Complemented by Ribotyping-PCR)

  • 임형근;홍종해;박경진;최원상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9-704
    • /
    • 2003
  • 리스테리아를 보다 효과적으로 typing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표준균주 13종을 대상으로 하여 RAPD, ERIC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fingerprinting, ribotyping-PCR의 분리력을 비교해 보았다. DG107 (primer 6) 또는 DG122 (Lis 11) primer를 이용한 RAPD의 경우 11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반면, ERIC fingerprinting은 9가지, ribotyping-PCR은 7가지씩의 유형을 보였다. 그러나 2가지 primer를 이용하여 각각 행한 RAPD 결과를 종합하거나, DG122를 이용한 RAPD와 ribotyping-PCR의 결과를 종합할 경우 13가지의 유형으로 모두 분리할 수 있었다.

양파(Allium cepa L)의 RAPD 분석조건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RAPD-PCR Conditions for Onions, Allium cepa L.)

  • 정순재;양보경;김익수;박선희;서전규;남재성;김현경;김도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2-187
    • /
    • 2000
  • The optimized RAPD-PCR conditions, which can be utiliz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analysis of the genet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with four onion varieties, named Changryungdaego, Yeoeuijuhwang, Yakwangju, and Dabonghwang using Operon primers, OPR01 (TGCGGGTCCT) and OPZ20 (ACTTTGGCGG). We tested several concentrations of DNA, primer, and MgCl2, annealing temperature, number of PCR cycle, and presence/absence of pre-heating time at the begining of PCR reation in the 25${mu}ell$ volume. The best RAPD profiles were obtained using 50ng of DNA, 5mM of primer, 1.5mM of MgCl2, 45$^{\circ}C$ of annealing temperature and an absence of pre-heating time. An establishment of the stable and reproducible RAPD-PCR condition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subsequent RAPD-related investigation, such as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he onion strains, re-establishment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 PDF

뽕나무(Morus alba L.)의 RAPD 분석조건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RAPD-FCR Conditions for Morus alba L.)

  • 정대수;양보경;김나영;정순재;남재성;이영병;이재헌;김경태;김도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0-114
    • /
    • 2004
  • 본 연구는 뽕나무 품종간의 유전적 특성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최적의 RAPD-PCR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밀성뽕', '청일뽕', '수일뽕' 그리고 한성뽕'등의 4품종을 이용하여 Operon사의 OPY15 (5'-AG-TCGCCCTT-3') primer를 사용, 여러 가지 PCR 조건하에서 실험하였다. DNA 농도, primer농도, $MgCl_2$ 농도, PCR 횟수, annealing temperature, pre-heating time의 조작유무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을 대상으로 시험을 수행한 결과, $25 \mu$ 반응용액을 기준으로 50 ng의 template DNA, $1 \muM$의 random primer, 1.5 mM의$MgCl_2$45회의 PCR cycle, 45$^{\circ}C$의 annealing temperature 그리고 pre-heating time이 없는 조건이 최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RAPD-PCR법의 안정적인 조건의 확립은 후차적인 뽕나무 품종간의 유전적 특성의 규명, 계통간의 관련, 신품종 육성 등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RAPD표지인자를 이용한 3종의 가리비에 대한 유전적 유연관계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ree Scallop Species, Chlamys farreri farreri, Patinopecten yessoensis and Agropecten irradians, Using RAPD Markers)

  • 지희윤;김윤경;박영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01
  • PCR-RAPD 표지인자를 이용하여 비단가리비와 큰가리비 그리고 해만가리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60개의 random primer중 6개의 primer를 선택하여 시료들의 RAPD 양상을 비교하였다. 모든 primer들은 서로 다른 속의 가리비 종류에 대하여 특이적 RAPD band 형태를 나타내었다. 비단가리비에서는 패각 크기와 색깔의 특성이 두 집단간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RAPD 양상은 두 지리적 집단간에 유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형성 RAPD 대립인자들이 각 가리비종의 동일 집단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RAPD 표지인자는 가리비를 동정하고 가리비 집단 구조를 연구하는데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 PDF

Fusarium 종에서의 RAPD-PCR분석 (RAPD-PCR Analysis in Fusarium species)

  • 민병례;양연주;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7-114
    • /
    • 1999
  • Fusarium 균에 속하는 16종 21균주를 대상으로 RAPD-PCR 방법을 이용하여 DNA 다형성을 분석하여 계통 유전학적 유연관계를 검토하였다. 40개의 random primer 로 시험하여 실험한 모든 종에서 다형성을 나타내는 11개의 primer를 선별하였다. RAPD 분석결과 평균 23.9개씩 모두 263개의 크기가 다른 RAPD 밴드들을 조사할 수 있었다. 각 primer에 대해 각각 독특한 DNA 다형성을 나타내었고, 증폭된 DNA 크기는 0.1-3.0 kb 범위에서 형성되었다. 각 균주간의 genetic similarity를 계산하여 유연관계를 dendrogram 으로 나타내었다. Genetic similarity 0.627을 기준으로 하여 크게 4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 PDF

해조류로부터 Arbitrary 및 ITS Primer들을 사용한 직접 PCR 유전자 증폭반응의 한계 (Limits of Direct PCR Amplification from Seaweeds Using Arbitrary and ITS Primers)

  • 김용국;진형주;박선미;진덕희;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1
    • /
    • 1999
  • PCR 기법을 응용한 RAPD 방법은 대상 생물의 유전정보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도 arbitrary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함으로써 생물 종간의 유전적 표식자를 확인할 수 있는 간편하고 유익한 유전분석 방법이다. 이같은 RAPD 방법을 이용하여 해조류 방사무늬 김, 미역, 구멍갈파래에 대하여 DNA를 추출하지 않고 직접 생 엽체 및 생 사상체, 생 배우체를 PCR template로 사용하여 PCR product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specific primer를 이용한 nulear r DNA의 internal trancribed spacer (ITS) 부위는 생성물을 만들지 못하였다. 간편한 LiCl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DNA를 사용하였을 때는 IST 및 RAPD 모두 PCR product를 생산하였다. 방사무늬 김의 엽체 (haploid)와 사상체 (dip-loid)로 부터의 ITS 생성물은 동일하였으나 RAPD 생성물은 사용한 arbitrary primer에 따라 36-50$\%$의 다른 band가 만들어졌다. 또한 직접 생 조직을 사용하였을때와 추출 DNA를 사용하였을 때도 53-57$\%$의 다른 band가 만들어 줬다. 그러므로 RAPD 방법으로 유전분석 실험에는 동일한 ploidy의 조직을 template로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탄저균의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CR 분석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CR Analysis for Identification of Bacillus anthracis)

  • 김성주;박경현;김형태;조기승;김기천;최영길;박승환;이남택;채영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6-60
    • /
    • 2001
  • 탄저균의 분자적 다양성 분석은 다양한 DNA표지의 부족으로 쉬운 일이 아니어서, 본 연구에서는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PCR을 이용하여 Bacillus 속으로부터 탄저균을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DNA 표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RAPD-PCR을 이용한 분석은 다양한 Bacillus 종으로부터 탄저균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Bacillus 종 사이에서 확실한 유전적인 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간단, 신속하고, 그리고 정확하게 탄저균을 진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 PDF

REP-PCR을 이용한 국내 사람과 동물유래 Staphylococcus aureus 분리주의 Molecular Typing (Molecular Typing of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from Domestic Animals and Humans by REP-PCR Analysis)

  • 우용구;김신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0-66
    • /
    • 2005
  • 국내산 한우, 흑염소, 돼지, 개, 닭 및 마우스 둥을 포함한 각종 동물과 사람환자에서 분리된 MRSA 균주를 포함하여 총 116주의 S. aureus 균주를 확보하여 이들 균주들의 유전학적 다양성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쉽고, 편리하며 많이 활용되고 있는 PCR을 이용하여, 개별 분석기법에 따른 유전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활용한 기법들 중에서 유전자수준에서 가장 효율적이며 뛰어난 감별능력을 지닌 기법을 선발하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통계학적 인 수치에 따라 객관적인 분석방법으로서 Simpson's index of diversity (SID)를 산출하여 성적상호간을 비교 및 평가하였다. 공시한 총 99 주에 대한 4M primer를 이용한 RAPD 성적에 근거하여 산출한 SID 값은 0.915의 양호한 간이 산출되었다. 같은 방법으로 충 98 주에 대한 RA primer를 이용한 RAPD성적을 토대로 산출한 SID 값은 0.874로 확인되었다. 한편 총 107주에 대한 ERIC-PCR을 수행한 종합분석 성적에서 공시균주들은 모두 10종의 유전형(genotype)으로 구분되었고, EM-type 는 14주가 포함되어 가장 대표적 인 유전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그룹에는 사람유래의 6주가 포함되어 가장 지배적인 유전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DNA profile에 근거한 덴드로그람을 작성하고 SID간을 산출하였던 바, SDI 0.929의 신뢰도 높은 성적을 산출하였다. 반면에 공시한 총 108주의 S. aureus균주에 대한 종합적인 REP-PCR 성적에서 모두20종의 유전형으로 세분되었고 RB-type은 17주로 가장 많은 균주가 포함되었다. 작성된 덴드로그람 성적에서 산출한 SID 값은 우리의 연구에서 수행한 PCR에 기초한 유전자 분석기법들 중에서는 가장 높은 0.930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RAPD 기법 중에서는 4M primer를 활용한RAPD가 보다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REP-PCR과 ERIC-PCR의 양자의 성적은 거의 비슷하여 적용했던 PCR분석기법 중에서는 이들 분석기법이 가장 우수한 감별능력을 확보한 분석법으로 최종 선발할 수 있었다.

단감나무로부터 분리한 탄저병 병원균 Colletotrichum spp.의 RAPD와 PCR-RFLP를 이용한 유연관계 분석 (Analyses of Genetic Relationships of Collectorichum spp. Isolated from Sweet Persimon with RAPD and PCR-RFLP.)

  • 김희종;엄승희;이윤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25
    • /
    • 2002
  • Colletotrichum spp.는 광범위한 기주범위를 갖는 다범성균으로 각종작물에 피해를주는 중요한식물병원진균이다. 최근 국내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단감, 사과, 복숭아, 포도 등에 탄저병 이 발생하여 많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탄저병원균의 경우 기존에는 주로 형태적 특징이나 배지 상에서의 특성, 기주에 대한 병원성의 차이에 의존하여 분류를 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병원균의 분류에 있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Random Amplified Polymorphism DNAs (RAPD)와 Plo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기법을 이용하여 단감나무에 탄저병을 일으키는 균들 간에 유연관계를 밝혔다. 유연관계 분석결과 크게는2개의 그룹으로 나뉘었고 작게는5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olecular Typing of Leuconostoc citreum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Foods Using a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

  • Kaur, Jasmine;Lee, Sulhee;Sharma, Anshul;Park, Young-Seo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74-179
    • /
    • 2017
  • For preliminary molecular typing, PCR-based fingerprinting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is the method of choice. In this study, 14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different Korean food sources, identifi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characterized through RAPD-PCR. Two PCR primers (239 and KAY3) generated a total of 130 RAPD bands, 14 distinct PCR profiles, 10 polymorphic bands, one monomorphic band, and four unique bands. Dendrogram-based analysis with primer 239 showed that all 14 strains could be divided into seven clades out of which clade VII had the maximum of seven. In contrast, dendrogram analysis with the primer KAY3 divided the 14 L. citreum strains into four clades out of which clade IV consisted of a maximum of 10 strains out of 14. This research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bacterial populations associated with different Korean foods. The proposed RAPD-PCR method, based on sequence amplification, could easily identify and discriminate the lactic acid bacteria species at the strain-specific level and could be used as a highly reliable genomic fingerprinting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