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ndex

검색결과 3,563건 처리시간 0.045초

불면증 정도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에서의 주간졸림 정도에 끼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omnia Severity on Daytime Sleepines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남지원;신병학;신현실;박민지
    • 수면정신생리
    • /
    • 제22권1호
    • /
    • pp.11-19
    • /
    • 2015
  •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의 특징적 임상양상으로 주간졸림이 있다.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가 비례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다. 이러한 이론에는 불면증 정도가 두 변수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본 연구자들은 피츠버그수면질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이하 PSQI) 정도가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의 연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상병력 및 야간수면다원검사(nocturnal polysomnography, 이하 NPSG)를 실시하여 OSAS로 진단된 235명의 남자 환자를 선정하였다. 전체 대상군의 수면 및 기분 관련 자가보고척도, 수면다원검사지수, 인구학적 척도를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단순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전체 대상군을 PSQI가 5 이하인 A군(n = 75)과 5 초과인 B군(n = 160)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서 제어변수로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 BDI) 및 벡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이하 BAI)를 설정하고 엡워스졸림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이하 ESS)와 다른 척도들 간의 편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A군에서 주간졸림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ESS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군에서 단순상관분석에서는 ESS와 수면무호흡 심각도 지수들인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이하 AHI ) (r = 0.148, p = 0.023), 무호흡 지수(apnea index, 이하 AI) (r = 0.137, p = 0.036), 저호흡 지수(hypopnea index, 이하 HI) (r = 0.058, p = 0.377), 산소탈포화도지수(oxygen desaturation index, 이하 ODI)(r = 0.149, p = 0.022), 각성 총지수(arousal total index, 이하 ATI) (r = 0.129, p = 0.048) 간에 미약한 상관관계를 보이거나 상관관계가 없었다. A군에서 ESS와 AHI ($r_p=0.313$, p = 0.008), AI ($r_p=0.339$, p = 0.004), ODI ($r_p=0.289$, p = 0.015), ATI ($r_p=0.256$, p = 0.031) 간에 양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B군에서는 ESS와 수면무호흡의 심각도 척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A군에서 다중회귀분석 결과 ESS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AI (t = 2.996, p = 0.004), BAI (t = 2.721, p = 0.008)가 있었다. 결 론 : 주간졸림 정도와 수면무호흡 중증도 간의 유의한 연관성은 A군에서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OSAS 환자가 호소하는 주간졸음을 평가할 때 불면 증상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공간스케일 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평가 -강원도 백두대간 보호구역을 대상으로- (Evaluation of Biodiversity Based on Changes of Spatial Scale -A Case Study of Baekdudaegan Area in Kangwondo-)

  • 심우담;박진우;이정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91-100
    • /
    • 2014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onservation area of Baekdudaegan, Kangwondo under the purpose of evaluating bio-diversit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patial scale, using GIS data and spatial filtering method. The diversity index was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species of The $5^{th}$ forest type map using Shannon-weaver index (H'), evenness index ($E_i$) and richness index ($R_i$). The diversity index was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12 spatial scales from Kernel size $3{\times}3$ to $73{\times}73$ and basin unit. As for H' and $R_i$, spatial scale increased as diversity index decreased, while $E_i$ decreases gradually. H' and $R_i$ was highest; each 1.1 and 0.6, when the Kernel size was $73{\times}73$, while $E_i$ was 0.2, the lowest. When you look at according to the basin unit, for large basin unit, 'YeongDong' region shows higher diversity index than 'YeongSeo' region. For middle basin unit, 'Gangneung Namdaecheon' region, and for small basin unit, 'Gangneung Namdaecheon' and 'Gangneung Ohbongdaem' region shows high diversity index. When you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index and Geographic factors, H' shows positive relation to curvature and sunshine factor while shows negative to elevation, slope, hillshade, and wetness index. Also $E_i$ was simila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 and Geographic factor. Meanwhile, $R_i$ shows positive relationship to curvature and sunshine factor, while negative to elevation, slope, hillshade, and wetness index. macro unit diversity index evaluation was possible through the GIS data and spatial filtering, and it can be a good source for local biosphere conservation policy making.

냉장우육의 숙성도 지표로 활용하기 위한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Utilization of Aging Index of Cold Storage Beef Tenderloin)

  • 정인철;김미숙;신완철;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47-653
    • /
    • 1997
  • 도축 후 2일간 냉장한 한우(♀, 380kg)와 홀스타인(♀, 490kg)의 안심부위를 이용하여 단기숙성용은 함기포장하여 14일간, 장기 숙성용은 진공포장하여 28일 동안 3$^{\circ}C$에서 냉장숙성하면서 경시적으로 전단력가, 근원섬유의 Mg-ATPase활성, 근원섬유의 소편화도, 근원섬유의 소편화율, 그리고 30,000 dalton(30KD)성분의 출현정도에 대하여 경시적으로 실험하여 숙성도 지표로 적당한 지를 검토하였다. 우육안심을 함기포장하여 3$^{\circ}C$에서 14일간 숙성할 때의 숙성도 지표로 적합한 물리화학적 성질로서는 전단력가(r=-0.893)>근원섬유 소편화율(r= 0.863)〉30KD성분의 출현(r=0.853)>근원섬유 소편화도 (r=0.814)>근원섬유 Mg-ATPase활성 (r=0.804)의 순으로 유효하였다. 그리고 진공포장하여 28일간 숙성할 때는 근원섬유 소편화율(r=0.880)〉30KD성분의 출현(r=0.836)의 순이었다. 함기포장육의 경우 숙성도 지표들간의 상관관계는 근원섬유의 소편화율이 전단력가, Mg-ATPase활성, 근원섬유 소편화도, 30KD성분의 출현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공포장육은 근원섬유 소편화율이 30KD성분의 출현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THE COMPETITION INDEX OF A NEARLY REDUCIBLE BOOLEAN MATRIX

  • Cho, Han Hyuk;Kim, Hwa Kyu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6호
    • /
    • pp.2001-2011
    • /
    • 2013
  • Cho and Kim [4] have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 competition index of a digraph. Similarly, the competition index of an $n{\times}n$ Boolean matrix A is the smallest positive integer q such that $A^{q+i}(A^T)^{q+i}=A^{q+r+i}(A^T)^{q+r+i}$ for some positive integer r and every nonnegative integer i, where $A^T$ denotes the transpose of A. In this paper, we study the upper bound of the competition index of a Boolean matrix. Using the concept of Boolean rank, we determine the upper bound of the competition index of a nearly reducible Boolean matrix.

토양유실량여측을 위한 강우인자(降雨因子)의 추정(推定) (An Approximation of the Rainfall Factor (R) in Predicting Soil Loss)

  • 신제성;고문환;임정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6-111
    • /
    • 1983
  • 토양유실량 여측(予測)을 위해서는 강우인자(降雨因子)(R치(値))를 구(求)하여야 되며 이를 종뢰사용해오던 방법(方法)으로 구(求)할 경우 계산과정(計算過程)이 복잡(複雜)하고 어려워 실제 이용(利用)하기가 곤란(困難)하였다. 본(本)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편(不便)한 점(点)을 고려(考慮)하여 간편(簡便)하고 실용적인 새로운 강우인자(降雨因子) 추정방법(推定方法)으로 IA-S Index을 제안(提案)하였다. IAS Index에 의(依)한 강우인자(降雨因子)의 추정(推定)은 연중(年中) 강우량(降雨量)이 최대(最大)가 되는 2개월간(個月間) 강우량(降雨量)의 총합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추정(推定)된 강우인자(降雨因子)의 적용성(適用性)을 검토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12개(個) 도시(都市)의 강우성적(降雨成績)을 토태(土台)로 기존방법(旣存方法)($EI_{30}$)과 상호(相互)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7~8월에 집중(集中) 호우(豪雨)가 있는 지역(地域)에서는 제안(提案)된 방법(方法)인 IAS Index에 의(依)하여 강우인자(降雨因子)의 추정(推定)이 가능(可能)하였다.

  • PDF

주요 비만 판정 지수의 비만 기준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Obesity Judgment Criteria in the Frequently used Obesity Indices)

  • 이경화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1호
    • /
    • pp.93-108
    • /
    • 2010
  • R$\ddot{o}$hrer index, Vervaeck index and Body Mass Index(BMI) are frequently used in order to judge obese subjects in clothing & textiles field. However, there are no certain criteria of judging the degree of obesity. Each researcher utilized these obesity indices according to their own criteria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reliable obesity index and new criteria for judging the degree of obes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Utilizing frequency analysis, main percentiles, minimums, maximums and ranges were presented by 5 age groups from twenties to sixties. Obesity rates dramatically increased, the subject got older. Especially, obesity rate of the subject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were much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1.6 & higher can be used in the R$\ddot{o}$hrer index, 98 & higher can be used in the Vervaeck index, and 25 & higher can be used in the BMI as the Optimal criteria of the obesity. Total of 24 body measurements and 3 obesity indices were used for analyzing the correlation analysis. All heights measuremen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3 obesity indices. It is determined heights measurements have high correlation with R$\ddot{o}$hrer index compare to other indices. Crotch height, interscye back, neck shoulder point to breast point, bu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upper arm circumference and armscye circumference have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besity indices. According to the ANOVAs by each percentile group of the R$\ddot{o}$hrer and Vervaeck indices, there are big significances in all measurements and obesity indices except arm length. In general, heights decreased significantly by getting bigger, while circumferences and lengths, widths and indices increased rapidly by getting bigg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each percentile group in the BMI, i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 measurements except cervical height and arm length. There were similar tendency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obesity in BMI percentile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BMI is the most reliable index for judging the obesity owing to the high correlation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other measurements.

Body Adiposity Index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A Comparison with Body Mass Index and Other Parameters

  • Shin, Kyung-A;Hong, Seung Bok;Shin, Kyeong Seob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7-63
    • /
    • 2017
  • A new body adiposity index (BAI) has been proposed that is expected to replace body mass index (BMI). We evalu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BAI, BMI, and other adiposity indices, such as waist circumference (WC), waist-to-hip ratio (WHR), and waist-to-height ratio (WHtR), by sex in the Korean population. We also evaluated whether BAI would be useful to diagnose metabolic syndrome. A total of 20,961 Korean adults who underwent health examinatio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tabolic syndrome diagnostic criteria used in this study were those set b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HA/NHLBI). In men (12,719), BMI and WHtR were more strongly cor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risk than BAI, and in women (8,242), WHtR showed the strongest associ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BAI (area under the curve [AUC] = 0.678) presented lower discriminatory capacity than that of BMI (AUC = 0.836) for diagnosing metabolic syndrome. Moreover, BAI underestimated fat levels in men and women when considering the ability to discriminate overweight and obese individuals. In conclusion, WHtR and BMI in men, and WHtR in women may be better candidates than BAI to evaluate 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이동체의 현재 위치 색인을 위한 동적 해슁 구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ynamic hashing structure for indexing the current positions of moving objects)

  • 전봉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266-1272
    • /
    • 2004
  •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체의 위치에 종속적인 결과를 얻는 위치 기반 질의를 필요로 한다. 이동체의 위치는 연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동체의 색인은 변경된 위치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빈번한 갱신 연산을 수행해야 한다. 기존의 공간 색인들(그리드 파일, R-트리, KDB-트리 등)은 정적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효과적인 색인이다. 이들 색인은 연속적으로 위치 데이터가 변경되는 이동체 데이터베이스의 색인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삽입/삭제 비용이 적은 동적 해슁 색인을 제안한다. 동적 해슁 색인 구조는 해쉬와 트리를 결합한 동적 해슁 기술을 공간 색인에 적용한 것이다. 실험 결과에서 동적 해슁 색인은 $R^*$-tree와 고정 그리드 보다 성능이 우수하였다.

R&D지출의 효율성 측면에서 특허를 이용한 KPI 개발: 특허효율성지표(PEI: Patent Efficiency Index) (Development of Key Performance Index(KPI) for R&D expenditure activities focusing on efficiency of patent)

  • 이준호;하석태;배병한;유시몬;김대성;한민현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3호
    • /
    • pp.29-55
    • /
    • 2012
  • 본 연구는 BSC의 성공적 구축과 활용에 있어 최근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비재무적 요소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하여 무형적 자원의 대표적 요소인 R&D 지출과 관련하여 BSC의 KPI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의 효용성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BSC의 KPI로써 개발된 PEI(Patent Efficiency Index)는 R&D 지출과 R&D의 output 개념인 특허와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특허의 효율성 측면에서 만들어 졌으며, 기존의 R&D관련 KPI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고, R&D 성과측정에 관한 새로운 KPI개발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지표의 효용성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논문의 관심변수인 PEI는 종속변수인 기업경영성과의 대용치로 나타내어진 ROA(총자산이익률)과 토빈Q에 각각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동안 기존 연구들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왔던 R&D 지출보다 R&D의 성과측정지표로서의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통해 개발된 PEI는 기존의 R&D 지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있어 설명하지 못하는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지표를 통해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인 R&D 활동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R&D 활동의 효율성이 높을 때 기업의 가치나 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R&D 지출과 기업경영성과 간의 관련성을 특허와 R&D 지출의 효율적인 측면을 측정한 PEI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입증함으로써 기존의 R&D 비용 외에 기업의 기업경영성과를 가늠하고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pecies Diversity Analysis of the Aquatic Insect in Paddy Soil

  • Eom, Ki-Cheol;Han, Min-Soo;Lee, Byung-Kook;Eom, Ho-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63-172
    • /
    • 2013
  • 곡간지 (안성, 함양)와 평야지 (보은, 김제) 및 도시지역(군산, 수원)의 논토양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을 2009~2011의 3년간 채집 분류 동정하여, 전체 18 집구에 대하여, 12종류의 지표에 근거한 종 다양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형별 논토양에서 수집된 수서곤충의 개체 수는 곡간지 (35,932) > 평야지 (24,948) > 도시지역 (9,780) 순이었으며, 종수는 곡간지 (32) > 도시지역 (20) > 평야지 (18) 순이었다. 2. 조사대상지 18집구들에 대하여 2집구 간 153개 조합의 상호 유사도 (Similarity) matrix를 작성하였으며, 153개 조합전체의 유사도는 평균 0.542, 즉 전체 종의 약 54%는 최소 1개 이상의 다른 집구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 구명되었다. 3. 조사대상지 18집구 중에서 종 다양성이 다른 집구와 차이가 가장 큰 경우는 2009년 보은 평야지, 차이가 가장 작은 경우는 2010년 군산 도시지역 이었다. 4. 년차간 유사도 (0.659)가 지형간 유사도 (0.560)보다 높게 나타나, 어떤 종의 수서곤충이 같은 시기에 다른 지역에서 공동 서식할 가능성 (공간적 유사도 : Spacial similarity)보다, 동일 지역에서 이듬해에 또다시 서식할 가능성 (시간적 유사도 : Periodical Similarity)이 더 높다고 구명되었다. 5.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에 대한 18개 집구 간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개체수 (N, 70.0%) > 균등도-E3 (54.9%) > 균등도-E1 (49.6%) > 풍부도-R2 (40.5%) > 종수 (S, 35.3%) > 풍부도-R1 (33.7%) > 균등도-E2 (28.4%) > 균등도-E5 (15.9%) > 다양도-V1 (11.1%) > 균등도-E4 (6.3%) > 다양도-V2 (5.1%) > 우점도-D1 (4.8%) 순이었다. 6. 조사대상 18집구별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 간 66개 조합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보여주는 correlation matrix를 작성하였고, 66개 조합 중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관련성을 보여주는 경우는 33개 조합의 경우이었다. 7. 종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10종류의 지수들 간 correlation matrix를 근거로 한 통계적 독립의 개념에 따라 지수간 관련성이 낮은 지수, 즉 풍부도지수 (R1, R2)는 R1, 다양도지수 (V1, V2)는 V1, 균등도지수 (E1, E2, E3, E4, E5)는 E2, 우점도지수는 D1이 수서곤충의 종 다양성과 관련하여 가장 적절한 지표라고 판단되었다. 8. 수서곤충의 풍부도지수 (Richness index: R1)는 곡간지 논토양에서, 다양도지수 (Variety index: V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균등도지수 (Evenness index: E2)는 평야지 논토양에서 더 높았으며, 우점도지수 (Dominance index: D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더 낮았다.