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 oryzae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6초

저장중의 맥류에 미치는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 L.)의 영향 (Some effects of the rice weevil(Sitophilus oryzae L.) on the stored grains)

  • 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27-30
    • /
    • 1964
  • 저장중의 과맥, 소맥에 미치는 쌀바구미의 영향을 R.H. $75\%,\,28^{\circ}C$하에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곤충구에 있어서는 4주간에 함수량은 연차 감소되어 과맥은 $2.07\%$, 소맥은 $1.29\%$의 감소를 보였다. 2. 100-200두구에서는 4주간에 과맥은 $6.29\%$ 감, $0.79\%$증, 소맥에서는$0,84\%$감, $0.13\%$ 감을 나타내었다. 3. 함수량의 증감은 곡물의 종류여하를 막론하고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며 시간이나 집단의 크기에 다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4. 100두구에 있어서는 제3주까지 감소하였다. 제4주에 증가하였으며 200두구에 있어서는 제2주까지 감소하고 제3-4주에 증가하였고 제5주에 우화성충을 제거하는 데 따라 감소하였다. 5. 제2주의 함수량의 감소는 1-2령유충의 생리적활동이 적은데 인한 것이며 100두구에 있어서 제3주까지 함수량이 감소하는 것은 2-3령유충까지도 밀도가 g당 3두 이사일때는 탈수량을 보상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6. 미생물의 수는 제4주까지 지수함수적증가를 나타내며 집단의 크기에 따라 증가율에 큰 차가 있었다. 7. 미생물의 종류는 곡물에 따라 별무차였으며, A. restrictus, A. versicolor가 가장 많았고, A. candidus가 다음으로 많았다.

  • PDF

Lipase Catalyzed Kinetic Resolution of rac-2-(3-Methoxy-4-methylphenyl) propan-1-ol and rac-2-(3-Hydroxy-4-methylphenyl)propyl propanoate for S-(+)-Xanthorrhizol

  • Shafioul, Azam Sharif Mohammed;Cheong, Chan-Se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2호
    • /
    • pp.409-414
    • /
    • 2012
  • Xanthorrhizol is a bisabolane type of natural sesquiterpene, the major component of essential oils of Curcuma xanthorrhiza. 2-(3-Methoxy-4-methylphenyl)propan-1-ol and 2-(3-hydroxy-4-methyl phenyl)propan-1-ol could be essential building block for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xanthorrhizol. Enantioselective (c = 53%, E = $80{\pm}3$) for R-(+)-2-(3-hydroxy-4-methylphenyl) propan-1-ol and (c = 58%, E = $27{\pm}1$) for R-(+)-2-(3-methoxy-4-methylphenyl) propan-1-ol resolution processes were developed via lipase-catalyzed reaction. We found lipase Aspergillus oryzae (AOL) and Porcine pancreas (PPL) are selective to transesterification and hydrolysis in organic and aqueous phase. Modified demethylated substrate is appropriate for enantioselective hydrolysis reaction without any additives. Enantiopure chiral alcohol was crystallized from ethyl acetate/n-hexane co-solvent system. Gram scale resolved chiral intermediate will facilitate the synthesis of the unnatural S-(+)-xanthorrhizol, the corresponding isomer of the natural one.

Impact of Surface Fire on the Dynamics of$N_2$- Fixing and P - Solubilizing Microbial Population in Natural Grassland Soils, Southern India

  • Manian, S.;S. Paulsamy;K. Senthilkumar;Kil, Bong-Seop
    • 한국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태학회 2002년도 VIII 세계생태학대회
    • /
    • pp.93-100
    • /
    • 2002
  • Dynamics of certain $N_2$fixing bacteria such as Rhizobium, Azospirillum and Azotobactor, nodule number in dominant legume, Atylosia trinervia, P-solubilizing bacteria, actinomycetes and fungi were studied in unburned and burned site of natural grassland, southern India. Population of $N_2$- fixing bacteria, P-solubilizing bacteria, fungi and nodule number in legume increased significantly in burned sites. On the other hand, the actinomycetes population remained unchanged. Thirty six species of fungi with tricalcium phosphate solubilizing ability were recorded. The most efficient P-solubilizing fungi recognised in the soils of the study sites are Absidia ramosa, Gongronella butlerii, Mortieralla spinosa, Mucor racemosus, Rhizopus nigricans, R. stolonifer, R. oryzae, Aspergillus fumigatus, A. nidulans, A. niger Theilavia terricola and Cheatomium lunasporium.

  • PDF

Impact of Surface Fire on the Dynamics of N2- Fixing and P - Solubilizing Microbial Population in Natural Grassland Soils, Southern India

  • Manian, S;Paulsamy, S.;Senthilkumar, K.;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4호
    • /
    • pp.227-234
    • /
    • 2002
  • Dynamics of certain $N_2$ fixing bacteria such as Rhizobium, Azospirillum and Azotobactor, nodule number in dominant legume, Atylosia trinervia, P-solubilizing bacteria, actinomycetes and fungi were studied in unburned and burned site of natural grassland, southern India. Population of $N_2$ - fixing bacteria, P-solubilizing bacteria, fungi and nodule number in legume increased significantly in burned sites. On the other hand, the actino-mycetes population remained unchanged. Thirty six species of fungi with tricalcium phosphate solubilizing ability were recorded. The most efficient P-solubilizing fungi recognised in the soils of the study sites are Absidia ramosa, Gongronella butlerii, Mortieralla spinosa, Mucor racemosus, Rhizopus nigricans, R. stolonifer, R. oryzae, Aspergillus fumigatus, A. nidulans, A. niger, Theilavia terricola and Cheatomium lunasporium.

비스 방향족 ${\alpha},{\beta}$ 불포화 케톤 유도체 중 2-thienyl 및 2-furyl 치환체의 항균활성에 관한 비교분자장 분석(CoMFA)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CoMFA) on the fungicidal activity of 2-thienyl and 2-furyl substituents in bis-aromatic ${\alpha},{\beta}$-unsaturated ketone derivatives)

  • 성낙도;유성재;임치환;적송미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21
    • /
    • 1998
  • 비스 방향족 ${\alpha},{\beta}$-불포화 케톤 유도체의 헤테로 방향족고리($R_{1}$) 치환체중 치환 phenyl backbone($R_{2}$)들의 구조변환에 따른 벼도열병균(Pyricularia oryzae)과 토마토역병균(Phytophthora irifestans)에 대한 in vivo에서의 항균활성 관계(SAR)를 3-D QSAR 방법인 비교분자장 분석(CoMFA)으로 해석하였다. 두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설명하는 CoMFA결과는 2-D QSAR에서 검토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입체효과(Es)와 전자효과(${\sigma}$)로 설명할 수 있었다. 즉, 벼도열병균은 aryl group에 bulky한 치환기(Es>0)가 도입되어야 하며 ${\beta}$탄소원자의 양하전이 증가할수록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낼것으로 기대되었다. 반면, 토마토역병균의 경우에는 aryl group에 체적이 작은 치환기가 도입될수록, 그리고 ${\beta}$ 탄소원자의 양하전이 감소할수록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 되었다. 또한, 입체효과와 전자효과를 등 고도로 나타낸 CoMFA결과가 기존의 2-D QSAR보다 항균활성에 미치는 화합물의 구조적 요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열대과일 Rambutan으로부터 아연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Zinc-Enriched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from the Tropical Fruit Rambutan)

  • 차재영;허진선;김정욱;이선우;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7-453
    • /
    • 2008
  • 아연은 사람에 있어서 필수미량 원소 중의 하나이다. 열대과일 Rambutan으로부터 아연 고함유 효모를 분리하였으며, 이 균주의 아연 함량은 306 ppm (30.6 mg%)이었다. 아연 고함유 효모는 전형적인 둥근 모양과 보통 크기로 다출아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분리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ITS1-5.8S rDNA sequences를 실시한 결과 효모 S. cerevisiae 와 99%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Aspergillus oryzae로 코지를 만들어 알코올 발효를 시킨 결과 12% 정도의 알코올 수득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신규 분리된 효모는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과 알코올 발효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S. cerevisiae와 거의 일치하여 S. cerevisiae FF-10으로 명명하였다. 향후 실험에서는 S. cerevisiae FF-10 균주가 세포내에 아연을 최대로 축적할 수 있는 배양 실험조건을 확립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Bacillus subtilis 균주의 기능성 분석 및 이를 활용한 고추 흰가루병 방제 (Functional Analysis of Bacillus subtilis Isolates and Biological Control of Red Pepper Powdery Mildew Using Bacillus subtilis R2-1)

  • 김용기;홍성준;심창기;김민정;최은정;이민호;박종호;한은정;안난희;지형진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01-209
    • /
    • 2012
  • 지자체 농업기술센터와 농과원에서 수집한 18개의 Bacillus subtilis 균주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을 비롯한 사이데로포아 생산, 질소고정능력, 인산가용화 능력 및 오옥신 생성능력을 조사하였다. B. subtilis 균주들은 대부분 입고병균(R. solani), 고추 탄저병균(C. acutatum), 채소류 시들음병균(F. oxysporum), 벼도열병균(M. oryzae), 고추 역병균(P. capsici)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대부분의 균주가 Siderophore와 오옥신 생성능력을 보였으며 질소고정능력도 함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가용화능은 조사한 Bacillus 속 균주 중 단 한 균주에서 활성을 보였다. 대부분의 B. subtilis 균주가 고추 흰가루병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균주 간에는 방제효과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 subtilis R2-1균주의 농업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9년도에 강원도 화천의 유기재배농가에서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농약으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큐펙트'와 '탑시드'를 대조로 하여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2009년도에 B. subtilis R2-1 처리시 방제효과는 37.7%로 '탑시드'(47.6%)보다는 낮았으나, '큐펙트'(25.7%)에 비해서는 높았다. 2010년도에는 B. subtilis R2-1의 고추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83.3%로 미생물 농약인 탑시드 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B. subtilis R2-1균주의 발병억제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B. subtilis R2-1균주와 미생물 농약(탑시드, 큐펙트)을 경엽 처리한 후 포자발아율을 계수한 결과, 미생물 농약인 큐펙트는 97.9%, 탑시드는 94.7% 억제하는데 비해서 B. subtilis R2-1균주는 84.2%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B. subtilis R2-1을 고농도로 배양할 수 있는 대량배양기술을 개발하고 항균활성 기능이 잘 발현되도록 제형화한다면 생물농약으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도(水稻)에 관여(關與)하는 Pythium spp와 균핵병균류(菌核病菌類)의 분류동정(分類同定)에 관(關)한 연구(硏究)(II)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Pythium spp. and Sclerotial Fungi isolated from Rice plants in Korea (II))

  • 이영희;이응권;김병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24
    • /
    • 1978
  • 1976년(年) 9월(月) 일신품종계(日新品種係)인 수도(水稻)의 유유품종(維新品種)에 주(主)로 발생(發生)된 위조(萎凋)벼와 상자육균대(箱子育菌代) 및 답토양(畓土壤) 등(等) 대상(對象)으로 병해조사(病害調査) 열시(實施)한 결과(結果) Pythium spp와 몇가지 균핵(菌核) 병균류(病菌類)를 공리동정(公離同定)하였다. pythium속(屬) 가운데는 병원성(病原性)이 있고 고온(高溫)에서 잘자라는 Pythium aristosporum Vanterpool과 Pythium sp. Kythium myriotylum Drechsler 그리고 병원성(病原性)이 약(弱)하고 저온성(低溫性)으로 답토(畓土)에서 분리(分離)된 Pythium irregulare Buisman을 동정(同定) 균핵병균(菌核病菌)으로는 우리 나라의 병해목록(病害目錄)에는 미기록종(未記錄種)인 Sclerotivae hydrophilum(구상균씨병)(球狀菌核病)과 Sclerotium oryzae-sativae(복빛균)(福色核菌)였으며 이들 균핵병(菌核病)들의 병원성(病原性)을 보면 소립균핵병(小粒菌核病)이 강(强)한 편(便)이미 그외 균핵병(菌核病)들은 오래된 하부옆(下部葉)와 상병기생성(傷病寄生性)의 약(弱)한 병원성(病原性)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 균핵병(菌核病)의 분포(分布)는 답토양중(沓土壤中)에 상당(相當)한 밀도(密度)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발생생태(發生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

  • PDF

한국에 있어 벼도열병균레이스의 분화 및 년차적변동 (Identification and Annual Change of Races of Pyricularia oryzae in Korea)

  • 이은종;주원준;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9-204
    • /
    • 1975
  •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벼 도열병균의 생리형(레이스)의 분화 및 지역적분포와 년차적 변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1962년부터 1971년까지 전국에서 채집분리한 1044개균주를 류별한 결과 T-레이스군이 4, C-레이스군이 15, N-레이스군 8, 모두 27개의 레이스가 유별되었다. 한국재래 및 장려품종과 일본형품종들이 주로 재배됐던 1966년이전에는 N-레이스군이$85\%$ 로 지배적이었으나 그이후 중국계통 및 통일품종의 재배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T레이스군이 $21\%$, C레이스군이 $42\%$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966년이전에는 T.C레이스가 수원지방을 중시으로 조금씩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이후 점차 전국적으로 널리퍼져 지역적인 분포차를 인정할 수 없었다. 지금까지 우점레이스군으로는 N-2, C-8레이스가 널리 분포되어 왔고 특히 1970년이후 인도형과 재래품종과의 교잡종인 통일의 확대재배로 새로운 레이스(T-d 레이스)가 1973년부터 출현하여 지금까지 저항성을 보였던 Tetep이 이병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앞으로 레이스의 추이와 통일계통등의 인도형 수도를 침해하는 새로운 레이스의 분화에 대한 연구 및 그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 PDF

도열병균의 핵학적 연구 (Studies on the nuclear cytology of Pyricularia oryzae CAV)

  • 이시용;심재섭;이은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19-26
    • /
    • 1968
  • 휴지상태에 있는 성숙한 도열병균 포자 1,000개를 관찰한 결과 각 세포에 단핵을 가지는 포자비율이 $95\%$로 단연 많았고 또 미숙회자인 1세포 1핵 포자로부터 출발하여 3세포 3핵인 성숙포자가 형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분열 중인 핵은 배열된 염색체로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염색체수는 n=3,4,5,6개로 나타났으나, n=5개가 가장 많았다. 핵이 발아관으로 이동하는 방법은 첫째로 휴지상태에 있던 핵이 분열하여 2핵이 되고 그 중 1핵이 발아관에 이동하고 1핵은 세포내에 머무는 것과$(43\%)$, 둘째 방법은 핵분열 없이 직접 세포내의 1핵이 발아관을 따라 이동하는 것들이 $(57\%)$ 있다. 또 부착기내의 핵을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무핵의 부착기가 상당히 많았으나 핵질을 가진 500개의 부착기 중에 단핵이 476개로서 $95.2\%$였다(Chromosome 으로 관찰된 4부착기는 제외). 이상의 결과로서 도열병균은 전생활환을 통하여 단핵을 함유한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으며, 도열병균포자가 다세포일지라도 Homokaryon이라고 생각되므로 단포자분리균을 도열병에 관한 모든 시험에 공시하는 것은 합당하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