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502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36초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의 펀칭전단강도 및 거동 (Punching Shear Strength and Behavior of CFT Column to RC Flat Plate connections)

  • 이철호;김진원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491-502
    • /
    • 2006
  • 본 논문은 중력하중의 지배를 받는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의 실물대 실험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CFT구조는 여러 가지 구조및 시공상의 장점으로 인하여 국내 건설 현장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주차장 용도로 주로 사용되는 지하층은 철근콘크리트 무량판으로 시공하여 경제성을 도모하는 것이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시공관행이다. 그러나 CFT기둥-R C 무량판 접합부의 효율적인 디테일은 아직 국내 외적으로 제시된 바가 없어서 이 분야의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현장 시공시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몇 가지 전략을 기초로 해서, 여러가지 접합 상세를 제안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엿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CFT기둥-RC 무량판 접합 상세의 펀칭강도 및 강성이 RC 무량판 접합부와 동등하거나 이를 상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의 초기 탄성거동에서 펀칭파괴이후 휨철근의 국부 현수작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델링 방안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기초로 5개의 모델링 변수를 캘리브레이션하였다. 또한 무량판구조의 연쇄붕괴방지 설계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응용하는 방안을 사례를 통하여 예시하였다.

장미과 식물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ceae Plants Extracts)

  • 서정민;안정엽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99-502
    • /
    • 2004
  • 장미과 식물(에탄을 추출)의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자유 라디칼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였다. 또한 산화 환원 과정을 통하여 피부의 과잉 색소 생성에 관련된 멜라닌 생합성 과정의 조절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장미과 식물중에서 Prunus sargentii, Rubus coreanus, Chaenomeles sinensis, Photinia glabra와 Pyrus pyrifolia은 생합성 과정에서 dopa [3-(3,4-dihydroxyphenyl) alanine]를 도파크롬으로 변환시켜 주는 tyrosi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MTT 실험법은 장미과 에탄올 추출물의 사람 섬유아세포에 미치는 독성정도를 실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장미과 식물중 특히 Prunus sargentii의 껍질, Phorinia glabra의 껍질과 나무 그리고 Chaenomeles sinenis의 잎, 껍질, 나무 모든 부분에서 mushroom tyrosinase에 대해 $100{\;}{\mu}g/mL$에서 50\%$ 이상의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10{\;}{\mu}g/mL$ 농도에서 강한 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추출물은 사람 섬유아 세포에 대해 높은 생존율을 나타냄으로써 멜라닌 형성 과정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기 중 CO2 상승 조건에서 재배되는 콩의 광합성과 생장 반응의 분석 (Photosynthesis and Growth Responses of Soybean (Glycine max Merr.) under Elevated CO2 Conditions)

  • 오순자;고석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01-608
    • /
    • 2017
  • The effects of elevated atmospheric $CO_2$ on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soybean (Glycine max Merr.) were investigated to predict its productivity under elevated $CO_2$ levels in the future. Soybean grown for 6 week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vegetative growth, based on plant height, leaf characteristics (area, length, and width), and the SPAD-502 chlorophyll meter value (SPAD value) under elevated $CO_2$ conditions ($800{\mu}mol/mol$) compared to ambient $CO_2$ conditions ($400{\mu}mol/mol$). Under elevated $CO_2$ conditions, the photosynthetic rate (A) increased although photosystem II (PS II) photochemical activity ($F_v/F_m$) decreased. The maximum photosynthetic rate ($A_{max}$) was higher under elevated $CO_2$ conditions than under ambient $CO_2$ conditions, whereas the maximum electron transport rate ($J_{max}$) was lower under elevated $CO_2$ conditions compared to ambient $CO_2$ conditions. The optimal temperature for photosynthesis shifted significantly by approximately $3^{\circ}C$ under the elevated $CO_2$ conditions. With the increase in temperature, the photosynthetic rate increased below the optimal temperature (approximately $30^{\circ}C$) and decreased above the optimal temperature, whereas the dark respiration rate ($R_d$) increased continuously regardless of the optimal temperature. The difference in photosynthetic rate between ambient and elevated $CO_2$ conditions was greatest near the optimal tempera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uture increases in $CO_2$ will increase productivity by increasing the photosynthetic rate, although it may cause damage to the PS II reaction center as suggested by decreases in $F_v/F_m$, in soybean.

비피도박테리아의 Caco-2 세포에 대한 부착성과 세포 표면 소수성 (Adhesion of Bifidobacteria to Caco-2 Cells and in Relation to Cell Surface Hydrophobicity)

  • 임광세;허철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97-502
    • /
    • 2006
  • 한국인 유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10종의 분리균주를 포함하여 총 16종의 bifidobacteria에 대한 Caco-2 세포에 대한 부착성과 세포 표면 소수성을 측정하였다. 부착성과 세포 표면소수성 모두 균주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균종에 따른 경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균주 중에서 B. longum D6, B. longum H4, B. breve Ml, B. thermophilum ATCC 25525, B. suis ATCC 27533, B. animalis subsp. lactis BB12 균주가 세포 표면 소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Caco-2 세포에 대한 부착성은 B. bifidum B3, B. longum D6, B. longum H4, B. thermophilum ATCC 25525, B. suis ATCC 27533, B. animalis subsp. lactis BB12, B. longum 2 등이 우수하였다. 또한 Caco-2세포에 200개 이상이 부착되는 실험 균주는 모두 60% 이상의 세포 표면 소수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부착성이 우수한 균주 선발 시 분리 균주의 세포 표면 소수성을 측정하여 선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통계적 분석기법을 통한 함정 건조기간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Model of the Warship Construction Perio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 최대욱;마정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97-502
    • /
    • 2020
  • 소요군에서 원하는 성능의 함정을 적기에 획득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일정을 예측하고 계획하여 함정을 건조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함정의 건조기간을 산정한 연구를 살펴보면, 전문가 집단의 설문을 통한 주관적인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어 건조기간 산출의 정확성과 일관성이 부족하고, 실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학술적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함정 건조기간 산출의 정확성을 높이고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실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함정사업의 절차 및 특성을 이해하고 함정사업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함정 건조기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되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그 다음 과거 연구개발된 함정들의 실적을 바탕으로 함정 건조기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되는 요인들의 실 데이터를 최대치로 수집하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함정 건조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요군 주관 시험평가 항목수, 장비수, 연구개발 장비수가 선정되었다. 수집한 데이터를 회귀방정식에 대입하여 내적 타당성을 확인해본 결과 평균 96.5%의 정확도를 보였다.

Demonstration of Nonpolar a-plane Light Emitting Diodes on r-plane Sapphire Substrate by MOCVD

  • Son, Ji-Su;Baik, Kwang-Hyeon;Song, Hoo-Young;Kim, Ji-Hoon;Kim, Tae-Geun;Hwang, Sung-Mi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7-147
    • /
    • 2011
  • High crystalline nonpolar a-plane (11-20) nitride light emitting diodes (LEDs) have been fabricated on r-plane (1-102) sapphire substrates by metalorganic chemical-vapor deposition (MOCVD). The multi-quantum wells (MQWs) active region is consists of 4 periods the nonpolar a-plane InGaN/GaN(a-InGaN/GaN) on a high quality a-plane GaN (a-GaN) template grown by using the multibuffer layer technique. The full widths at half maximum (FWHMs) of x-ray rocking curve (XRC) obtained from phiscan of the specimen that was grown up to nonpolar a-plane GaN LED layers with double crystal x-ray diffraction. The FWHM values were decreased down to 477 arc sec for $0^{\circ}$ and 505 arc sec for $-90^{\circ}$, respectively. After fabricating a conventional lateral LED chip which size was $300{\times}600{\mu}m^2$, we measured the optical output power by on-wafer measurements. N-electrode was made with Cr/Au contact, and ITO on p-GaN was formed with Ohmic contact using Ni/Au follow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etching for mesa isolation. The optical output power of 1.08 mW was obtained at drive current of 20 mA with the peak emission wavelength of 502 nm.

  • PDF

Effects of Electrostatic Discharge Stress on Current-Voltage and Reverse Recovery Time of Fast Power Diode

  • Bouangeune, Daoheung;Choi, Sang-Sik;Cho, Deok-Ho;Shim, Kyu-Hwan;Chang, Sung-Yong;Leem, See-Jong;Choi, Chel-Jong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4권4호
    • /
    • pp.495-502
    • /
    • 2014
  • Fast recovery diodes (FRDs) were developed using the $p^{{+}{+}}/n^-/n^{{+}{+}}$ epitaxial layers grown by low temperature epitaxy technolog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lectrostatic discharge (ESD) stresses on their electrical and switching properties using current-voltage (I-V) and reverse recovery time analyses. The FRDs presented a high breakdown voltage, >450 V, and a low reverse leakage current, < $10^{-9}$ A. Fro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rmal activation energy, the reverse leakage current was dominated by thermal generation-recombination and diffusion, respectively, at low and high temperature regions. By virtue of the abrupt junction and the Pt drive-in for the controlling of carrier lifetime, the soft reverse recovery behavior could be obtained along with a well-controlled reverse recovery time of 21.12 ns. The FRDs exhibited excellent ESD robustness with negligible degradations in the I-V and the reverse recovery characteristics up to ${\pm}5.5$ kV of HBM and ${\pm}3.5$ kV of IEC61000-4-2 shocks. Likewise, transmission line pulse (TLP) analysis reveals that the FRDs can handle the maximum peak pulse current, $I_{pp,max}$, up to 30 A in the forward mode and down to - 24 A in the reverse mode. The robust ESD property can improve the long term reliability of various power applications such as automobile and switching mode power supply.

갈락토스 전이활성이 높은 ${\beta}-galactosidase$ 생산균의 분리 및 효소생산과 관련된 몇가지 특징 (Isolation of Bacillus sp. Producing ${\beta}-Galactosidase$ with High Transgalactosylation Activity and its Culture Characteristics Regarding Enzyme Production)

  • 김민홍;정진;인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02-506
    • /
    • 1995
  • 토양으로부터 갈락토스 전이활성이 우수한 ${\beta}-galactosid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고 부분동정하여 Bacillus sp. A1으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는 40%(W/W) 유당용액에서 초기유당의 70%가 전환되었을 때 90%의 높은 전이율을 보였다. 효소의 생합성은 유당에 의하여 유도되었고 포도당에 의하여 저해받았다. 효소생산을 위한 탄소원으로는 유당이, 유기질소원으로는 효소분해 대두단백질이 적합하였다. 탄소원과 유기질소원을 최적화하므로써 배양된 균주의 효소활성은 최소배지에서 배양된 효소활성과 비교하여 약 3배 이상($0.5\;U/m{\ell}-broth$에서 $1.8\;U/m{\ell}-broth$로) 증가하였다.

  • PDF

Ag2O첨가에 따른 0.96 Pb(Zr0.52Ti0.48)O3-0.04 Pb(Mn,W,Sb,Nb)O3의 유전 및 압전 특성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0.96 Pb(Zr0.52Ti0.48)O3-0.04 Pb(Mn,W,Sb,Nb)O3Ceramics with Ag2O Addition)

  • 정현우;임성훈;이은선;전창성;이상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174-1177
    • /
    • 2004
  • The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silver added 0.96 Pb(Z $r_{0.52}$ $Ti_{0.48}$) $O_3$-0.04 Pb(Mn,W,Sb,Nb)$_3$ ceramics were examined. By varying the contents of silver(0.0, 0.4, 1.0 mol%), the effect of silver addition on PZT-PMWSN ceramics was investigated at various sintering temperature(900, 1000, 1100 $^{\circ}C$). As increasing silver contents,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was increased and sinterability was enhanced. At the specimen with 0.4 mol% Ag and sintered at 1000 $^{\circ}C$,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k_{p}$), mechanical quality factor( $Q_{m}$), dielectric constant($\varepsilon$$_{r}$) and dielectric loss were 0.502, 811, 991, 0.006,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ZT-PMWSN/Ag composites have enhanced piezoelectic and dielectric properties and sintering temperature was lowered.red.

제주지역 유해화학물질 누출사고 시 영향범위에 관한 연구 - 불화수소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Scope from Hazardous Chemicals Leakage in Jeju Area - Focused on hydrogen fluoride -)

  • 임채현;도상현;김창영
    • 한국도시환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95-50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AERMOD 대기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제주도에서 유해화학물질 중 불화수소의 소규모 유출사고 영향 범위를 산정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대응시스템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영향범위는 권역별로 서귀포소방서, 동부소방서, 제주소방서, 서부소방서 순으로 넓게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여름, 봄, 가을, 겨울 순으로 넓게 나타났다. 기상인자(풍속, 기온) 간의 상관성은 풍속이 0.998로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인반면, 기온과는 -0.463으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불화수소 누출사고 시 풍속에 따른 영향범위(m) = 13.922WS(풍속) - 5.195의 1차 방정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신뢰도($R^2$)가 0.99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